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경기 : 천년의 문화사』 - 경기, 천년 문화의 정체성과 미래 -

경기학광장Vol.2 _ Column & Study

< 『경기 : 천년의 문화사』 - 경기, 천년 문화의 정체성과 미래 ->


- 경기학광장Vol.2 _ Column & Study -



경기학광장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가 발간하는 계간지입니다. 경기도와 31개 시군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있는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고자 합니다. 전문학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가진 누구라도 즐길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어두겠습니다. 경기학광장의 더 많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서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를 일목요연하면서도 전반으로 알고자 하는 경기인이라면 반드시 『경기 : 천년의 문화사』를 필독하기를 권한다. 현재의 경기도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그 문화의 흐름과 양상이 어떠하였는지 등을 고려 전기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살펴볼 수 있는 책이기 때문이다.


책의 전체적 구성과 각 책의 편성


 본서는 3책으로 구성되었고, 경기문화재단과 중부일보가 기획하여 연재한 내용을 경기 그레이트 북스 시리즈의 첫 번째 기획물로 출간하였다. 본서는 경기제가 처음 실시된 1018년을 기준으로 고려 전기, 고려 후기~조선 전기, 조선 후기~현대로 시대구분을 하여 경기제 시행 1천 년이 되던 2018년에 출간되었다. 각 시대의 주요 테마 혹은 쟁점들을 120항목으로 구성하여 알기 쉽게 대중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동원된 학자 혹은 전문가들만 40여 인 이상으로 경기도에 거주하는 관련 학자들 대부분이 참가하였다.

 1책은 10인(김성환, 김영미, 박경식, 서영일, 심영신, 이경미, 이원복. 이재범, 장덕호, 홍순석), 2책은 김성환 외 9인(김영미, 박경식, 서영일, 심영신, 이경미, 이원복, 이재범, 장덕호, 홍순석)이 동원되었으며(349쪽), 3책은 379쪽으로 31인의 학자가 동원되었다(김성환, 유지인, 이경일, 강진갑, 김기봉, 김덕묵, 김덕진, 김상헌, 김성환, 김종혁, 김형목, 김형섭, 남창근, 박철하, 박형규, 배은석, 석화정, 신영담, 은정아, 이달호, 이동근, 이동헌, 정성희, 정해은, 조성운, 차선헤, 최용환, 최형국, 허동현, 황금회, 황병주).

 3책의 분량을 합하면 1천 쪽이 넘는 양이다. 그러나 본서를 읽는데 분량은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 전부 120개 항으로 구성된 내용은 이미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중부일보에 게재되면서 문장에서부터 내용까지 꼼꼼히 독자 편의에 따라 가독력 높게 편집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엄격하게 선정된 도면이나 사진 등이 눈에 잘 들어와 전혀 지루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기서 이 책의 목차를 전부 소개하는 것은 사족일 수 있다. 방대한 양의 목차를 나열하는 것은 지면만 할애할 뿐이다. 3책으로 제작된 각 책을 부 단위로 서술하는 편이 이해나 전체적인 성격 파악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




고려 국도 개경과 경기<1책>


 먼저 1책에 관한 것이다. 1책은 고려 전기의 경기를 소개한다. 1부는 ‘고려의 건국과 경기’로 고려가 후삼국시대의 호족들에서부터 어떤 경로로 고려가 되었는가 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2부 ‘고려의 국도 개경과 경기제’에서는 고려의 국도인 개경의 상황과 1018년에 이루어진 제도로서의 경기를 확인할 수 있다. 국가적 행사였던 팔관회(八關會), 개경의 관문 벽란도(碧瀾渡) 등의 항목을 찾을 수 있다. 3부 ‘고려시대의 경기인’에서는 문벌귀족으로 성장하여 고려 국정을 수행하였던 가문들과 경기에서 배출된 인물들을 서술하였다. 시흥의 강감찬(姜邯贊)·이천의 서희(徐熙)·파주의 윤관(尹瓘) 등의 국난 극복의 구국 인물들과 함께 의천과 같은 사상가에 대해서도 지면이 할애되어 있다. 4부 ‘고려의 문화유산’은 고려의 청자 등 공예품과 석조 문화재 등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인쇄술과 같은 기술문화와 함께 몽골의 침략을 받아 강화 천도(遷都) 시의 문화를 소개하기도 한다.




국가 근본의 땅, 경기<2책>


다음 2책은 고려 후기에서부터 조선 전기까지를 엮었다. ‘국가 근본의 땅(國家根本之地), 경기(京畿)’를 주제로 이와 합당한 주제들을 수록하였다.

