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기관 회원부터 경기도 예술인 및 개인 회원까지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회원은 경기도 문화예술 콘텐츠를 지지씨플랫폼에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문화예술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 및 개인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지지씨플랫폼 운영 가이드
지지씨는 회원 여러분의 게시물이 모두의 삶을 더욱 아름답게 해 줄 거라 믿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은 여러분이 작성한 게시물을 소중히 다룰 것입니다.
제1조(목적)
본 가이드는 재단법인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지지씨(www.ggc.ggcf.kr. 이하 ‘지지씨’)’의 기관회원(이하 ‘회원’)의 정의 및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회원의 생산자료에 관한 기록 저장과 활용에 관한 내용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정의)
본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지씨’는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의 생산자료 등록과 확산을 위해 경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입니다.
② ‘회원’이란 소정의 가입 승인 절차를 거쳐 지지씨 글쓰기 계정(ID)을 부여받고, 지지씨에 자료 등록 권한을 부여받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 및 유관기관을 의미합니다.
‘생산자료(=콘텐츠)’란 ‘회원’이 지지씨 플랫폼 상에 게재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그림, 사진, 동영상, 링크 등으로 구성된 각종 콘텐츠 자체 또는 파일을 말합니다.
제3조(가이드의 게시와 개정)
① 경기문화재단은 본 가이드의 내용을 ‘회원’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지지씨 플랫폼의 기관회원 등록 안내 페이지에 게시하여, 자유롭게 내려받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② 본 가이드는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플랫폼 운영 정책 및 저작권 등 관련 법규에 따라 개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를 개정, 적용하고자 할 때는 30일 이전에 약관 개정 내용, 사유 등을 '회원'에 전자우편으로 발송, 공지합니다. 단, 법령의 개정 등으로 긴급하게 가이드를 변경할 경우, 효력 발생일 직전에 동일한 방법으로 알려 드립니다.
1. 본 가이드의 개정과 관련하여 이의가 있는 ‘회원’은 탈퇴할 수 있습니다.
2. 경기문화재단의 고지가 있고 난 뒤 효력 발생일까지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았을 경우, 개정된 가이드를 승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4조(회원자격 및 가입)
① ‘지지씨’의 ‘회원’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과 유관기관으로 합니다. ‘회원’은 글쓰기 계정을 부여받은 후 지지씨에 생산자료를 등록하거나, 게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② ‘지지씨’의 가입 신청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계정 신청서를 작성,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1.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지지씨에서 내려받기 한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지지씨 계정 신청서’를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ggc@ggcf.kr)로 제출, 승인 요청을 합니다.
2. 한 기관에 발급되는 계정은 부서별/사업별로 복수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사용자 편의 등을위해 기관 계정 관리자 1인이 복수 계정의 발급을 신청한 경우, 승인 불가합니다.
3. ‘회원’ 계정은 신청인이 속한 기관명/부서명/사업명 등의 한글로 부여됩니다.
4. ‘회원’은 계정 발급 후 최초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5. 계정의 비밀번호는 가입 승인된 계정과 일치되는 ‘회원’임을 확인하고, 비밀 보호 등을 위해 ‘회원’이 정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③ ‘지지씨’ 가입 신청 방법은 내부 방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가입 신청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경기문화재단은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신청에 대하여 승인 불허 혹은 사후에 계정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1. 과거 회원자격 상실 회원. 단, 경기문화재단과 회원 재가입 사전 협의, 승인받은 경우는 예외로 함
2. 정보의 허위 기재, 저작권 등 관련 법률을 위반한 저작물 게시 등 제반 규정을 위반한 경우
⑤ ‘회원’은 회원자격 및 지지씨에서 제공하는 혜택 등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할 수 없습니다.
⑥ ‘지지씨’는 계정과 생산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별표〕에 따라 ‘회원’을 구분합니다. 회원 구분에 따른 이용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제5조(회원 정보의 변경)
① ‘회원’은 언제든지 가입정보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기관명, 부서명 등의 변경에 따른 계정 변경도 가능합니다. 단, 계정 변경시에는 계정(신청/변경)신청서를 다시 작성, 제출해야 합니다.
② ‘회원’은 계정 신청 시 기재한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전자우편 등 기타 방법으로 재단에 대하여 그 변경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③ 제2항의 변경사항을 알리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6조(회원 탈퇴 및 정지‧상실)
① ‘회원’은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 전화 및 경기문화재단이 정하는 방법으로 탈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조속히 탈퇴에 필요한 제반 절차를 수행합니다.
