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상생공생_시흥내륙 에코뮤지엄


경기만은 인간 삶의 터전이자 문물이 교차하며 풍요로운 미래의 희망이 는 곳입니다. 경기만 에코뮤지엄 컬렉션 100선 <<상생공생>>에서는 이러한 경기만의 정체성을 오롯이 담았습니다. 경기만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소중한 역사·문화·생활 자원들을 스토리텔링 함으로써 생생한 체험의 현장, 건강한 생태놀이터로서의 경기만 에코뮤지엄을 소개합니다.

시흥내륙 에코뮤지엄 - 능곡동선사유적공원 / 생금집 /

군자봉성황제 / 도일5일장


#092

경기만의 역사와 문화 / 선사

능곡동 선사유적공원


주소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 479 외




능곡동 선사유적(시흥시 향토유적 제20호)은 6,000여 년 전으로 추정되는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2005년 능곡택지개발지구에 대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발견됐다. 능곡동과 군자동 일원에서 이뤄진 대규모 발굴조사는 2004년 10월부터 2007년까지 진행됐는데, 당시 이곳에서 신석기시대 집자리 24기 이외에 청동기시대 집자리 6기, 구덩이 2기, 삼국시대(백제)와 통일신라시대 무덤 6기, 조선시대 이후 무덤 107기, 구들, 석렬 등 여러 시대의 다양한 유구들이 확인됐다. 서울·경기지역에서 발견된 최대 규모의 신석기시대 마을유적이란 점에 서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의 선사문화연구를 위한 매우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신석기시대 집자리들을 원위치에 보존하기 위해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문화유산 배움터로 활용하고 있다.






#093

경기만의 역사와 문화 / 구비

생금집


주소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 765


생금집(시흥시 향토유적 제7호)은 금녕 김씨 자손이 12대 동안 세거했던 곳으로, 시흥시 지역 전통 가옥의 원형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건물의 면적은 149.84㎡이며 안채가 열 두 칸, 바깥채가 여섯 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집은 분수에 맞는 생활 자세를 전해주는 생금生金 닭 전설의 현장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곳이다. 조선말 김창관이라는 사람이 나무를 하러 갔다가 우물에 닭 한 마리가 있어 곱게 싸다가 골방 반닫이에 넣었는데, 이때 보자기에 떨어진 닭털 하나가 금덩어리로 변해 큰 부자가 됐다는 전설이다. 2005년 원형에 근거하여 보수 및 복원하였으며, 2014년 주변의 도시개발로 공동주택이 들어섬에 따라 생금집 주변으로 생금어린이공원이 조성되었고, 생금집은 다양한 체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진출처 생금집



#094

경기만의 역사와 문화 / 민속문화

시흥 군자봉 성황제


주소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산22-35


군자봉 성황제는 군자동君子洞 일원의 군자봉君子峰에서 거행된다. 성황제는 고을의 평안과 주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의로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역사성이 깊으며, 군자봉 성황제의 구비전승을 살펴볼 때 성황 신앙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고려 초기부터 지속되어 왔을 것 으로 추정된다. 경기도청은 2015년 11월 ‘시흥 군자봉 성황제’의 역사적 가치와 지역 문화적 의미를 알리기 위해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9호로 지정하였다. 원래 군자봉 성황제는 해발 199m의 군자봉 정상에 있는 성황당에서 이뤄졌으나, 원인 모를 화재로 성황당이 소실되어 지금은 성황당을 지켰던 신목神木 주변 에서 매년 음력 10월 3일에 열리고 있다. 군자봉 성황제는 대동제의 성격이 강하며, 마을의 화합을 다진다는 점에서 역사·문화적 의미가 크다.



사진출처 시흥시청



#095

경기만의 산업과 생산 / 시장

도일5일장


주소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시흥시 군자동주민센터 인근에 위치한 도일시장은 시흥시 관내에 현존하는 전통시장 중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시장이다. 1953년 시장이 개설된 이래 시흥에서 유일하게 매달 3일과 8일 단위로 5일장이 선다. 한때 인근도시에서 몰려든 사람들로 왕성한 거래를 하며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나 시화공단 및 신흥 택지 개발에 따른 환경변화로 그 기능이 점차 축소됐다. 그렇지만 현대적 유통체계가 지역의 상업 활동을 대체하기 전까지 생활 및 경제권의 형성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시흥시 주민공동체는 쇠퇴한 도일5 일장을 살리기 위해 주체가 되어, 장이 열리는 날에는 지역민과 함께하는 도일 문화마당을 열고, 마을회관을 예술 커뮤니티 복합공간 ‘도일아지타트’로 만들어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출처 시흥시청

세부정보

  • 상생공생 - 경기만 에코뮤지엄 스토리텔링북

    총괄/ 이정문, 마케팅인프라

    기획글/ 경기창작센터, 경기학연구센터 이지훈,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사진협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故)최춘일, 민들레연극마을, 복음자리, 산안마을, 생금집 코디네이터, 시화호생명지킴이 박선미, 인천일보,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안산시청, 화성시청, 시흥시청

  • 컬렉션 100선 선정위원/ 경기학연구센터 이지훈, 시흥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강석환, 시흥바라지에코뮤지엄연구회, 시흥시향토사료실 김치성, 안산에코뮤지엄연구회 선유락, 연안문화보존네트워크 김갑곤,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화성연안환경문화연대 윤영배, 경기도청, 안산시청, 화성시청, 시흥시청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