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김만기 묘역 金萬基 墓域

경기도기념물 제131호





조선 숙종 대의 문신인 김만기金萬基(1633~1687)의 묘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자는 영숙永淑, 호는 서석瑞石 또는 정관재靜觀齋이다. 사계 김장생沙溪金長生의 증손이자 참판 김반金槃의 손자이고 생원 김익겸金益兼의 아들이다. 김만기는 우암 송시열尤庵宋時烈의 문인으로, 1652년(효종3)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별시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되었다. 1659년 효종이 죽고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 문제로 논란이 일자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하였다. 1671년 딸이 세자빈에 봉해졌다.


김만기 묘역, 2003 ©군포시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국구國舅로서 영돈녕부사에 임명되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총융사가 되어 병권을 장악하였으며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대제학이 되었다.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許堅과 종실인 복창군福昌君 등이 역모를 꾀하자 이를 잘 다스려 보사공신保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삭직되었다가 뒤에 복직되었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 『서석집瑞石集』이 있다.


   

김만기 묘 묘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김만기 묘 문인석,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묘는 부인 청주한씨와의 합장묘이다. 봉분은 단분單墳으로 조성하였다. 봉분 아래에 원형의 옛 호석을 둘러 봉토 유실을 방지하였다. 봉분 앞의 좌우에 2기의 묘표가 세워져 있다. 좌측 묘표의 앞면 대자大字는 숙종이 친히 어필로 써서 1699년(숙종25)에 새긴 것이며 우측 묘표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지은 글을 김진규金鎭圭(1658~1716)가 써서 1688년(숙종14)에 세운 것이다.

묘역에는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인석의 옛 석물이 갖추어져 있는데 양식과 조각이 모두 뛰어나다. 상석을 받치는 고석은 최근에 새로 설치한 것이다.


김만기 묘 신도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묘역 바로 아래에는 방부개석方趺蓋石 양식을 갖춘 신도비가 서 있다. 팔작지붕 개석의 기왓골을 도드라지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비문은 송시열이 짓고 김진규가 글씨와 전액을 써서 1703년(숙종29)에 건립하였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687년)

    규모/ 일원

    / 단분, 묘비 2기, 혼유석 1기, 상석 1기, 향로석 1기, 망주석 1쌍, 문인석 1쌍, 신도비 1기

    주소/ 군포시 대야미동 158-6

    지정일/ 1992.06.05

    소유자 / 광산김씨 문충공파 종회

    관리자/ 광산김씨 문충공파 종회(김건중)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