1부 ‘고려 후기 경기문화의 동향’에서는 고려의 정체성 찾기를 몽골 침입과 경기인(京畿人)의 항전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조선의 국시라고 할 수 있었던 성리학의 도입과 성균관 운영 등에 관한 서술도 수록하였다. 이 밖에도 고려말 조선 초의 경기도의 사상과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2부 ‘시대의 전환기를 이끈 경기인’에서는 중국의 원·명 교제기에 활동하였던 국제적 리더로서의 고려인인 이제현(李齊賢)·김방경(金方慶)·최영(崔瑩)·변안렬(邊安烈) 등을 소개하며,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전환기에 처신하였던 인물들로 이집(李集)·박전지(朴全之)·조광조(趙光祖)에 이르기까지 소개하고 있다. 3부 ‘그림으로 보는 경기’에서는 초상으로 남은 태조와 공민왕 등의 국왕과 고려 후기 경기의 그림들, 그리고 한양과 개성의 풍광 등이 소개되고 있다. 경기도의 직업 화가와 문인 화가들에 관한 내용은 보너스라고 할까?

4부 ‘조선 건국과 경기제의 확대’에서는 지도에 그려진 경기, 조선에서 추모한 숭의전(崇義殿), 그리고 조선의 틀을 세운 정도전(鄭道傳)과 그의 삼봉집(三峯集)에 이르기까지 내용이 다양하다. 그리고 국가 최대의 국난이었다. 임진왜란을 당했으나, 한양을 복구하고 격퇴하여 자존감을 살렸다는 사실도 실려 있다. 5부 ‘조선 전기의 경기문화’에서는 사상과 학문, 예술 등에 치중하였다. 양주 회암사(檜巖寺)의 무학(無學)대사와 함께 나옹(懶翁)· 지공(指空)을 소개하고, 여주 신륵사의 전탑(塼塔)을 서술하여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의 불교 맥락을 알게 하였다. 그리고 광주의 백자 요지에 관해서는 두 번에 걸쳐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그 밖에 조광조(趙光祖)를 모신 용인 심곡서원(深谷書院)과 향교 등을 수록하여 조선시대의 문화 전반을 통찰할 기회를 주고 있다.




문명의 전환과 경기의 미래<3책>


3책은 ‘문명의 전환 관점에서 바라본 경기 천년’이라는 주제로 근대화와 경기의 미래와 관련된 항목들로 구성하였다. 1부 ‘조선 후기 경기인의 삶과 신문명, 그리고 실학’에서는 병자호란과 이를 통하여 들어온 서학(西學)과 연행사(燕行使)들의 확대, 그리고 이에 자극을 받아 일어난 실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김육과 대동법의 시행을 실천적 실학의 전개를 소개한다. 그리고 정약용에 이르러 한 시대의 지성인을 살펴보고 있다. 2부 ‘근대를 접한 경기인’에서는 개항과 외세의 접촉에 직면한 경기도와 경기인들의 삶을 살펴보고 있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겪으면서 조선이 취해야 할 외교정책을 대원군의 위정척사에 비추어 조명하고 있다. 특히 양평의 이항로(李恒老)와 그의 화서학파의 사상에 관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청일전쟁·러일전쟁이라는 외세 간의 전쟁이 치러졌던 안산의 풍도와 인천의 팔미도 등의 소개도 잊지 않았다.

3부 ‘일제강점기의 경기도’에서는 일제의 강점 아래 놓인 경기도의 상황을 중심으로 수록하고 있다, 경성부 조선총독부의 직접적인 지배를 접한 경기도의 실상을 소개한다. 그리고 경기도인의 불굴의 투쟁을 소개하기도 한다. 소작 농민과 농민 운동도 빠트리지 않고 있다. 4부 ‘경기도의 현재, 그리고 미래 이야기’에서는 해방과 6·25전쟁으로 인한 혼란, 그리고 민주화 운동 등을 통하여 경기도의 현대사를 조명하고 이를 근거로 미래의 경기도를 조망하고 있다. 특히 미래의 경기도를 서울특별시와 차별화하여 개성의 역사성과 문화를 돋보이게 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 조명을 통하여 미래의 경기를 문화적으로 어떤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추진하여야 하는가를 서술하고 있다.


『경기 : 천년의 문화사』가 말하는 것


경기도 정체성 확립과 총체적 이해


1천 쪽이 넘는 『경기 : 천년의 문화사』는 독자에게 경기도의 실체와 시대적 특성, 문화적 차이 등을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경기도는 백제에서부터 고려·조선을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의 중심에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조선으로 계승되어 경기도의 역사 문화적인 정체성은 ‘조선 근본의 땅 (朝鮮根本之地), 경기(京畿)’로 상징화되었음을 알려준다. 경기는 왕권 국가였던 전통시대에 있어서 가장 먼저 왕의 시책이 실행되었던 지역으로서 ‘중심이자 처음’이라는 정체성을 확인시켜 준다.

