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코로나19 예술백신TFT

예술로 전염되다

2020-06-01 ~ 2020-07-31 / 신형미

 <예술로 전염되다>는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심리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소상공인들에게 예술을 통한 위로와 격려를 주고자 기획됐다. 많이 지쳐있을 소상공인들에게 긍정적인 기분 전환을 제공하고자 프로젝트 참여지원자들을 모집했고 선발된 상점의 창문에 하얀 마커로 윈도우 아트를 제작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내용이었다.




창작자는 단순히 인테리어 목적이 아니라 코로나로 위축되었던 국면을 회복하고자 하는 상점들을 고르고, 상점의 안팎을 오가는 시민들도 함께 향유할 수 있는 위치를 골라 총 세 곳의 상점을 선정했다.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개인 미용실, 부부가 운영하는 작은 테이크 아웃 커피숍, 용인 수지에 위치한 어린이집을 선정해 윈도우 아트를 진행하여 사업장의 분위기 전환을 유도하고 지나가는 시민들과 어린이들이 즐겁게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창작자는 이 프로젝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본 프로젝트는 코로나로 인해 심리적으로 지쳐 있는 소상공인에게는 환경개선을, 시민들에게는 이미지를 통한 격려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참여자를 모집하는 과정과 참여자 선정과정에서 진행된 참여 동기를 듣는 시간 자체가 코로나로 인해 지쳐 있는 소상공인들에게 작은 격려가 되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 작업을 진행한 본인도 본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좀 더 코로나 위기상황에서 주변을 돌아보는 시간과 진정한 ‘함께 나눔’을 경험하는 귀한 시간이었다. 소상공인들에게 이미지를 통한 격려 그 이상을 넘어 그 지역의 주민들과 함께 이미지를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본 프로젝트에 참여되는 인원은 그 이상이었다고 본다.” - 기획 의도 中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코로나19 예술백신TFT
자기소개
코로나19 상황 속 문화예술계 지원 및 도민의 문화향유 기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