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옆집에 사는 예술가

숨어있는 이야기, 발견하는 예술가

의왕_오재우 작가의 작업실






총체적 (예술) 사기극


오재우 작가의 작업을 처음 소개 받았을 때 작업의 여러 겹에서 오는 명민함이 인상적이었다. 대표적으로 2011년 아트라운지 다방에서 선보인 <콜렉터스 초이스>는 마크 로스코, 앤디 워홀, 게르하르트 리히터, 데미안 허스트, 채프먼 형제 등 현대 미술의 거장으로 자리한 대가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콜렉터를 섭외하여 이 소장품을 대여 받아 전시를 기획하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전시는 2006년 대림미술관에서 개최한 <LIVING ROOM: Collection 1>을 떠올리게 하는데 <LIVING ROOM: Collection 1>은 소개글에 따르면 ‘유명 현대미술 콜렉션에서부터 디자이너의 가구와 중국 앤틱 콜렉션에 이르기까지, 개성이 넘치는 6명의 콜렉터들의 리빙룸으로 특별히 초대’를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대림미술관에서의 전시는 ‘실제 콜렉터들의 거실을 미술관 안으로 직접 끌어 들여 온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시방식이 지니는 기계적인 면모와 차별성을 둔다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오재우 작가의 <콜렉터스 초이스>는 <LIVING ROOM: Collection 1>의 아류인가? 또한 <LIVING ROOM: Collection 1>에서 표방하는 바에 따르면 <콜렉터스 초이스>는 기계적인 면모에서 벗어나지 못한, 구태한 방식인가?

오재우 작가가 <콜렉터스 초이스>를 위해 전시장에 부가한 것들은 콜렉터들의 작품 구매와 관련한 인터뷰, 증명서, 실제 공간에 작품이 걸려있는 사진 등이었다. 외면상 유사성은 있지만 나아가지는 못한 듯한 <콜렉터스 초이스>의 반전은 이 모든 기획이 다 작가가 꾸민 거짓이라는 점이다. 그는 로스코, 워홀, 허스트 등의 작업을 직접 모사해서 가짜 콜렉터에게 보내고 이들과 합작하여 총체적 거짓을 발칙하게 꾸며냈다.




이번 오픈스튜디오를 위해 오재우 작가의 기획서를 읽고 그를 직접 만나 작업의 얘기를 들었다. 예전에 했던 작업 중에 <담배시 Cigar Poem>와 <정물시 Still Life_Oil>, <서시 Book titled poem>의 연장선에서 오픈 스튜디오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예를 들면 이런 방식이다. <담배시 Cigar Poem> 시리즈 중 팔레스타인의 일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팔레스타인 PALESTEIN

깃털같은 평화 Peace light

다루기 수월한 환상 simple VISION

간격 TIME

…… ……


작가는 담배곽 모양이 프린트된 인화지로 MDF 박스를 감싸서 담배 이름으로부터 싯구를 딴 담배시와 같은 사물 배치 작품보다는 <서시>에서 전개한 책 제목 그대로의 배치 방식이 워크숍에 더 용이할 것 같아서 이번 오픈 스튜디오에서는 <서시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겠다고 하였다. 오픈 스튜디오라는 행사에 오는 관객을 위한 적절한 선택이라 여겼고 각자 자신이 만든 시를 스튜디오에 배치하여 사진으로 담아 돌아갈 수도 있게 하겠다고 하여 관객의 반응까지 미루어 짐작하는 영리한 작가구나 싶었다. 오픈 스튜디오 당일에는 책장 가득 모아온 책들이 가득했다. 일단 책표지의 색을 위주로 배치되어 있었고 먼저 자리한 이들부터 근사한 시작에 몰두했다. 각자의 선택의 기발함을 자랑했고 오재우 작가와 스태프는 흰 바탕과 세팅된 조명 아래 이 시작을 찍어 액자에 넣어 워크숍 참여자의 손에 받아 쥐게 하였다. 단체로 오픈 스튜디오에 찾은 안산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지루할 틈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이 워크숍에 대단히 기뻐했다. 그날의 작품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너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이기적 유전자

나이 들수록 멋지게 사는 여자

산다는 것 그린다는 것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간절히 원하고 뜨겁게 행동하라


고등학생이 만든 시로 그들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는 세상이 담겨있다. 모든 이들이 즐겁게 참여하고 만족하며 돌아가는구나, 참여형 워크샵의 성공 사례는 이런 것이구나 생각하며 큰 문제랄 것도 없이 성황리에 치러진 오픈 스튜디오를 뒤로한 채 한참 시간이 흘렀다. 그리고 그날의 행위는 무엇이었을까 복기해 보다가 의혹이 싹트기 시작했다.




