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외교정책의 활동과 노력

『문화정책』은 경기문화재단이 국내외 문화정책의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추진하는 다양한 문화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2017년 여름부터 발행하고 있는 계간지입니다. 본문은 『문화정책』3권 논단 내용입니다.


경기도 외교정책과



경기도 외교정책과는 2014년 10월 신설되었고, 현재 3팀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업무는 국제정책 총괄 기획 조정에 관한 사항, 국제행사 기획 조정에 관한 사항 국제교류 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등 총 12개 분야이다. 경기도 외교정책과는 아래를 중심으로 주요 정책을 수립하였다.


1. 경기도 외교 및 중점교류 방향 수립

2. 동반성장을 위한 아주지역 외교협력 강화

3. 도정핵심사업 연계 구·미주 지역 파트너십 구축

4. 경기도 국제개발협력사업(ODA) 추진

5. 경기도 외교역량강화 지원

첫 번째, 경기도는 도정 핵심사업 및 경제 활성화 등 협업으로 효율 및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중국, 일본, 대만, 몽골, 호주, 캐나다, 미국, 독일, 프랑스 전 세계 9개국 19개 지역을 선별해, 외교 및 중점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의 국제교류 자매결연 체결 지역은 10개국 15개 지역이고, 우호(경제)협력 체결지역이 18개국 24개 지역이다.


두 번째, 동반성장을 위한 아주지역 외교협력 강화를 위해 농업·임업 등 국제개발협력(중국 동북3성), 청소년 교류(日아이치현), 교류 공무원 파견 및 수용(日가나가와현, 中랴오닝성) 등 상호협력 사업을 진행 중에 있고, 교류 확대·강화 및 주요 도정 연계를 위해 道대표단을 파견하고 있으며, 국제회의 개최 및 참가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 하고 있다.


세 번째, 도정핵심사업 연계 구·미주 지역 파트너십 관련 캐나다 BC주 및 호주 퀸스랜드주와의 실행계획을 갱신하고(17∼19년), 美버지니아주(정책협의회), 獨 바이에른주 및 佛 일드프랑스주 지속 협력 등 실질적인 교류를 강화하고 있다. 현재 佛 일드프랑스주와의 파트너십 구축간 문화예술 교류 관련 경기문화재단과의 협력 포인트를 만들기 위해 조율 중에 있다. 더불어, 교류공무원 운영 내실화 및 파견 확대로 인적교류를 통해 국제교류를 활성화하고 있다. 국제회의 참가와 주제발표를 통해 국제리더십 역량강화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네 번째, 경기도 국제개발협력사업(ODA) 추진을 위해 전략적으로 중점 협력국을 7개국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신흥시장을 개척 및 지원하고 있다. 도정 핵심사업과 연계·추진하여 ODA를 통해 따복하우스 조성 및 운영 등 도정 우수사례를 전파하고 있다. 몽골지역 「경기도 스마트교실」 구축 및 캄보디아·미얀마 지역 적정기술 자립마을 사업 등 브랜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5개의 주요 협력국 공무원 초청연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다섯 번째, 수요중심의 외교 협업 플랫폼 구축으로 양방향 역량강화를 위해 경기도 내 각 시군의 국제교류 현황을 조사하고 각 국가별, 언어별 번역 감수, 국제교류 실무 컨설팅 제공, 국제교류 정보 공동 활용, 국제교류 실무교육 개설 및 정례화, 글로벌 포럼 운영, 경기도 국제교류 실무 매뉴얼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으며, 152명의 경기도 통·번역 가능요원 인력풀을 구성하고 있다.


경기도 국제개발협력 주요 성과로 몽골 한국어 스마트교실 사업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한류 외교를 활성화하고, 몽골 내 최초 전국 한국어교사 협회 창립을 발판으로 ICT (정보통신기술) 신기술과 한국어 교육 접목을 통해 개발도상국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유발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성공요인은 수원국의 환경 조건, 한국어 수요와 몽골어와의 어학적 유사성 등과 같은 현지 니즈 및 강점을 면밀히 조사하고, 우수한 ICT 역량과 교수법에 기반을 둔 개발 노하우 보유와 같은 경기도의 강점을 조합한 것에 있다고 본다. 이를 통해 글로벌 공동번영의 기회를 마련하고 확장하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의 해외 공무원 초청을 통해 해외따복공동체, 영아이디어, 도시재생사업 및 신도시 개발 정책 등 경기도 우수공공행정 사례 연수를 통해 경기도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고 경기도와 각국 간 우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문화정책 전문보기



세부정보

  • / 경기도 외교정책과

  • 『문화정책』은 경기문화재단이 국내외 문화정책의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이 추진하는 다양한 문화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2017년 여름부터 발행하고 있는 계간지입니다. 본문은 『문화정책』3권 특별인터뷰 내용입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