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전곡선사박물관 특별전 〈돌과 나무의 시대〉 개막

2018-11-29 ~ 2019-09-15 / 전곡선사박물관

'전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곡선사박물관 홈페이지(jgpm.ggcf.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실험고고학으로 풀어낸 선사시대 도구이야기


전곡선사박물관 특별전 〈돌과 나무의 시대〉 개막


전곡선사박물관(관장 이한용)은 오는 11월 29일부터, 특별전시 〈돌과 나무의 시대〉를 개최합니다. 이번 특별전은 선사시대 사람들이 돌과 나무로 이룬 도구와 기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인류는 돌과 나무를 가공하고 결합하여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내었고, 이를 통해 산과 들, 그리고 바다로 영역을 확대하였습니다.




그동안 석기를 중심으로 조명되었던 선사시대가 ‘돌과 나무의 시대’였음에 주목하고 석기의 발전을 뒷받침한 ‘나무도구’를 집중적으로 소개합니다. 또한 쉽게 썩어 사라지는 나무유물과 이와 함께 사라진 선사시대 기술을 실험 고고학의 과정을 거쳐 복원하여 다양한 선사시대 결합도구도 선보입니다. 그리고 전곡선사박물관과 독일의 실험고고학자들이 함께 선사시대의 도구와 기술을 바탕으로 복원한 통나무배와 뗏목도 함께 공개됩니다.


돌도끼(좌), 주먹도끼(우) 사용사진


이번 전시는 총 6개의 코너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료와 도구의 특성, 실험 고고학의 성과를 소개합니다. 전시의 첫 장을 여는 ‘도구야 모여라’에서는 선사시대 주먹도끼에서 청동검과 쇠톱, 현대 기기까지, 인간의 손으로 사용하는 모든 도구를 한 눈에 망라할 수 있는 거대한 도구의 벽입니다. 100여점이 넘는 도구의 흐름을 따라가면 인류가 같은 목적을 위해 어떻게 도구를 발전시켰는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무를 다듬는 석기’ 코너는 인류가 나무를 더 정밀하게 다듬기 위해 어떻게 석기를 가공하였는지 보여줍니다. 주먹도끼 · 홈날석기 · 긁개 등 단지 깨진 돌이라 생각했던 각 석기들이 실제로는 가공을 위한 최적의 모양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석기, 자루를 만나다’ 코너는 보다 강한 도구를 향한 인류의 염원이 돌과 나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핍니다. 날카롭게 가공한 석기는 나무로 된 손잡이인 자루를 만나 인간 신체의 외부 영역으로 도구를 확장시켰고, 더 큰 도구를 만들고 더 멀리 더 정확하게 사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복원한 돌도끼(상) 및 자귀(하)


‘실험 고고학의 도전’ 코너는 선사시대의 제작기술이나 방법 등을 실험을 통해 복원을 시도하는 실험 고고학의 성과를 소개합니다. 석기에 남아있는 사용흔을 통해 사용한 나무의 수종과 도구의 목적을 과학적으로 추적하며, 선사시대 도구의 높은 효율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험 고고학의 성과는 선사시대 사람들이 놀랄 만큼 숙련된 기술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인류의 진격, 배’ 코너는 강가나 해안가에 한정되었던 인류가 도구의 발전을 바탕으로 배를 제작하여 더 깊은 강과 바다로 나간 배경을 설명합니다. 전 세계에서 출토된 다양한 배 유물에 대한 정보와 전곡선사박물관의 프로젝트의 성과물인 선사시대 통나무배와 뗏목을 선보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나무기술의 집합체, 집’에서는 인류가 다양한 도구로 점차 크고 단단한 집을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 길고 오랜 ‘돌과 나무’의 발전과정을 마무리합니다.


돌화살촉의 발전 양상


돌도끼 양상


이번 전시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전곡선사박물관이 독일의 실험 고고학자 울프 하인(Wolf Hein)과 함께 진행한 통나무배와 뗏목 복원 프로젝트의 결과물입니다. 전곡선사박물관은 개관 이래로 선사시대 도구와 기술 복원을 위해 다양한 실험고고학적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복원한 통나무배는 선사시대 기술과 도구를 바탕으로 50년 가까이 된 큰 잣나무를 통째로 가공한 것으로 그동안 진행한 실험 고고학의 성과를 집대성한 결정체입니다. 통나무배는 지난 10월 한탄강에서 직접 띄워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해당 통나무배와 뗏목 뿐 아니라 복원과정에 대한 정보와 다양한 주변 도구와 부산물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나무배, 뗏목 복원 및 시승


전곡선사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선사시대가 지니고 있던 막연한 원시적 이미지를 벗기고 생존을 위해 더 멀리 더 정확하게 도구를 제작하고자 했던 기술적 면모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번 전시는 오는 11월 29일에 개막하여 2019년 9월까지 무료로 진행됩니다. 전시기간 동안 매주 주말에는 참여자들이 직접 선사시대 기술로 ‘화살촉 목걸이’를 만들어보는 교육체험도 진행됩니다. 다가오는 겨울을 새로운 전시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준비된 전곡선사박물관에서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세부정보

  • 실험고고학으로 풀어낸 선사시대 도구이야기

    문의/ 031-830-5610

    홈페이지/ http://jgpm.or.kr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