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소다미술관

[소다미술관] 사물의 집 : HOUSE OF THINGS 展

2019-08-10 ~ 2019-11-24 /

사물의 집: House of Things


2019년 하반기, 소다미술관은 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일곱 가지 사물로 각기 다른 삶의 방식을 이야기하는 7인의 전시, <사물의 집: House of Things>전을 마련한다. 이번 전시는 집이라는 사적인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일상적 사물을 주제로 하고 있다. <사물의 집>이라는 전시제목이 그러하듯 특정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사람이 아닌 ‘사물’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전시장에 놓여진 것은 상투적 의미의 기물이 아니라 다양한 삶의 모습과 개인적 경험에서 출발한 의미 있는 대상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모두가 공감할만한 자전적 경험을 시작으로, 보편적인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낸 다채로운 작품들을 소개한다.


전시는 보잘것없어 보이는 사소한 사물들이 개인의 기억과 경험 속에 수많은 형태로 남는 것에 주목한다. 작가들 모두 궁극적으로 자신의 삶의 모습과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된 자기 정체성을 특정 사물에 각인시키고 있다. 그렇기에 곳곳에서 마주하는 사물들은 평범함에서 벗어난 듯, 마치 살아있는 인격체처럼 느껴진다. 그 어디에도 의미가 없는 것은 없다. 무언가를 투영시킨 대상화된 사물에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는 과정은 끊임없는 자기검열의 방식과 사유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사물의 집: House of Things>전은 일상과 밀착된 지점에서, 예술에 대한 실천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야기가 있는 사물’은 늘 보던 것과는 다르게 전시장 내에서 낯선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익숙하지만 생경한 대상을 관찰하고 색다른 관점으로 사유하는 과정을 통해, 관객은 자신의 삶이 다채로운 이야기들로 가득 채워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 전시개요

- 전시명: <사물의 집: HOUSE OF THINGS>

- 전시기간: 2019. 08. 10 - 11. 24

- 관람시간: 10:00 - 19:00 (매주 월요일, 명절연휴

- 전시장소: 소다미술관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707번길 30)

- 전시문의: 070-8915-9127 


첨부파일
    ,
글쓴이
소다미술관
자기소개
건축, 디자인, 예술 영역을 넘어 다양한 문화적 컨텐츠를 담는 디자인 건축 미술관, 소다 소다는 화성의 최초 사립 미술관으로서 오랫동안 방치된 대형 찜질방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디자인·건축 미술관으로 재탄생시킨 문화 재생 공간입니다. 기존의 고답적인 미술관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과 가능성을 모색하는 미술관으로서 문화 불모지인 인근지역에 도시재생의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소다는 우리 삶에서 버려진 것들이 ReDesign (ReD)디자인 순환과정을 통해 재발견-재해석-재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철학으로, 창작자들과 대중이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적, 체험적 문 화 소통의 공간적 매체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