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木造釋迦三尊佛座像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52호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은 대웅전 수미단 위에 화려하게 투각된 목조광배를 배경으로 봉안되어 있다. 가운데 석가여래상을 두고 좌우에 봉안된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이다. 본존인 석가여래상은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결가부좌로 앉은 자세에 오른손은 손끝을 땅으로 왼손은 다리 위에 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머리가 신체에 비해 큰 편이지만 신체비례가 적당하여 균형 잡힌 모습이다.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전경,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머리는 육계와 구분없이 경계에 중간계주를, 정상에는 정상계주를 두었다. 방형 얼굴에 눈꼬리가 살짝 올라간 작은 눈, 콧방울이 선명한 큼직한 코, 입술 양끝을 올린 큰 입과 두꺼운 귀에 귓불이 바깥으로 벌어진 모양 등의 특징과 전체적인 모습이 1755년(영조31) 상정尙淨이 조성한 양주 회암사檜巖寺 목조여래좌상과 매우 유사하다. 대의는 오른쪽 어깨를 덮어 돌려 입은 변형된 편단우견식이며, 가장 안쪽의 옷주름 하나가 깃처럼 길게 내려와 있고, 가슴 아래 승각기僧脚崎는 연잎형으로 접혀 있다. 다리 앞에 가운데 S자형 옷주름 끝단은 물방울형으로 이어지며, 왼쪽 다리 위로 연잎모양의 넓적한 옷자락이 흘러내려 있다. 이러한 법의의 특징은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보살좌상(1706) 등 18세기 초를 전후하여 활동한 진열進悅의 조각적 특징과 관련된다.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석가여래상 중앙 화불,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석가여래상 우측면 화불,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좌우 협시인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은 불꽃문, 화문, 용문이 장식된 높고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얼굴 측면으로 가는 두 가닥의 머리카락이 귓불을 지나 어깨에서 모아져 둥근 원형을 만들고 다시 구불구불한 3개의 가닥으로 나뉘어 흘러내린다. 그 외에 얼굴, 옷주름 등의 법의 표현은 본존상과 대동소이하다. 좌측의 문수보살상은 보현보살상과는 손의 위치가 반대로 오른손을 가슴 앞으로 들고 왼손은 다리 위에 두어 연蓮가지를 받쳐 든 모습이다. 두 보살상 모두 얼굴, 법의 등의 표현이 역시 상정이 1755년에 조성한 부천 석왕사 목조관음보살상과 닮았다. 즉 대웅전의 삼존상은 얼굴, 법의 표현 등으로 보아 상정 혹은 상정계 조각승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남양 흥국사 대웅보전 삼존상에서 주목되는 것은 삼존상 뒷면의 투조와 양각 기법으로 제작된 거신광배이다. 본존과 문수보살의 광배는 각각 3매의 판목을, 보현보살의 광배는 4매의 판목을 덧대어 못으로 고정시켜 틀에 끼웠으며, 광배 가장자리는 화려한 화염문으로 두르고, 광배 내에는 서로 다른 다양한 모습의 연꽃 여섯 송이를 조각하였다. 특히 따로 제작한 연화화생의 화불化佛은 광배에 끼워 입체감이 드러나도록 했는데 얼굴, 대좌 위로 무겁게 처지는 듯한 옷주름 등 상정계 불상의 특징이 그대로 드러난다. 석가여래상의 광배는 3구의 화불을 배치한 반면, 좌우 협시상의 광배에는 2구의 화불과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동자상 1구씩을 배치하여 각각이 문수와 보현보살의 도상을 나타내었다.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문수보살 좌측면 사자를 타고 있는 동자상,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보현보살 우측면 코끼리를 타고 있는 동자상,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18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조각승 중 하나인 상정은 범어사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상(1722), 고양 상운사 목조삼존불좌상(1713), 함양 도솔암 목조관음보살좌상(1707) 등을 조성한 진열의 불상양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상정과 진열이 함께 활동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진열의 부화승이었던 태원太元과 같이 1748년(영조24)에 장흥 보림사 신법당 불상 개금과 영광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 개금하여 진열계 조각승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삼존불좌상은 18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상정 혹은 상정계 조각승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조선후기 불상 중 광배를 갖추고 있는 유일한 사례로 이들 유파 조각승의 작품성과 조각적 역량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으로 생각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3구

    / 석가불 79×53cm

    / 보현보살 높이 73cm

    / 문수보살 높이 71cm

    재질/ 목재

    주소/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지정일/ 2011.03.08

    소유자/ 흥국사

    관리자/ 흥국사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