작품을 창작한다는 것은 직접 행동이다. 그 행위의 내부적 속성을 짚어 볼 때 근원적으로 창작의 동력을 갖는지 혹은 모방이나 복제적 성격을 스스로 부가했는지에 따라 내용의 속성과 형식은 갈래를 지닐 수 있다. 미술 작품이 그렇고 시를 짓는 것도 비슷한 양상을 갖고 있을 것이다. 직유와 은유가 엮이고 시인의 창의적인 문장에 감탄하고 일상의 상투적인 발화가 시에 도입되었을 때 새로운 효과를 낳기도 한다. 오재우 작가의 <담배시>나 <정물시>는 언급했듯이 낱낱의 사물 요소만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담배시> 같은 경우 사물의 기호적 속성을 작가가 전이하고 있으며 <정물시>는 카메라의 시선에 따라 흐르는 시간이 작가의 선택이다. 상대적으로 <서시 프로젝트>는 <담배시>와 <정물시>에 비해 작가의 개입이 한정되어 있다. 책을 고르고 배열하는 직접 행동은 있으나 선택자이자 시의 창작자로서 덧붙이는 어휘는 따로 없다. 그러므로 <서시 프로젝트>는 창작자의 직접 행동의 내부에 창작자의 한정적인 역할을 자체적으로 부과한 선택이 프로젝트의 성격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이 작업이 지닌 한정적인 역할이 워크샵이 지닌 물리적 시간이라는 조건과 가장 부합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적 경험을 조건에 맞춰 진행하기에 적절한 기획자의 선택이라는 것도 맞다.


 

 


궁금한 것은 오재우 작가의 <서시 프로젝트>와 워크샵 참가자들이 하나씩 기쁜 마음으로 들고 간 작업의 차이이다. 물론 책을 고른 사람이 다르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오재우 작가가 이 작업을 하면 오재우 작가의 작품이고 워크샵에 온 참가자들이 하게 되면 참가자들의 ‘작품’이 되는 것일까. 내가 하면 내 작품, 네가 하면 네 작품이 성립되는 것이 맞는가. 원본과 복제에 대한 아슬아슬한 줄타기에 대한 해석과 이해는 이미 20세기 예술사에 기입되었다. 오재우 작가도 책 제목에 기대어 <서시> 작업을 수행했다. 그러므로 고전적 의미의 작품 개념은 이미 오재우 작가의 작업 아이디어와 과정에서 균열 져 있다. 현대 미술은 그런 것이다. 새로움을 반드시 배태할 필요가 없다. 이제 참가자들은 집으로 돌아가서 선반 위에 혹은 테이블 위에 자신의 작품을 놓고 오픈 스튜디오에서의 기쁨에 흐뭇해 할 것이다. 그런데 만약, 만약이란 가정이 정당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오재우 작가가 이 <서시 프로젝트>로 이번에는 <콜렉터스 초이스>가 아닌 <디렉터스 초이스>라는 가상의 전시를 꾸민다면? 자신이 기획한 오픈 스튜디오에서 행한 <서시 프로젝트>에서 만들어진 그 작품을 각자의 집에서 촬영해서 보내주기를 바란다면? 그 사진이 모여 이루어지는 전시에서 관객은 작품의 개별성을 발견해 낼 수 있을까. 아마 오재우 작가의 작품의 연장선에서 그 사진을 읽고 바라보리라 예측된다. 하고 싶은 말은 그래서 모든 과정이 오재우 작가의 <서시>로 수렴되고 모든 작업이 오재우 작가의 작품으로 응축된다는 말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워크샵은 ‘작품’에서 ‘작품들’의 양산을 낳았기도 하다.





이 워크샵은, 이 오픈 스튜디오는 작가와 작품에 엄정한 잣대와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는 지난 역사의 규율 체계에서 벗어나 있다. 바로 이 균열을 오재우 작가가 기획자로서 의도를 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이 균열은 기획자의 의도의 유무를 넘어 이미 오재우 작가가 취하는 작업의 방식에서부터 기인한다. 읽기에 따라서 정치적이고 도발적이며 전위적인 작업의 성향이 문학적이고 서정적이며 참여적인 작업으로 포장되기에는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다. 행복하게 치러진 그날의 기억을 왜 훼손하려고 하는 걸까. 그건 뒤돌아선 순간부터 행복의 배면을 감지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예술의 불손함, 그 발칙함에 공모자가 되고 싶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사기극의 피해자가 되고 싶은가, 사기극의 공모자가 되고 싶은가. 잘 짜여질 수밖에 없는 극이었기에 기획자에게 찬사를 보내고 싶다.



글_김현주(독립기획자/미술비평)






글쓴이
옆집에 사는 예술가
자기소개
사적이고 비밀스러운 창작공간이자 때로는 도전적이고 개방적인 실험의 장으로서 끊임없이 진화해 온 창조적인 장소, ‘예술가의 작업실’에 가 보신 적이 있나요? 《옆집에 사는 예술가》는 지역사회의 중요한 문화 자산인 ‘예술가의 작업실’에서 예술가의 일상을 공유하는 대중 프로그램을 통해 창작의 현장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활동해 온 경기지역 예술가들을 만나는 프로젝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