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국립현대미술관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 연계 공연 <망각과 환영의 간격> 온라인 공개


▲ MMCA《이승조_도열하는 기둥》 헌정곡 공연 온라인 공개_스틸컷01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전시와 연계하여 위촉한 현대음악 헌정곡, <망각과 환영의 간격>의 초연을 유튜브를 통해 11월 5일(목) 오후 4시 공개합니다.


한국 기하추상 회화를 견인한 모더니즘의 개척자 이승조의 작업세계를 기리는 헌정곡 〈망각과 환영의 간격〉(2020)은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의 기획 과정에서 작곡가 송향숙에게 위촉되었습니다.


이번 곡은 이승조의 작가노트에서 드러나는 현상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회화의 조형성을 시간적인 청취와 진동의 잔상으로 재해석한 실내악입니다. 캔버스 위에서 끊임없이 재생되는 치열한 붓질과 세공의 시간을 주제로 하여 관·현악, 성악, 타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목관악기 피콜로의 명쾌하고 높은 음으로 시작하는 7개의 악장은‘틀, 그 안의 리듬’, ‘지워진 경계의 색채’, ‘유희: 유동적이며 분절적인 노래’ 순으로 진행되고, 제 4악장 ‘속도의 얼룩’에서 크라이막스에 이릅니다. 이어지는 악장들은‘의식과 행위’, ‘무중력한 관계’, ‘틀, 그 안의 벌어짐’으로서 각각의 악장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미술과 무용,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와의 협업을 진행해온 작곡가 송향숙은 “이승조의 정신적 발현이 또 다른 진동의 층위로 환원되기를 바란다”고 곡의 취지를 밝히며 특히,“색이 칠해지고 지워지고 다시 덧칠되어 윤기를 만들어내는 작가의 행위를 발화와 침묵의 관계로 변주하여 대위적 구조로 완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공연은 현재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전이 진행중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1전시실과 중앙홀에서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온라인 공개를 목표로 무관중 초연됐습니다. 순수한 회화로의 환원을 지향했던 이승조의 작품과 함께 즉흥적인 소리들의 충돌을 엮어내며 작가가 전 생애에 걸쳐 몰두했던 구축적인 회화의 무한성을 전달합니다. 공연에는 6명의 연주자 김은혜(타악기, 하모니커), 박신혜(바이올린), 서지원(플룻, 피콜로), 이수정(첼로), 정원강(색소폰), 조윤조(성악)와 지휘자 김승림이 참여하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전시 공간에서 이승조 회화의 미학적 잔상과 되울림(resonance)을 선사할 이번 공연은 11월 5일(목) 오후 4시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youtube.com/MMCAKorea)를 통해 약 20분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승조 작고 30주기를 맞아 작가의 작업세계를 기리는 헌정곡을 젊은 작곡가 송향숙에게 위촉한 것”이라며, “현대음악과의 협업을 통해 작가의 작품과 추상미술의 이해를 한층 더 넓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한편,《이승조: 도열하는 기둥》전은 11월 8일(일)까지 관람가능합니다.




■ 송향숙(1978년생) 작곡가 소개


서울대학교 작곡과 졸업(이신우, 김정길 사사), 2005–2010 리옹 국립고등음악원 졸업, 이후 파리전자음악 연구소 이르캄(IRCAM)의 젊은 작곡가를 위한 프로그램 ‘CURSUS1’을 이수했다. 프로젝트 21 앤드(project21 AND)의 위촉 작곡가로 악보출판과 음반을 발매했으며 2017년 윤이상 탄생 100주년 주간 《위너스 & 마스터스 시리즈》에서 작곡가 진은숙의 위촉으로〈Solos〉를 발표했습니다. 2019년에는 오보에와 비올라를 위한 〈완전히 흐릿하고 지나치게 가까운〉을 발매했다. 미술과 무용, 비디오와의 합동창작에 관심이 많아 다양한 협업의 과정 속에 그 음악적 발화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채널

누리집: mmca.go.kr

인스타그램: instagram.com/mmcakorea

유튜브: youtube.com/MMCAKorea

페이스북: facebook.com/mmcakorea

트위터: twitter.com/mmcakorea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