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기관 회원부터 경기도 예술인 및 개인 회원까지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회원은 경기도 문화예술 콘텐츠를 지지씨플랫폼에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문화예술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 및 개인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지지씨플랫폼 운영 가이드
지지씨는 회원 여러분의 게시물이 모두의 삶을 더욱 아름답게 해 줄 거라 믿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은 여러분이 작성한 게시물을 소중히 다룰 것입니다.
제1조(목적)
본 가이드는 재단법인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지지씨(www.ggc.ggcf.kr. 이하 ‘지지씨’)’의 기관회원(이하 ‘회원’)의 정의 및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회원의 생산자료에 관한 기록 저장과 활용에 관한 내용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정의)
본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지씨’는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의 생산자료 등록과 확산을 위해 경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입니다.
② ‘회원’이란 소정의 가입 승인 절차를 거쳐 지지씨 글쓰기 계정(ID)을 부여받고, 지지씨에 자료 등록 권한을 부여받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 및 유관기관을 의미합니다.
‘생산자료(=콘텐츠)’란 ‘회원’이 지지씨 플랫폼 상에 게재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그림, 사진, 동영상, 링크 등으로 구성된 각종 콘텐츠 자체 또는 파일을 말합니다.
제3조(가이드의 게시와 개정)
① 경기문화재단은 본 가이드의 내용을 ‘회원’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지지씨 플랫폼의 기관회원 등록 안내 페이지에 게시하여, 자유롭게 내려받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② 본 가이드는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플랫폼 운영 정책 및 저작권 등 관련 법규에 따라 개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를 개정, 적용하고자 할 때는 30일 이전에 약관 개정 내용, 사유 등을 '회원'에 전자우편으로 발송, 공지합니다. 단, 법령의 개정 등으로 긴급하게 가이드를 변경할 경우, 효력 발생일 직전에 동일한 방법으로 알려 드립니다.
1. 본 가이드의 개정과 관련하여 이의가 있는 ‘회원’은 탈퇴할 수 있습니다.
2. 경기문화재단의 고지가 있고 난 뒤 효력 발생일까지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았을 경우, 개정된 가이드를 승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4조(회원자격 및 가입)
① ‘지지씨’의 ‘회원’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과 유관기관으로 합니다. ‘회원’은 글쓰기 계정을 부여받은 후 지지씨에 생산자료를 등록하거나, 게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② ‘지지씨’의 가입 신청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계정 신청서를 작성,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1.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지지씨에서 내려받기 한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지지씨 계정 신청서’를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ggc@ggcf.kr)로 제출, 승인 요청을 합니다.
2. 한 기관에 발급되는 계정은 부서별/사업별로 복수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사용자 편의 등을위해 기관 계정 관리자 1인이 복수 계정의 발급을 신청한 경우, 승인 불가합니다.
3. ‘회원’ 계정은 신청인이 속한 기관명/부서명/사업명 등의 한글로 부여됩니다.
4. ‘회원’은 계정 발급 후 최초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5. 계정의 비밀번호는 가입 승인된 계정과 일치되는 ‘회원’임을 확인하고, 비밀 보호 등을 위해 ‘회원’이 정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③ ‘지지씨’ 가입 신청 방법은 내부 방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가입 신청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경기문화재단은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신청에 대하여 승인 불허 혹은 사후에 계정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1. 과거 회원자격 상실 회원. 단, 경기문화재단과 회원 재가입 사전 협의, 승인받은 경우는 예외로 함
2. 정보의 허위 기재, 저작권 등 관련 법률을 위반한 저작물 게시 등 제반 규정을 위반한 경우
⑤ ‘회원’은 회원자격 및 지지씨에서 제공하는 혜택 등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할 수 없습니다.
⑥ ‘지지씨’는 계정과 생산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별표〕에 따라 ‘회원’을 구분합니다. 회원 구분에 따른 이용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제5조(회원 정보의 변경)
① ‘회원’은 언제든지 가입정보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기관명, 부서명 등의 변경에 따른 계정 변경도 가능합니다. 단, 계정 변경시에는 계정(신청/변경)신청서를 다시 작성, 제출해야 합니다.
② ‘회원’은 계정 신청 시 기재한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전자우편 등 기타 방법으로 재단에 대하여 그 변경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③ 제2항의 변경사항을 알리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6조(회원 탈퇴 및 정지‧상실)
① ‘회원’은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 전화 및 경기문화재단이 정하는 방법으로 탈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조속히 탈퇴에 필요한 제반 절차를 수행합니다.
② ‘회원’이 탈퇴할 경우, 해당 ‘회원’의 계정 및 가입 시 작성, 제출한 개인정보는 삭제되지만, 탈퇴 이후에도 등록자료는 ‘지지씨’에서 검색, 서비스됩니다.
③ ‘회원’ 탈퇴 후에도 재가입이 가능하며, 탈퇴 전과 동일한 아이디를 부여합니다.
제7조(생산자료의 게시와 활용)
① ‘회원’은 글쓰기페이지(www,ggc.ggcf.kr/ggcplay/login)를 통해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지지씨’에 접속합니다.
