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걷고쓰는사람

산사에 들렀는데 궁궐을 보고 왔네, 남양주 흥국사

가을 산사에서 고즈넉한 산책


‘절이 맞나?’ 도량 가린 웅장한 고택에 갸우뚱

아파트가 밀집된 남양주 별내 신도시를 살짝 벗어난 덕릉마을. 울긋불긋 가을이 내려앉은 수락산 자락의 동네는 아늑하고 조용하다. 마을 초입에 있는 덕릉과 같은 ‘덕’자를 써서 덕절이라고도 불리는 흥국사가 동네 가장 안쪽에 있다. 절은 산 정상을 향하는 등산로와 맞닿아 있다. 일주문 앞은 한적한 동네 분위기와 다르게 평일에도 복작복작하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대형식당이 있어서다. 마을길을 오가는 차량의 8할이 그 식당의 손님들이다. 모르고 보면 언제 흥국사가 이렇게 유명한 절이었나 착각하기 십상인데 대부분의 차들이 일주문 직전에, 무려 세 곳에 마련된 식당 주차장으로 꺾어진다. 식사를 마친 배부른 이들 중 소수만이 ‘소화나 시킬 켬’ 뒷짐을 지고 비탈길을 올라 절에 들어선다.



절 입구에 위치한 유명 식당. 이곳만 들르고 절은 올라가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일주문에서 경내까지는 도보 5분이면 닿는다. 사찰에 대한 정보 없이 들른 이들이라면 절의 첫인상이 꽤 강렬하게 느껴질 것이다. 높이 쌓은 기단 위에 웅장하게 들어앉은 고택은 서원의 강당이나 사대부집의 바깥채를 떠올리게 하는 모양새다. 점잖은 서체로 ‘흥국사’라 쓴 흥선대원군의 친필 편액이 걸린 대방(大房)이다.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채의 기능을 포함해 염불 수행 공간과 강당, 부엌 등 여러 역할을 두루 맡는 다목적 건물이다. 정면에서 보면 ‘ㄷ’자 모양이지만 ‘H’자형 평면의 건축물로 경내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규모는 크지만 여러 기능들을 수용하기에 경제성과 합리성을 추구한 건물이라 할 수 있다. 1878년 무렵 건립되었으며 비슷한 시기 지어진 흥천사 대방, 화계사 대방 등과 함께 전통적 법당 형식에서 벗어난 근대 사찰 건축의 특징으로 꼽힌다.


절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흥국사 대방


대웅보전과 영산전, 시왕전 등 주요 전각들은 이 대방 뒤에 숨은 듯 자리한다. 다소 폐쇄적인 느낌이 드는 건 사실이지만 대방을 돌아들었을 때 펼쳐지는 경내 풍경이 좀더 드라마틱하게 보이는 효과도 있다. 꼭 대방 때문이 아니더라도 흥국사 전각들은 그 건물 하나하나에서 위엄이 느껴질 만큼 비범한 풍모를 자랑한다. 대방을 마주보고 견고하게 쌓아올린 석축 위에는 대충 봐도 공들여 지은 팔작지붕 건물 두 채가 나란하게 자리한다. 바깥쪽 전각이 영산전, 중앙 전각이 대웅보전이다.

처음 절에 들어섰을 때 위엄이 넘쳐보이던 대방이 대웅보전 앞에서는 한껏 몸을 낮춘 듯 평범해 보인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비탈진 지형에 건물을 세운 까닭이다. 전면은 높은 석축 위에 건물을 드높여 웅장해보이지만 후면은 마당과 방 사이에 디딤돌 하나 놓일 만큼 지면과 건물 간격이 좁아 낮게 드리워져 보인다.



삼층석탑에서 내려다 본 가람


별궁인 듯 궁궐을 닮은 사찰

경내에서 발걸음 소리를 저절로 낮추게 되는 이유는 비단 건물과 건물 사이에 끼인 마당이어서도, 종교 시설이라는 의식 때문도 아니다. 대방을 처음 마주했을 때 느낌, 즉 위엄 서린 분위기가 지속되는 까닭이다. 이 모호한 느낌은 도량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삼층석탑 앞에서 확실해진다. 전각들의 지붕이 이렇게나 큰 볼거리였나 싶을 정도로 시선을 잡아둔다.