② ‘회원’이 탈퇴할 경우, 해당 ‘회원’의 계정 및 가입 시 작성, 제출한 개인정보는 삭제되지만, 탈퇴 이후에도 등록자료는 ‘지지씨’에서 검색, 서비스됩니다.
③ ‘회원’ 탈퇴 후에도 재가입이 가능하며, 탈퇴 전과 동일한 아이디를 부여합니다.
제7조(생산자료의 게시와 활용)
① ‘회원’은 글쓰기페이지(www,ggc.ggcf.kr/ggcplay/login)를 통해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지지씨’에 접속합니다.
② ‘회원’은 ‘지지씨’ 에디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해당 기관의 문화예술 관련 자료를 게시 및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사업의 일몰, 기간의 종료, 추진부서의 변경 등의 사유로 삭제는 불가합니다.
③ ‘회원’은 ‘지지씨’에 게시한 해당기관의 자료를 뉴스레터, SNS 등 온라인 매체로 확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타기관의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 사용 협의 및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④ ‘회원’의 게시물은 도민 문화향수 확산을 위해 출처를 밝히고 뉴스레터나 SNS 등의 채널에 가공 없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제8조(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관리에 대한 의무)
① ‘회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으며,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② ‘회원’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 이를 즉시 경기문화재단에 알리고 재단의 안내를 따라야 합니다.
③ 본조 제2항의 상황에 해당하는 ‘회원’이 경기문화재단에 그 사실을 알리지 않거나, 알린 경우라도 경기문화재단의 안내에 따르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경기문화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9조(회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무)
① 경기문화재단은 지지씨 계정 신청시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정 관리자 이름 2. 사무실 연락처 3. 담당자 전자메일
② ‘회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보호됩니다.
③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 누리집 하단에 공개하며, 개정시 그 내용을 ‘회원’의 전자메일로 알립니다.
제10조(사용자 권리 보호)
① ‘회원’의 게시물이 저작권 등에 위배될 경우 경기문화재단은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바로 삭제조치합니다. 이와 관련한 분쟁은 「저작권법」 및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을 따릅니다.
②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게시물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이거나, 관련 법령을 위배하는 등지지씨의 운영 정책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회원’과 협의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의 게시물로 기관의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당하셨다면,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의 고객상담(VOC)을 통해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정책 규정을 따라 처리될 것입니다.
본 약관은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의 승인을 얻은 날부터 시행됩니다.
대분류 | 외부기관 | 경기문화재단 |
---|---|---|
중분류 | 뮤지엄(박물관,미술관)/협회/문화예술공공기관/시군청 담당부서 등 | 본부/기관 |
아이디 | 사업부서명/사업명 | 사업부서명/사업명 |
글쓴이 노출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 안내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지지씨 관리자 이메일로 제출해 주세요.
경기문화재단
Literary Painting and Royal White Porcelain
The 2020 Joongbu Ilbo series 〈Gyeonggi-do Museum〉 is a content produced in a total of 10 series by the GyeongGi Provincial Museum, which has undergone a complete re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hall in celebration of the 25th anniversary of its opening. If you would like to see more detailed 〈Gyeonggi Province Museum〉, you can enjoy it in the original text on the Jungbu Ilbo website. |
Lead the culture of Joseon
Gyeonggi, which was the cultural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was at its center. The four-grandfather culture honed literature and art. Calligraphy and painting, centered on literary people, developed to a high level, and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hometown of royal white porcelain and the best ceramic production area in Joseon. There was also a GyeongGi at the center of science and thought. In the 16th century, leading the Hwadam School and Yulgok School, progressive studies such as Silhak and Seohak in the 18th century grew around Gyeonggi. Gyeonggi-do people with academic openness and flexibility were pioneers in preparing for the future by changing their lives.
[Photo] Misu Heo Mok's Letters and Pictures (眉叟筆帖)
This is the writing album of Heo Mok (1595-1682), a young man from Yeoncheon. Although he is a tattoo and a Confucian scholar, he has excellent skills in drawing and writing. Particularly, he has mastered the entire book called Misuche (眉叟体) and received reviews as the first man in the East.
Center of science and thought
Gyeonggi-do played a role as a center of stud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it received the intellectual nutrients of Hanyang and was equipped with openness,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In the 16th century, the world of thought was led by the Hwadam School of Seo Gyeong-deok (1489-1546), whose base was Kaesong, and the Yulgok School of Lee (1536-1584), whose base was Paju. In the 17th century, a new perspective began to be presented to the study of Sung Confucianism, centering on the Gyeonggi area. Park Se-dang (1629-1703) attempted to establish Yangming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Juja Studies, and Jeong Jeong Doo (1649-1736) led the Ganghwa School by studying Yangming Studies in Ganghwa Island.
