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김균선생 묘 金稛先生 墓

경기도기념물 제105호





조선시대 태조 대의 문신 김균金稛(?~1398)의 묘이다. 예의판서禮儀判書 김기연金起淵의 손자이자 증찬화공신贈贊化功臣 김지윤金智允의 아들이다. 공양왕 초기에 밀직부사를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참가하여 개국공신 3등에 녹훈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의정부좌찬성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제숙齊肅이다.



김균선생 묘,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김균선생 묘는 오랫동안 묘가 실전失傳되었다가 1799년(정조23) 13대손 김사목金思穆(1740~1829)이 광주유수廣州留守로 있을 때 고로故老들에게 수소문하여 묘를 다시 찾고 묘역을 개축改築하였다. 묘역은 상하분上下墳으로 조성하고 봉분마다 방형의 호석을 둘렀으며 묘역 주위에는 곡장을 쌓아 묘소를 보호하고 있다. 망주석 1쌍과 문인석 2쌍의 옛 석물이 있으며 장명등과 석양은 최근에 추가로 설치하였다. 봉분 좌측에 세워져 있는 방부원수方趺圓首 양식의 묘표는 비신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넓어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비신의 앞면에는 피장자의 신분을 쓰고 뒷면에는 음기陰記를 새겼다.


김균선생 묘 석물(좌),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김균의 묘역 동쪽 아래에는 1905년(광무30)에 건립된 신도비가 서 있다. 사모지붕 형태의 옥개석과 무문無紋의 방부를 갖추었으며 정방형 비신의 4면에 비문을 새겨 놓았다. 비문은 성균관좨주成均館祭酒 덕은 송병선德殷宋秉璿이 짓고 판돈령부사 해평 윤용구海平尹用求가 글씨를 썼으며 전前 비서원승秘書院丞 안동 김녕한安東金甯漢이 전액을 올렸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기

    / 단분, 묘비 1기, 장명등 1기, 문인석 2쌍, 석양 1쌍, 향로석 1기, 망주석 1쌍, 신도비 1기

    주소/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산89-1

    지정일 / 1988.03.21

    소유자/ 경주김씨 계림공파 종중

    관리자 / 경주김씨 계림공파 종중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