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역사문화유산원

하남 이성산성

2018-05-26 ~ / 한강쟁탈전을 품은…그러나 격전지는 아닌 : 하남 이성산성


이성산성 전경 / 경기문화재연구원 제공


6세기 중엽 신라가 축조한 것으로 추정


하남 이성산성(사적 제422호)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이성산에 위치한 삼국시대 성곽이다. 성 둘레는 총 1,925m이며, 2차례에 걸쳐 축조되었다. 1986년부터 현재까지 13차례 발굴이 이루어져 일부 복원되었다. 한성백제 왕성일 것이라는 추정이 있으나, 잔존 석축과 출토유물로 볼 때 신라가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6세기 중엽 축조하고 8세기 초 개축하여 200~300년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옥수수알 성돌, 우리에겐 낯선 모습


이성산성 성벽 / 경기문화재연구원 제공


이성산성의 성벽은 화강암을 모서리가 약간 둥글게 다듬은 뒤 비슷한 크기의 돌로 차곡차곡 쌓아올렸다. 그 모양이 옥수수 알처럼 생겼다고 하여 ‘옥수수알 성돌’이라는 귀여운 애칭도 가지고 있다. 성벽 안쪽은 돌을 맞물리게 쌓고, 사이사이에는 물이 스며들지 않게 점토를 다져 넣었다.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성벽을 60°로 비스듬히 쌓았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축조 방식이다.



강북의 적으로부터 이 땅을 지키다


산성 북쪽에는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이북의 적으로부터 배후의 평야와 한강유역을 지키기에 매우 유리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성산성은 옛 광주의 넓은 땅을 다스리는 지배층의 거주지인 동시에 대규모 전쟁시 오래 버티면서 반격을 노리는 군사 중심지이기도 했다. 동문은 현문식*으로 만들어졌으며, ‘ㄱ’자로 꺾여 있어 공격을 효율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축조되었다.



* 현문식 성문 : 출입구가 성벽 중간에 있어 사다리 등을 이용해 출입하는 문으로 방어력을 높힐 수 있다.



산성에서 보기 드문 저수시설 갖춰


아무리 튼튼한 성곽이라도 물이 없이는 일주일도 버티기 어렵다. 이성산성에서 대형저수지가 두 곳이나 갖춰져 있었다는 것은 성 내부에서 장기간 생활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저수지에서 608년에 사용된 목간(木簡)과 신라인들이 사용한 도량형인 당척(唐尺)이 발견되어 주목을 받았다.



다양한 형태의 제사 유적지


이성산성 다각형 건물지 / 경기문화재연구원 제공


이성산성에서는 8각형과 9각형, 12각형의 다각형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8각 건물지는 땅을 상징하는 8괘의 숫자이므로 사직단, 9각 건물지는 9라는 숫자가 하늘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천단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건물지는 이성산성 내부에서 국가적 제사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야기] 역사 속에 묻힌 본래의 이름을 찾다


 

무진년정월십이일 봉남한성도사(戊辰年正月十二日 朋南漢城道使)

1990년 이성산성의 3차 발굴조사 중, 공기와의 접촉이 없어 잘 썩지 않는 저수지 진흙 속에서 목간*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목간에는 <무진년정월십이일 봉남한성도사>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시기상 608년 무진년에 사용되었다고 추정되는 이 목간은 ‘남한성 도사에게 보내는’것으로, 목간이 출토된 이성산성의 옛이름이 ‘남한성’임을 알 수 있는 유물입니다. 역사 속에 묻혀있던 이성산성의 옛 이름을 알 수 있게 된 것이지요.


“본래 백제의 남한산성(南漢山城)이다. 시조 온조왕 13년 위례성에서 이곳으로 도읍을 옮겼고…당나라 소정방이 백제를 쳐서 없애고 당나라 군사가 돌아간 뒤 신라가 그 땅을 차지하여 한산주(漢山州) 또는 남한산주(南漢山州)라 불렸다. 경덕왕 15년(759)에는 한주(漢州)라 고쳤고, 고려 태조 23년(935)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광주목


위 기록을 보면 현재 이성산성이 위치한 지역은 남한산성, 한산주, 남한산주 등으로 불리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성산성의 옛 이름인 ‘남한성’은 남한산주의 거점성이자 치소(治所)*로 기능하였기에 붙여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를 증명하듯 이성산성에서는 대형저수지, 50여 점의 목간과 벼루, 다각형 건물지 등이 확인되어 거주와 행정이 이루어진 곳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문무왕 12년(672) 현재의 남한산성인 주장성이 축조되면서 이성산성은 점차 쇠퇴하고, 주장성이 중요하게 활용되기 시작합니다. 혹시 이 때 남한산주의 치소(治所)역할을 주장성에게 넘겨주며, 그 이름도 함께 넘겨준 것은 아닐까요?




* 목간(木簡) : 나무편지란 뜻으로 종이가 없던 시절 대나무나 얇은 나무판에 편지나 공문을 써서 전하던 것

* 치소(治所) : 지역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는 곳



하남 이성산성 주변 둘러볼만한 곳


동사지 전경(출처 : 문화재청)

하남 동사지

(河南 桐寺址 / 사적 제352호)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시대 : 삼국시대

면적 : 44,587㎡

지정일 : 1991.08.24.

주소 :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418번길 73

동사지 오층석탑(출처 : 문화재청)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河南 桐寺址 五層石塔 / 보물 제12호)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 고려시대

수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주소 :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66

동사지 삼층석탑(출처 : 문화재청)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河南 桐寺址 三層石塔 / 보물 제13호)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 고려시대

수량 : 1기

지정일 : 1963.01.21.

주소 :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65

마애약사여래좌상(출처 : 문화재청)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河南 校山洞 磨崖藥師如來坐像 / 보물 제981호)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 고려시대

수량 : 1구

크기 : 93㎝

재질 : 석재

지정일 : 1989.04.10.

주소 :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588번길 125

광주향교 전경(출처 : 문화재청)

광주향교

(廣州鄕校 / 문화재자료 제13호)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시대 : 조선시대

지정일 : 1983.09.19.

주소 : 경기도 하남시 대성로 126-13

선법사 전경(출처 : 하남시청)

선법사

(경기 전통사찰 제101호)


태평2년(977)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마애약사여래좌상’이 있어

최소한 그 이전부터 사찰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

빈터로 남아있던 터에 혜각스님이 1955년 중창.

1991년 범산스님이 현존하는 당사의 건물을 중건.

사찰 옆의 작은 약수는 백제 온조왕이 마셨다하여 ‘어용샘’으로 불림.


주소 :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588번길 125

하남역사박물관(출처 : 하남시청)

하남역사박물관


주소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로 30

관람시간 : 09:00~18:00

관람료 : 무료

홈페이지 : http://www.hnart.or.kr

문의전화 : 031-790-7990



2018 경기도 성곽투어 현장

○ 성곽투어 일시 : 2018.05.26.(토) 오전 9시

○ 성곽투어 코스 : 하남 이성산성 → 광주향교

○ 성곽투어 소감

    - 무료역사투어가 있어서 정말 좋은 하루를 보냈습니다.(참가자1)

    - 운동도 되고, 역사도 배우고, 너무 재미있습니다.(참가자2)

    - 설명을 조금 짧게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참가자3)













세부정보

  • 2018 경기도 성곽투어 <산성에 오르자!>

    일자/ 2018.05.26.(토)

    장소/ 하남 이성산성, 광주향교

@참여자

글쓴이
경기역사문화유산원
자기소개
경기도 문화유산의 가치 발견,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누리집
https://gjicp.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