② ‘회원’은 ‘지지씨’ 에디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해당 기관의 문화예술 관련 자료를 게시 및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사업의 일몰, 기간의 종료, 추진부서의 변경 등의 사유로 삭제는 불가합니다.
③ ‘회원’은 ‘지지씨’에 게시한 해당기관의 자료를 뉴스레터, SNS 등 온라인 매체로 확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타기관의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 사용 협의 및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④ ‘회원’의 게시물은 도민 문화향수 확산을 위해 출처를 밝히고 뉴스레터나 SNS 등의 채널에 가공 없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제8조(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관리에 대한 의무)
① ‘회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으며,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② ‘회원’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 이를 즉시 경기문화재단에 알리고 재단의 안내를 따라야 합니다.
③ 본조 제2항의 상황에 해당하는 ‘회원’이 경기문화재단에 그 사실을 알리지 않거나, 알린 경우라도 경기문화재단의 안내에 따르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경기문화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9조(회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무)
① 경기문화재단은 지지씨 계정 신청시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정 관리자 이름 2. 사무실 연락처 3. 담당자 전자메일
② ‘회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보호됩니다.
③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 누리집 하단에 공개하며, 개정시 그 내용을 ‘회원’의 전자메일로 알립니다.
제10조(사용자 권리 보호)
① ‘회원’의 게시물이 저작권 등에 위배될 경우 경기문화재단은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바로 삭제조치합니다. 이와 관련한 분쟁은 「저작권법」 및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을 따릅니다.
②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게시물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이거나, 관련 법령을 위배하는 등지지씨의 운영 정책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회원’과 협의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의 게시물로 기관의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당하셨다면,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의 고객상담(VOC)을 통해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정책 규정을 따라 처리될 것입니다.
본 약관은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의 승인을 얻은 날부터 시행됩니다.
대분류 | 외부기관 | 경기문화재단 |
---|---|---|
중분류 | 뮤지엄(박물관,미술관)/협회/문화예술공공기관/시군청 담당부서 등 | 본부/기관 |
아이디 | 사업부서명/사업명 | 사업부서명/사업명 |
글쓴이 노출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 안내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지지씨 관리자 이메일로 제출해 주세요.
실학박물관
‘정약용 열수에 돌아오다’ 기획연재(최종회)
2018-04-16 ~ 2018-07-15 / 다산 정약용과 열수_문제의 근원과 이치를 좇아
다산 정약용과 열수
문제의 근원과 이치를 좇아
다산 정약용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한강가에서 태어났다. 그는 한강을 ‘열수洌水’라 불렀다. 다산의 5대조 정시윤(1646-1713)이 서울 정계에서 물러나 한강가에 정착하면서 열수는 나주 정씨들의 삶의 터전이자 고향이었다.
『다산시문집』권4에는 고향집이 있는 열수를 그리워하는 다산의 시가 전한다.
저 유산 아래는 내가 사는 집이 있고 끝없이 넓은 열수에는 물고기가 가득하네
酉山之下 爰有我廬 洌之洋洋 有牣其魚.
이 시 말미에 다산은 하늘을 나는 새에 빙의하여 날개 짓하여 금세 고향땅에 다다를 수 있는 것처럼 읊었다. 그러나 이내 날다가 화살에 맞아 떨어질까 두렵다며 고백하고는 그물에 걸린 토끼를 보며 유배 중인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였다.
1818년 유배에서 풀려 고향에 돌아온 이후 다산은 스스로를 가리켜 ‘열수옹洌水翁’․‘열수산인洌水山人’․‘열로洌老’․‘열초洌樵’라 하여 한강에 사는 사람임을 드러냈다. “너희들은 열수가에서 태어났으니 누구를 만나면 나는 열수가에 사는 정아무개라고 소개하거라”고 두 아들에게 당부할 정도로 고향에 애착을 가졌다.
다산이 태어난 마재마을은 오늘날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현 행정구역으로는 남양주 조안면 능내리이다. 이 지역은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류 지점인 양수리 일대와 맞닿아 있다. 북한강 너머에는 검단산과 예봉산, 운길산이 있고, 동쪽으로는 팔당댐, 남쪽으로 뻗은 능선에는 용마산이 솟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부고속도로가 지난다.
수도권 최고의 절경을 자랑하는 이곳에 대해 다산은 “검단산은 험난하기 짝이 없고, 열수는 유유하여 끝이 없다((黔山何其險 洌水何其長)”고 했다. 경기도 하남시와 광주시에 걸쳐있는 검단산은 산세의 막힘이 없어 남한강·북한강과 팔당댐이 한 눈에 보인다. 이곳은 과거 한강을 이용하여 한양으로 들어오는 지방 물산物産의 집산지이기도 했다. 검단산 입구에 창우동倉隅洞이라는 이름의 동네가 있는데, 아마 물산을 보관했던 창고지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한강을 열수라 부르다
어린 시절부터 한강을 보고자란 탓인지 다산은 하천을 매우 중요시했다. 그는 한반도의 하천명이 특별한 기준이 없이 어떤 것은 하河라고 하고 어떤 것은 수水라 하는 등 통일되어 있지 않다고 보았다. 때문에 그는 기존의 ‘강’ 대신 ‘수’로 하천명을 통일했다. 대동강은 패수浿水, 압록강은 녹수綠水, 청천강은 살수薩水, 한강은 열수라 불렀다.