대웅보전, 영산전, 보기 드문 육각정의 만월보전까지 주요 전각의 기와지붕 추녀마루에는 잡상(雜像)이 올라가 있다. 잡상은 장식기와의 일종으로 지붕에 올리는 토우다. 사람인 듯 동물인 듯 여러 가지 모양의 조각이 일렬로 쭉 늘어서 있는 형태로 시각적인 효과가 두드러진다. 잡상을 어디서 본 기억이 난다면 높은 확률로 궁궐이었을 것이다.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을 비롯해 숭례문과 팔달문 등 주로 조선 왕실 건물 지붕에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10가지의 잡상이 전해지며 나쁜 기운을 막아주는 의미를 지닌다. 잡상의 토우는 『서유기』에도 등장하는 손오공, 삼장법사, 사오정 등이 포함된다. 잡상을 올린 팔작, 육각지붕들과 대방의 광대한 기와지붕이 맞닿은 흥국사 가람은 궁궐을 연상케 한다. 범상치 않은 사찰의 품위가 왕실에서 비롯되었음을 잡상에서 확신할 수 있다.

도량이 차지한 대지면적이 넓지도, 또 전각들의 수가 많지도 않다. 나대지 않고 도리어 숨긴 듯 폐쇄적인 가람 배치지만 건물 한 채 한 채의 고상함에서 시선을 떼기 어렵다. 사찰을 내려다보는 자리의 삼층석탑은 불국사 석가탑을 닮은 형태로 최근에 건립했다.



흥국사 삼층석탑과 수락산 자락의 우거진 산


아들 덕분에 후세에도 왕 대접 받는 아버지

흥국사는 선조의 아버지 덕흥대원군과 인연이 깊다. 덕흥대원군을 빼고 절의 역사를 말할 수 없다. 덕릉마을 초입의 덕릉이 바로 덕흥대원군의 묘이고 덕절로 불리는 흥국사가 덕흥대원군 묘의 원찰이다. 왕이 아니었으니 능으로 불릴 수 없음에도 덕릉이라 불려왔는데, 그 이름은 묘 자체뿐 아니라 마을과 길, 멀리는 터널 이름으로까지 굳혀졌다. 그러나 묘는 어디까지나 묘다. 덕릉이 공식 명칭이 아니어서 포털 사이트에 ‘덕릉’이라고 검색하면 덕흥대원군의 묘가 나오지 않는다. 덕릉이 널리 불리게 된 이유는 선조의 효심 덕이다.



흥국사 대웅보전


덕흥대원군은 중종의 7번째 서자다. 그의 아들이 왕위에 오를 가능성은 거의 없었지만 명종대에 정실 태생의 왕손이 끊기자 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 선조가 조선왕조 최초로 서손 출신의 왕에 되었다. 덩달아 덕흥대원군도 조선 왕실 최초의 대원군이 되었다. 명종 다음으로 즉위한 국왕들이 모두 덕흥대원군의 자손들로 덕흥대원군은 조선 왕조의 중시조나 다름없다. 선조 입장에선 아버지를 어떻게든 ‘덕종’으로 추존하고 싶었겠지만 국법상 그럴 수 없으니 아버지 무덤이라도 능으로 높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또한 공식적으로 바꿀 순 없어서 민간에서 자연스럽게 ‘덕릉’으로 부를 수 있게 꾀를 썼다고 한다. 당시 덕릉 일대에서 땔감을 모아 사대문 안으로 들어오는 장사꾼들이 ‘덕흥대원군 묘’에서 땔감을 해왔다고 하면 사지 않고 ‘덕릉’에서 해왔다고 하면 높은 가격을 쳐서 사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는 훗날 왕가에서 지어낸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어찌됐든 오늘날까지도 널리 ‘덕릉’이라 불리게 되었으므로 선조가 원하던 바를 이루었다.



흥국사 만월보전. 대방과 함께 사찰에서 보기 드문 육각정 형태의 건물이다.


