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정약용선생 묘 丁若鏞先生 墓

경기도기념물 제7호





조선후기 문신 다산 정약용茶山丁若鏞과 숙부인淑夫人 풍산홍씨豊山洪氏의 합장묘이다. 정약용은 1762년(영조38)에 출생하여 1836년(헌종2)에 사망하였다. 1785년에 정시의 초시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1789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792년에 홍문관 수찬修撰이 되어 축조 계획 중이었던 수원 화성의 성곽제도를 만들고, 축조의 공정을 단축시키는 거중기를 제작하였다. 1794년(정조18) 경기도 암행어사를 거쳐 이듬해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1801년(순조1) 천주교 신유박해辛酉迫害 때 포항 장기로 유배된 뒤에 강진으로 옮겨졌다.

유배 중에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다수의 책을 저술하여 정치·경제·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정약용선생 묘 전경, 2017 ©남양주시


정약용선생 묘,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묘역은 2단으로 되어 있는데, 상단에 단분으로 된 봉분이 있고 봉분의 용미龍尾를 가로질러 곡장이 둘러져 있다. 석물의 구성은 단출하다. 봉분 앞에 혼유석, 상석(폭 127cm), 육각향로석의 제단이 있다.

상석은 뒤편에서 계체석이 받치고 있고 앞쪽은 고리 장식이 있는 고석 2개가 받치고 있다. 상석의 서측에는 배설석排設石이 있는데, 배설석 뒤편과 동편에 1959년과 1974년에 세운 비석이 각각 세워져 있다. 비석의 형태는 옥개방부형이며, 2열로 된 비면의 표기는 부부의 위치에 따라 부인 이름을 좌편(동편)에 새겼다. 문인석은 없으며, 하계 바깥에 망주석(좌대 위 175cm) 1쌍이 있는데 세호細虎나 염우廉隅 장식없이 대석과 주신이 하나로 되었다.

묘역은 방치되었다가 1970년에 정비하기 시작하였으며 근래의 정비로 인하여 석재의 종류도 서로 다른 4가지가 혼재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기

    / 단분, 묘비 1기, 상석 1기, 향로석 1기, 망주석 1쌍

    주소/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산175-1

    지정일/ 1972.05.04

    소유자/ 사유

    관리자/ 남양주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