In the 18th century, Gyeonggi Province emerged as a center of reform and progressive academics such as Silhak and Seohak. The intellectuals of Gyeonggi with academic flexibility such as Huh Mok, Yi, Yi, Kang Se-hwang, Chae Won, Jeong Yak-yong, and Lee Seung-hoon actively responded to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aid attention to national reform for the people. In particular, it sought to improve the lives of suffering people by reforming the unequal land system and tax system.
[Photo] Kang Se-hwang's portrait
This is a portrait of Kang Se-hwang (1713-1791), a representative literary painter during the British and King Jeongjo periods. He lived in Ansan, interacted with painters such as Kim Hong-do, Sim Sa-jeong, and Choi Buk, and literary men called Ansan 15 Haksa, and was called the head of the Yew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ortrait was seen when he was 71 years old. Although the artist is unknown, it is a half-figured figure of skill like a portrait drawn by Lee Myung-ki.
Worksheets of the grandfather and flower gardeners renowned for their paintings and writing
The tradition of art developed in the Gyeonggi region including Gaes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passed down to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 new style of style was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 of Goryeo and the method of speaking in China. In the Gyeonggi area, a suburb of Hanyang, the literary warriors' calligraphy and painting activities and the painters, professional painters from Gyeonggi Province, stand out.
The brothers Kang Hee-an (1418-1464) and Kang Hee-Meng (1424-1483), who were active in Siheung, were literary painters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o were born in the prestigious family of Kang Jinju. Pocheon's Yangsaeon (1517-1584) was good at Haehae and Chaoseo, and Seokbong Hanho (1543-1605) was active in Kaesong and created the 'Seokbongche', a typeface unique to Joseon.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Josok (1595-1668) spent ten thousand years in Anyang, Heo Mok from Yeoncheon (1595-1682), Odalje (1609-1673) and Nam Guman (1629-1711), who were related to Yongin, and floods from Seonbu-dong, Ansan. Ju (1642-1704) and others worked as literary artists.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Kang Se-hwang (1713-1791), in particular, lived in Ansan, developing the theory of painting creation through exchanges with literary men there and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Namjongmunhwa. With regard to the rise of painting during this period, Ansan area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area after Hanyang. These include Kang Se-hwang, who led the three verses of Siseo-hwa, his student Kim Hong-do (1745-1806), and Nam Jong-hwa's master Ju Ji Jeong (1707-1769).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inwi (1769-1845) and Kim Jeong-hee (1786-1856) performed literary activities in Siheung and Gwacheon at the foot of Mt. Gwanak. Shin-wi, along with Lee Jeong and Yu Deok-jang, left a reputation as one of the three major mukjuk painters in the Joseon Dynasty. ), and reached the peak of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era.
[Photo] White porcelain jar (白磁壺)
Like a moon jar, the angled snout and the line flowing down from the round shoulder are beautiful. It is a representative work of a white porcelain jar with its voluptuous shape and soft color. The trace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made separately and joined remain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floor has traces of burning with s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in a Geumsa-ri kiln in Gwangju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birthplace of Goryeo celadon and Joseon white porcelain
Among the traditional cultures of Gyeonggi-do, ceramics from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Goryeo celadon generators can be seen in kiln products in Seori, Yongin and Bangsan-dong, Siheung during the Goryeo Dynasty. Goryeo white porcelain made in Seori and celadon made in Bangsan-dong are believed to be the earliest products of Goryeo ware. Even when celadon was made in Gangjin and Buan in the heyday after the 11th century, porcelain was produced in local kilns such as Bojeong-ri, Yongi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inest white porcelain was produced and supplied to the royal family in the Gwanyo of the Saongwon branch in Gwangju (廣州). 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tion of Joseon white porcelain was carried out by moving and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 through the index survey of the Gwanyo kiln site in Gwangju and the excavation of Domari, Usan-ri, Songjeong-ri, and Bunwon-ri.
Chosun society, which was aimed at the ideal society of Confucianism, emphasized frugality and practicality in ceramic culture. Sejong allowed only white porcelain to be used as royal vessels, so the technique of making white porcelain was able to develop rapidly under the interest of the royal family. Gwanyo was operated from the late 15th century until 1884 when it was privatized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producing royal white porcelai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Bunwon white porcelain has a unique aesthetic that emphasizes the overall tone, although the model, pattern, and decoration are not simple and colorful with the intention of the royal family to embody Confucian virtues.
-Bonsoo Park (Director of Curator, GyeongGi Provincial Museum)-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