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포천 고모리 산성 抱川 古毛里 山城

경기도기념물 제185호




<포천 고모리산성>은 고모산 정상부를 둘러서 쌓은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이다. 고모리 산성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2001년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에서 지표조사를 실시한 결과 문지 1개소·건물지 7동·우물지 1개소 등이 확인되었다.


고모리 산성 내성 동벽 20구간, 2001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고모리 산성은 포천군 소흘읍의 고모산(해발 386.5m)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고모산은 포천 분지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천천의 상류지역에 해당한다. 이 일대는 의정부·양주·포천·남양주 네 분지의 합류지점으로 사방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산성의 평면형태는 남북으로 긴 장방형이다. 내성벽의 동벽을 제외하면 나머지 북-서-남쪽의 성벽은 거의 같다. 외성은 대부분 유실되었지만, 남벽과 북벽에 남아 있다.



고모리 산성 내성 북벽 15구간, 2001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축조방법은 대체로 흙을 재료로 하는 토성이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토석혼축이, 동벽에서는 석축 구간도 확인된다. 토축 성벽은 바깥쪽은 삭토하여 경사도를 높이고, 상면은 성토하여 성벽을 축조하였다. 토석혼축 성벽은 암반면 위에 할석을 막쌓기로 2~3단 축조한 후에 그 위를 흙으로 성토하였다. 동벽 일부 구간에서 확인된 석축 성벽은 기저부에 잡석을 깔고 그 위에 할석의 편평한 면을 앞으로 하여 위로 갈수록 작은 돌을 사용하여 막쌓기 형태로 석축하였다.



포천 고모리산성 출토 토기, 2001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지표조사 결과 건물지에서 흑색마연연질의 직립구연 단경호 등, 3~5세기에 해당하는 백제토기가 주로 수습되었으며, 한성백제 이후 시기의 고구려나 신라, 통일신라의 유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한성백제기에 축성된 산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삼국시대

    규모/ 일원

    / 내성 둘레 96,7m, 외성 둘레 24m

    / 지정구역 86,628㎡

    재질/ 토석혼축성

    주소/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산64

    지정일 / 2002.09.16

    소유자 / 김석순 외 10인

    관리자/ 포천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