*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이천 어석리 석불입상 利川 於石里 石佛立像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07호





<이천 어석리 석불입상>은 상하 두 매의 커다란 돌로 구성된 사각형의 돌기둥을 연상시키는 고려전기의 석주형 거석불巨石佛의 한 예이다. 머리는 민머리이고 정수리에는 낮게 육계가 표현되었으며 그 위에 별석의 갓을 올려놓았다. 얼굴은 뺨과 턱이 둥근 동안형으로 미간에 백호를 새겼다. 아래로 처진 눈썹과 윤곽만을 표현한 씨앗형의 눈, 뭉툭한 콧망울과 쫑긋한 입, 선각한 이중 턱선 등에서 동안 특유의 친근함이 느껴진다. 정면을 향한 묵중한 귀는 길어서 어깨에 닿았고, 목에는 삼도를 새겼다. 통견으로 걸친 대의는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를 돌려 마치 도포를 연상하게 하며, 하단은 꽃잎 형태로 가지런히 마무리하였다. 


이천 어석리 석불입상 전경,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넓게 드러난 가슴 아래로 치마의 상단 자락과 이를 묶은 Ω형의 넓은 매듭이 짧게 드리워져 있고 그 아래로 폭이 넓고 단순한 U자형의 층단식 옷주름이 반복된다. 팔꿈치 부분의 접혀진 옷자락은 둥근 고리 매듭 형태로 마무리되었다. 오른손은 가슴 위로 올리고 왼손은 내려 각각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의 수인을 맺은 것으로 보이나 손등을 밖으로 향한 모습이어서 조화롭지 못하다. 손톱 형태로 마무리된 치맛자락 아래로 겨우 발가락만 드러낸 양발도 신체에 매달린 듯 어색한 모습이다. 사각형의 측면에도 단순한 옷자락을 새겼지만 뒷면에는 조각이 없다.


이천 어석리 석불입상,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머리에 팔각형의 돌갓寶蓋을 쓰고 있는 점과, 신체에 맞붙은 평면적인 수인, 입체감이 사라진 신체 조형과 간략화된 옷주름 처리 등에서 괴산 미륵대원 석불입상으로 대표되는 고려전기 충청지역 석불과의 친연성이 엿보이는 귀중한 예이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고려시대

    규모/ 1좌 / 높이 432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이천시 어석로27번길 25

    지정일/ 1981.07.16

    소유자/ 국유

    관리자/ 박종길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