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특별기획전 ‘택리지, 삶을 모아 팔도를 잇다’

2018-10-23 ~ 2019-02-28 / 실학박물관

'특별기획전'에 대한  정보는 실학박물관(www.silhak.ggcf.kr)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실학박물관, 특별기획전 ‘택리지, 삶을 모아 팔도를 잇다’




실학박물관은 경기천년을 맞아 특별기획전 ‘택리지, 삶을 모아 팔도를 잇다’를 오는 23일부터 개최합니다. 개막식은 22일 오후 2시에 진행됩니다.


2018년은 고려 현종이 ‘경기’라는 이름을 명명한지 천년이 되는 해입니다. 실학박물관은 경기도의 “과거의 천년”과 “현재”, 그리고 “미래의 천년”을 기약하며 천년의 역사 공간을 조명해보기 위해 특별기획전을 준비하였습니다.


이중환 간찰 안동의 임청각(臨淸閣)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탁)


청담(淸潭) 이중환(李重煥, 1690∼1756)은 조선시대의 신분제 질서 속에서 사민(四民)의 평등을 주장한 실학자였습니다. 그는 30여년에 걸쳐 전국을 답사한 경험을 토대로 최초의 인문지리서인 『택리지(擇里志)』를 집필하였습니다. 택리지는 이름 그대로 살만한 곳(里)을 가리는 방법(擇)을 전한 책입니다. 국가가 국토지리에 대한 지식을 독점하던 시대, 개인이 자신의 관점으로 지리를 논했다는 점에서 택리지의 서술은 매우 획기적입니다. 이중환은 지리를 기반으로 조선 팔도의 정치와 역사, 문화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논했습니다. 당시에도 그 내용은 매우 선구적이었고 이후에도 이를 능가하는 저술은 나오지 않아 독보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중환의 교지敎旨 조선후기, 필사본, 개인소장


관직에서 배제되어 몰락한 사대부 이중환은 ‘어디에서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직접 견문해서 얻은 정보를 종합하여 해답을 제시했습니다. 그가 제시한 살만한 곳을 선택하는 4가지 기준인 <지리(地理), 산수(山水), 인심(人心), 생리(生利)>는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또한 이중환은 사대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거주지 선택의 조건으로 ‘경제적 조건[생리生利]’을 우위에 두고 지리를 평론한 것은 혁신적인 방식이었습니다. 

팔역지八域誌 조선후기, 필사본, 개인소장


이번 특별기획전에서는 다년간에 걸친 실학관련 유물의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보여줍니다. 2012년부터 『정본 택리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온 안대회 교수팀(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원장)은 200여종이 넘는 이본異本을 조사하여, 그중 23종을 선별하고 일일이 교감작업을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에 기초가 되는 텍스트를 확정하였고, 번역작업을 완성했습니다. 연구팀의 성과는 전시유물을 선정하고 그 가치를 설명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같이 중요한 연구의 결과가 이번 전시 개막일인 10월 22일에 함께 공개됩니다. 

가거지可居志 조선후기, 필사본, 수경실 소장


또한, 처음 공개되는 유물은 우선 <이중환의 친필 편지>와 <이중환 교지>를 비롯하여 6종의 『택리지』 초간본들입니다. 특히 택리지는 집필 후 다양한 이칭의 수많은 필사본들을 탄생시키며 베스트셀러로 계승되었습니다. 이번 전시에 공개되는 주요 택리지의 이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초 공개되는 택리지 초간본들

1) 팔역가거지八域可居誌

2) 팔역지八域誌

3) 택리지擇里志

4) 가거지可居志

5) 등람登覽

6)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증보산림경제 수록)

택리지 광문회본, 1912, 활자본, 실학박물관


전시연출에는 하준수 교수(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영상디자인학과)와 하태웅 작가(드론영상, Aerial Pictures)가 참여했다. 하준수 교수는 택리지의 주제를 2개의 영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과거의 공간적 인식을 나타낸 지도는 여전히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으며, 팔도는 우리 민족의 삶이 묻어 있기에 특별한 장소가 된다는 내용을 영상을 통해 보여줍니다. 또한 택리지의 현대적 계승을 나타내기 위해 경기옛길 사업을 영상으로 담아냈습니다. 하태웅 작가는 과거 선조들이 삶의 터전을 애정 어린 장소로 바라보았듯 작가의 고향인 양평의 계절별 정감을 아름다운 드론 영상으로 표현했습니다.


실학박물관은 2018년 새로운 경기천년을 맞아 “어디에서 살아왔고, 어디에서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택리지가 기록한 경기도를 비롯한 팔도의 공간을 도민들뿐만 아니라 전 국민들에게 일상적인 삶이 담긴 장소를 특별하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첨부자료


- 대표인물 : 청담(淸潭) 이중환(李重煥)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李重煥)은 1690년(숙종16)에 태어난 이중환의 자는 휘조(輝祖), 호는 청담(淸潭)로 조선시대 여주 이씨 명문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난 전형적인 양반 출신이다. 24살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여 정5품인 병조좌랑까지 오르는 등 탄탄대로를 걷다가 당파 싸움에 휘말린 뒤로 1756년(영조32) 6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약 30년 간 몰락한 양반으로 전국을 방랑하며 불우하게 살았다.

이중환은 지리지 편찬을 중시한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였다. 이중환의 5대조 이상의(李尙毅, 1560~1624)는 평안도 성천부사 재임 시에 󰡔성천지(成川志)󰡕를 편찬했고, <동국대전도>를 그린 정상기는 이상의의 고손자인 이만휴의 사위이다. 더욱이 󰡔동국여지지󰡕를 쓴 반계 유형원의 스승이자 외삼촌인 이원진(李元鎭)은 이상의의 장손으로 제주목사 시절 󰡔탐라지(耽羅志)󰡕를 편찬한 인물이다.

여주 이씨 가문은 이상의 이후로 과거 급제자가 50명이 나올 정도로 번창했다. 그러나 인조반정으로 몰락하면서 이중환의 집안도 북인에서 남인으로 전향했다. 할아버지 이영(李泳)은 예산현감과 이조참판을, 아버지 이진휴(李震休)는 문과에 급제한 뒤 도승지와 예조참판, 충청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장인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남인인 목임일(睦林一) 이다.

이중환은 아홉 살 연상의 재종조(할아버지의 사촌 형제)인 성호(星湖) 이익(李瀷)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5대조 이상의의 넷째 아들 이지정 후손이 이중환이며, 막내아들 이지안의 후손이 성호 이익이다. 이익은 󰡔택리지󰡕의 서문과 발문을 써 줄 정도로 이중환을 각별하게 생각했다. 이중환이 먼저 세상을 떠나자 이익은 “험한 것은 세상이요, 뜻을 얻지 못한 것은 운명이다. 남긴 글들이 정리되지 않은 채로 집안의 상자 속에 보관되어 있으니, 과연 누가 알아줄 것인가.”며 안타까워했다.

세부정보

  • 특별기획전, <택리지, 삶을 모아 팔도를 잇다>

    개막식/ 2018년 10월 22일(월) 14:00

    전시기간/
    2018년 10월 23일(화) ~ 2019년 2월 28일(목)

    내용/ 실학박물관은 경기천년을 맞아 경기도를 비롯하여 팔도를 답사하고 최초의 인문지리서인 『택리지』를 집필한 이중환의 생애와 학문적 성과를 조명하고자 특별기획전을 개최함.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