사찰명도 처음부터 흥국사는 아니었다.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되었을 당시는 수락사(水落寺)라고 했고 선조가 1568년 덕흥대원군의 원당을 이 절에 건립한 후로는 흥덕사(興德寺)라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다 1626년 인조 4년에 흥국사(興國寺)라고 이름을 고쳤다. 왕의 아버지를 뜻하는 ‘덕’에서 나라 자체를 의미하는 ‘국’으로 바뀌었으니 절의 위상은 더욱 올라갔다고 볼 수 있다. 가까운 덕흥대원군의 묘도 왕릉과 같은 위세를 보여준다. 왕릉에만 세우는 무인석이 좌우에 배치되었음은 역시 아들 덕이다. 산자락에 숨은 작은 절이 궁궐 같은 면모를 자랑한 데는 이렇듯 다 이유가 있다.




기품을 잃지 않은 화려함 대방 못지않게 시선을 끄는 건물이 사찰에서는 보기 드문 육각정 형태의 만월보전이다. 잡상이 올라간 지붕 쪽을 봐도, 또 평지에서 전면을 바로 보아도 꽤나 근사한 건물이다. 외벽에 유리창을 내고 각 기둥에는 주련을 넣었는데 대방 편액과 마찬가지로 흥선대원군의 글씨다. 조선 왕조의 대원군이 딱 네 명인데 그 첫 번째와 마지막 대원군이 두루 관여한 절이다. 전각 안에 모신 약사여래불은 새하얀 얼굴과 몸, 빨간 입술을 지녔다. 건물 구조부터 장식과 벽화, 내부 불상까지 모두 화려하다.

이는 대웅보전도 마찬가지인데 전각에 모신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2호 목조석가삼존불좌상의 광배는 조선 후기에 만든 광배들 중에서 손꼽히는 정교함과 화려함을 자랑한다. 영산전의 장식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중앙 불단의 상부천장은 대웅보전과 같은 형식의 닫집으로 장엄함을 보여주고 공포의 각 면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두가 새겨져 있다. 영산전 주련의 글씨도 흥선대원군이 썼다. 건물의 내‧외부 구석구석 왕실의 손길이 닿지 않은 데가 없다.


약사대불과 나한상 옆 쪽으로 수락산 등산로가 나있다.

영산전 옆쪽에 난 돌계단을 따라 오르면 수락산 등산로로 향하는 길목이다. 그곳에 약사대불과 나한상이 모셔져 있다. 이곳까지 돌아봤다면 ‘궁궐 같은 절’ 구경은 끝난다. 약사대불 앞에서 수락산 정상까지는 1시간 반 정도가 소요된다.


여기도 가보세요

흥국사 일주문 바로 아래 위치한 목향원은 숯불돼지고기를 파는 식당이다. 인원수대로 주문을 받으며 고기는 주방에서 구워져 나온다. 슴슴한 간장 양념에 재운 후 익힌 돼지 앞다리살에 은은한 숯불향이 배어있다. 각종 산나물 무침과 양념 게장 등 정갈한 밑반찬이 함께 나와 푸짐한 한정식 같은 한상이다.



흥국사 바로 앞에 있는 쌈밥집 목향원의 한상차림


흰쌀밥, 조밥, 흑미밥이 각각 아이스크림 스쿱으로 푼 듯 보기 좋게 나온다. 반찬은 원하는 만큼 더 덜어다 먹을 수 있다. 8가지 종류가 섞인 쌈채소는 근처 밭에서 유기농으로 재배했다. TV 프로그램에 몇 차례 소개되면서 더욱 인기 맛집으로 떠올랐다. 점심시간에는 대기표를 뽑고 기다려야 할 정도. 대기 장소가 넓고 정원처럼 잘 꾸며 놨다. 이 집 덕분에 흥국사에 들르는 방문객도 늘어났다.



글·사진 여행작가 유승혜


중부일보 원문 바로가기

세부정보

  • 수락산 흥국사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문의/ 031-590-2114

@참여자

글쓴이
걷고쓰는사람
자기소개
경기도 구석구석을 걷고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누리집
https://www.youtube.com/@yooseung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