918년 왕건(王建)이 철원(鐵圓)의 궁예를 축출하고 송악(松 嶽 : 開州)으로 919년에 천도하여 경기도는 천하의 중심이 되었다. 고려는 936년에 신라와 후백제를 통합하고 발해 유민을 수용하여 명실상부한 ‘삼한일통(三韓一統)’의 군주가 되어 이후부터 지근거리의 서울과 함께 천년을 넘은 하나의 문화적 공동체로서의 지역적 개념을 창출하였음을 본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른바 ‘경기문화(京畿文化)’라는 새로운 유형의 문화 창조 고향이 경기도임을 알게 한다.


경기도의 지역성과 차별성 인식


본서를 통하여 또 잘 알 수 있는 사실은 경기도는 경기인으로 통칭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그보다 더 작은 행정 단위의 사람으로 인식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경기인이라고 불리기보다 안성인, 개성인, 여주인 등으로 시·군 단위의 인식이 더 강하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신도시의 건설과 많은 인구 이동으로 그러한 경향이 사라졌지만, 경기도는 호남이나 영남처럼 광역의 의미보다 협의의 지역 의미가 강한 지역이었다고 한다. 국도와 가까운 경기도는 시· 군의 문화나 경제적 수준이 독립성과 차별성을 갖게 하였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국도와 가까운 경기도의 역사적 특성을 알려주기도 한다. 그리하여 한양과 경기와의 관계를 나무에 있어서 줄기와 뿌리로 비유하기도 한다. 1540년(중종 35)에 경기관찰사로 부임하는 임백령(林百齡)에게 국왕은 “나라에 경기가 있는 것은 나무에 뿌리가 있고, 물에 샘이 있는 것과 같다. 경기 정치의 잘되고 못됨은 나라 전체와 큰 관계가 있다”라고 하며 경기관찰사의 임무가 막중함을 주지시키고 충실히 수행하기를 분부한 적도 있다.

그러므로 지역성이 강하고 문화의식이 앞서 있는 경기인을 통치하는 데 있어서 법과 원칙과 함께 인화(人和)가 우선이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정치나 병법에서 ‘하늘의 도움이 있어야 하고(天 惠), 땅의 이로움(地利)도 필요하지만, 사람과의 교화가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하지만, 경기도에 있어서는 특히 인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특성을 의미하고 있다.


미래 지향의 경기도와 희망의 메시지


본서가 갖는 특징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점은 미래 지향적이라는 사실이다. 많은 역사 서적들이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과거의 사실을 충실히 그리는 데 치중하였다면, 본서는 그러한 바탕 위에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본서가 출간된 시기는 경기제 시행 1000년이면서 고려 건국 1100주년이 되는 2018년이었다. 이 시기는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라는 구호 아래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시기였다. 본서는 이 시기에 발간되어 미래의 경기 천년과 궤를 같이하게 되었다. 본서에서는 예견이라도 하듯 미래에 대해 전망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미래의 전망은 ‘문명의 전환’이다.

경기도는 우리 역사에서 지리적으로는 중심이었고, 정치적으로는 권력이 집중된 지역이었다. 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과학에 있어서도 융복합된 여러 요소가 첨단의 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경기도의 미래로의 전환은 다른 지역보다 우월한 위치에서 시작이 될 것이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은 바로 경기도에 가장 적합한 금언이라고 생각해 본다.

역사란 우연과 필연적인 요소에 의하여 발전한다고 한다. 그러나 경기도는 지정학적 위치로 볼 때 우연보다 필연적인 요소에 의하여 발전해 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미래에도 경기도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월등할 것이라는 점은 필연에 가깝다. 경기도는 이러한 다양한 첨단 요소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미래를 여는 지역으로서 미래의 천년을 향한 발걸음을 내디뎌야 할 것이다. 본서가 전해주는 경기도의 미래의 모습이자 희망의 메시지다. ‘날로 새로워지리라(日新又日新)’를 첨언해 본다.



글 이재범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경기대 사학과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사적분과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후삼국시대 궁예정권 연구』, 『슬픈 궁예』 『나의 일본 여행』 등이 있다.

더 많은 경기학광장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바로가기]




세부정보

  • 경기학광장 Vol.2 _ 2019 가을호

    발행처/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

    발행인/ 강헌

    기획/ 이지훈, 김성태

    발행일/ 2019.10.18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