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지명이 품은 경기도 안산

경기도의 이야기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은 2018년은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천년을 이어온 경기도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미래의 꿈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경기도 내 거주자와 학생, 직장인들로 꾸려진 기자단입니다.



경기천년 기지단에서는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경기도에 속해 있는 지역의 지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지역은 경기 서부에 위치한 안산시입니다.  안산시는1970~80년대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으로 반월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선 후 공업도시로서 국가 살림을 도맡으며 도시의 성장을 이룬 후 2000년대에는 문화예술도시로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는 지역입니다. 그럼 다이내믹한 도시, 안산의 지명 유래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 서부에 위치한 안산


안산은 서해와 접해있습니다. 1976년 반월신공업도시 건설계획 발표이후 계획적으로 개발한 공업도시이면서 녹색첨단도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선사시대 유적과 조선시대 분묘유적이 많으며 관광지로는 대부도, 시화호 갈대습지공원등이 유명한데요, 저도 몇 해 전에 대부도에서 갯벌체험과 바지락 칼국수를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안산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경기도 행정구역(출처:경기관광포털)


안산(安山)


안산은 원래 고구려의 장항구현(獐項口縣)또는 고사야홀차현(古斯也忽次縣)인데 신라 경덕왕 때 장구군(獐口郡)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고려 초기에 안산군(安山郡)으로 고쳤고, 현종 9년(1018년)에 수주(水州:수원)의 속현(屬縣)이 되어 안산현(安山縣)이 되었습니다.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문종이 탄생한 고을이라 하여 안산군(安山郡)으로 다시 승격되었고 이후지사(知事)의 다스림을 받았습니다.



신경준 지도계통의 안산지도 (출처: 안산시청홈페이지)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13년(1413년) 전면적인 지방통치 조직의 개편이 되었고, 그 일환으로 실시된 8도제의 시행에 따라 경기도에 예속되어 이후 군수가 파견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안산군 서남쪽 30리 되는 곳에는 초지량영(草芝粱營)이 있었는데, 효종 7년(1656년) 이곳 초지진(草芝鎭)을 강화도로 옮겼습니다. 그리하여 종래 안산의 초지진을 1초지, 강화를 2초지라고 부를 만큼 서해안의 주요 요새지로 삼았습니다.



광여도 중 안산지도(출처 :안산시청 홈페이지 )


안산이란 지명 외에 세조 때부터는 연성(蓮城)이라고도 흔히 불렸는데 이는 세조9년(1463년)문신이며 농학자인 강희맹(姜希孟)이 중추원부사로서 진헌부사가 되어 명나라 남경에 갔다가 귀로에 전당에서 연꽃씨를 가지고 와서 안산 관곡지에 시험재배하면서 널리 펴지게 되었는데 그 뒤부터는 안산의 별호를 연성(蓮城)이라했다고 [안산군읍지]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안산읍성 객사 옆 은행나무보호수 연성군 김정경이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나무 (출처 : 안산시청 공식블로그)


하지만 정종 2년(1400년)에 안산 김 씨인 김정경(金定卿)이 박포의 난을 평정하고 좌명공신에 올라 연성군(蓮城君)에 봉군되었던 점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연성으로 불린 것으로 보입니다. 고종 32년(1895년) 23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仁川府)에 속하였다가 다음해에 도제(道制)가 부활하자 다시 경기도에 속하게 됩니다.



시화호 (출처:안산시청 공식블로그)


안산은 우리나라 도시가운데 녹지율이 가장 높고 녹지공원도 많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시화방조제 조성으로 육지와 닿게 된 대부도, 선감도등의 해안은 낚시와 드라이브 코스로도 좋은 곳이죠.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와 함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더욱더 발전할 경기도 안산시의 미래가 기대됩니다.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이하여 경기도 안산의 지명유래를 살펴보니 안산이란 고장이 참 아름다운 명소가 많았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도 각 고장의 지명유래를 알아보며 고장의 자긍심을 높이는 2018년, 경기천년의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경기천년 기자단이었습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