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한음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漢陰李德馨先生 墓 및 神道碑

경기도기념물 제89호




조선시대 광해군 대의 문신인 이덕형李德馨(1561~1613)의 묘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명보明甫이며, 호는 한음漢陰이다.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民聖의 아들이며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 1580년(선조13) 별시문과에 급제해 승문원承文院의 관원이 되었다. 1588년 이조정랑으로서 일본 사신을 접대하였고 1590년에는 대사간과 대사성을 지냈으며,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어 대제학을 겸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단독으로 일본의 겐소와 회담하여 그들의 침략을 공박하였고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명나라 장군 양호楊鎬를 설복해 서울의 방어를 강화하였다. 160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사陳奏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영의정이 되었다. 1613년(광해군5) 이이첨李爾瞻이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자 이항복李恒福과 함께 이를 적극 반대하다가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그 뒤 용진龍津으로 물러가 국사를 걱정하다 병으로 죽었다. 어렸을 때 절친한 이항복과 기발한 장난을 잘해 많은 일화가 전해진다. 저서로 『한음문고漢陰文稿』가 있으며,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한음 이덕형선생 묘,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이덕형의 묘는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와의 합장묘이며 봉분은 단분單墳으로 조성하였다. 봉분 아랫부분에는 최근에 화강암으로 만든 호석護石을 설치하였다. 봉분 바로 앞에는 방부원수方趺圓首 양식의 엣 묘표가 세워져 있다. 묘역에는 문인석·동자석·상석·향로석·망주석 등의 옛 석물이 갖추어져 있다. 문인석은 금관조복金冠朝服을 착용하고 묘역의 좌우에서 시립侍立하고 있다. 신체 비례가 균형을 잘 이루고 있으며 조각 솜씨 또한 뛰어나다. 묘역은 1984년에 새로 단장하였다.


한음 이덕형선생 신도비,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한편 묘역 아래의 비각에는 방부이수형方趺螭首形의 신도비가 안치되어 있다. 이수의 조각이 매우 생동감있게 표현되었다. 1653년(효종4)에 세운 것으로 비문은 용주 조경龍洲趙絅(1586~1669)이 지었고 글씨는 휴곡 오시복休谷吳始復(1637~?)이 썼으며 전액篆額은 정규상鄭奎祥이 올렸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기

    / 묘비 1기, 혼유석 1기, 상석 1기, 향로석 1기, 망주석 1쌍, 동자석 1쌍, 문인석 1쌍, 신도비 1기

    / 신도비 높이 360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1

    지정일 / 1985.09.20

    소유자/ 광주이씨 좌의정공파 종중

    관리자 / 광주이씨 좌의정공파 종중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