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평택 무성산성지 平澤 武城山城址

경기도기념물 제202호




<평택 무성산성>은 무성산(해발 104.7m)의 9부 능선을 따라 축조된 테뫼식 토축산성이다. 성벽의 둘레는 547m이고 평면형태는 남북이 길쭉한 장타원형에 서벽 일부가 돌출된 ㅓ자형이다.



평택 무성산성지 서문지,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성의 북쪽은 발안천이 흐르고 남으로는 자미산·비파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아산만 방향으로 뻗어 동서간의 교통로를 차단하는 요지에 해당한다.



무성산성지 성벽, 2004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와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에 조선전기 임경업장군이 쌓았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성벽은 동·남·북벽이 능선을 따라 경사면을 이용하고 서벽은 계곡을 가로질러 축조하였으며 성내 시설물로는 문지 2개소, 치성 2개소, 장대지 1개소, 추정 수구지 1개소, 건물지 6개소 등이 있다. 유물은 청동기~조선시대까지 다양한 시기가 확인되었다.



무성산성지 출토 기와 및 토기, 2004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무성산성은 출토유물과 축조방법을 고려할 때, 통일신라기에 축조되어 고려시대까지 활발히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같은 능선 상에 위치한 자미산성, 비파산성과 함께 안성천 하류의 해안방어와 육상 교통로를 함께 제어할 목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삼국~고려시대

    규모/ 일원

    / 둘레 547m, 지정구역 43,571㎡

    재질/ 토축성

    주소/ 평택시 청북면 옥길리 20-5

    지정일/ 2005.10.17

    소유자 / 이병우 외 14인

    관리자 / 평택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