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12. 그럼에도 삶은 계속된다

전곡선사박물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수록 서울신문 2019-11-13 33면


중국 시안의 진시황릉을 방문했을 때 그 엄청난 규모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참으로 대단한 진시황이구나 하면서도 한편으로 얼마나 죽음을 두려워하고 죽기가 싫었으면 자기 무덤을 이리도 호화롭게 꾸몄을까 하는 가련한 생각도 들었다.


인간은 언제나 자기가 모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준비하거나 연기할 수 없는 게 죽음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누구나 죽는다. 구석기시대 이래 수없이 많은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났지만 결국은 모두 죽었다. 단 한 명도 죽는다는 경험을 겪지 않을 수 없다.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죽음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다.


한 사람의 인생은 죽음으로 끝나지만 남은 사람들은 죽은 이의 떠남을 슬퍼하고 부대끼며 같이 살았던 이곳과는 다른 세상에서 또 다른 삶을 평화롭게 이어가기를 바란다. 그래서 무덤을 만들고 부장품을 넣어 주고 잘 묻어 준다. 이런 죽은 이와의 이별 의식이 장례이며 매장이다.



출처 | 전곡선사박물관 개관10주년 기획전 《오! 구석기》 출품작 


약 3만년 전 후기 구석기 시대 유적인 러시아의 숭기르 유적에서는 숭기르의 추장으로 불리는 50세가량의 성인 남자와 두 명의 청소년기 아이들 무덤에서 엄청난 양의 부장품이 함께 매장되어 있던 것이 확인되었다. 이 추장이라 불리는 남자는 무려 2936개의 상아 구슬로 장식된 옷을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매머드 상아 구슬을 만드는 데만 약 3000시간이 걸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시신에 입혀진 화려한 의상과 장신구들을 만들기 위한 제작 시간을 근거로 이미 후기 구석기 시대의 수렵사회에서부터 신분을 달리하는 계급이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오랜 시간 공들여서 만든 상아 장식품들은 이 남자와 함께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들이 죽기 오래전부터 만들기 시작된 것으로 이른바 순장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고대 사회에서 발견되는 순장 풍습이 후기 구석기 시대 수렵 채집 사회의 유물에서도 확인된다는 주장인데 문화는 기본적으로 축적되는 것임을 생각해 볼 때 순장의 기원이 후기 구석기 시대까지 올라간다는 주장이 그리 터무니없어 보이지는 않는다.


마을의 위대한 영도자가 거룩한 죽음을 앞둔 시점에 뽑힌 두 명의 아이들은 추장과의 저승길 동행을 위한 특별한 수업을 받기 시작하고 이 아이들을 위해서 숙달된 장인이 동원되어 수천 개의 상아 구슬을 깎고 다듬으면서 지도자를 떠나보내고 그 길을 함께 걸어갈 아이들을 위한 이별 의식을 준비했을지도 모른다. 그 의식은 죽은 자를 위한 것이면서 또한 살아남은 사람들을 위한 성대한 잔치가 아니었을까. 죽음을 두려워하며 거대한 무덤을 준비하던 진시황의 애절함은 수천 개 상아구슬을 깎을 것을 명령하던 숭기르 추장의 절박함과 맞닿아 있을 것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으니 그 정확한 내막을 알 수는 없지만, 함께 죽음을 준비하던 그 아이들을 생각하면 참으로 애틋하다. 그 아이들은 기뻤을까? 슬펐을까?


<오늘에 맞닿아 있는 구석기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의

서울신문 칼럼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을 원문보기로 제공합니다.>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은 30년째 전곡리 구석기 유적과 인연을 이어오며 ‘인류의 진화와 구석기문화의 이해를 통한 인류의 보편적 가치 구현’이라는 박물관의 설립 이념을 추구하기 위해 실험고고학과 대중고고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