우리나라 큰 하천으로서 북서쪽은 녹수(압록강)이고, 다음 북쪽은 살수(청천강), 다음 북쪽으로 패수(대동강), 다음 북쪽으로 저수(예성강), 다음 북쪽으로 대수(임진강)이고, 경강은 열수(남북강)이며,
다음 남쪽으로 사수(백마강), 다음 남쪽은 영수(영산강)이다.
다산은 왜 한강을 열수라고 불렀을까? 그는 한강의 옛 이름은 열수인데, 한 무제가 위만을 평정하고 열수 이북에 한사군을 설치하면서 남쪽의 삼한 사람들이 열수를 ‘한수漢水’라 불렀다고 주장했다. 오늘날처럼 크다는 의미의 한강이 아닌, 한사군의 경계가 되는 강이기에 삼한사람들이 ‘한강漢江’이라 불렀다는 견해다. 또한 열수의 근원은 남북 두 가닥이 있으니 북쪽 물은 ‘산수汕水’며, 남쪽 물은 ‘습수濕水’라 했다. 그 근거는 『사기史記』 <조선전>이다. 이 책에 "조선에는 습수·열수·산수의 세 물이 있어 이것이 합쳐서 열수가 되었다"는 기록에 근거했다.
다산은 습수는 남한강, 산수는 북한강, 열수는 한강인 것으로 추정했다. 열수는 고조선의 중심을 흐른 강이다. 이 열수를 한강으로 비정(比定)한 것은 오늘날 고조선 연구 성과에 비추어보면 오류가 있다. 당시 그가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의 한계 때문이지 싶다.
다산이 조선의 하천 명을 개칭한 것은 나름 소신에서 출발한 것이다. 평소 조선의 언어나 문자에 대해 오류를 잡아내고 표준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그가 쓴 아언각비雅言覺非는 이런 소신의 결과물이다. ‘아언雅言’이란 바른말, 즉 표준이 되는 말이란 뜻을 담고 있다. ‘아언각비’란 바른 말로써 그릇된 말을 깨닫는다는 뜻이다. 이 책은 당시 잘못 사용되고 있는 말과 글의 참뜻과 어원을 밝힌 것으로, 해배 후인 1819년 겨울에 완성되었다.
『아언각비』 서문에 다산은 “학學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진다.
학이란 무엇인가? 학이란 깨닫는 것이다. 깨닫는 것은 무엇인가? 깨닫는 것은 잘못된 것을 깨닫는 것이다.
잘못된 것은 어떻게 깨닫는가? 바른말에서 깨달아야 한다.
다산은 사슴을 말이라고 했다가 잘못을 깨달아 다시 사슴으로 고치는 것이 곧 ‘학學’이라고 했다. 잘못된 것을 바로 잡는 것이야말로 학에 이르는 과정이다. 실제 지식은 전해 듣는 것이 많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 많다. 다산은 이를 바로 잡기 위해 각종 문헌을 검토하며 말과 글의 어원을 찾았고, 그런 취지에서 조선의 하천명도 바꾸었다고 본다.
오늘날 하천은 경제적 이익이 별로 없는 편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지역 경제에 큰 이익을 주었다. 다산은 큰 하천에는 어량魚梁을 만들어 물고기를 잡고, 또 선박이 모여드는 곳이니 지역에 주는 이익이 매우 크다고 했다. 두 강이 만나는 접점엔 물고기가 많이 잡힌다. 실제로 그가 살았던 열수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곳으로 조선시대 유명한 어장漁場 지역이었다.
다산은 지역 경계는 자연경계 즉 큰 산이나 냇물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그에게서 열수는 한반도를 가르는 중요한 경계가 되는 하천이었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인데다가 하천들은 씨줄이 되어 조선시대에는 강과 바다에 많은 배들이 다녔다. 각 지역의 물산들이 모두 배로 운반되었다. 다산은 “나라에는 수레가 없고 망아지가 달리는 풍속이 없다. 모든 일용 백물을 운반하는 방법이 배 아니면 이고 나르는 두 가지뿐이니, 배의 쓰임이 매우 긴요하다.”고 했다. 강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식견이 아닐 수 없다.
소동파의 아미산도와 다산의 초계도
다산은 유배지인 강진을 떠나 1818년 음력 9월 14일 마재 고향집에 돌아왔다. 열여덟 해를 유배지에서 보낸 그는 다시 같은 햇수를 고향에서 보냈다. 18년 만에 돌아온 고향집 ‘여유당’은 실로 어머니 품 같았으리라.
다산에게 고향 마재 마을 앞을 흐르는 소내는 마음의 고향이었다. 소내는 초계苕溪 혹은 초천苕川, 우천牛川이라고도 불렀다. 그물치기와 낚시는 그의 일상이었고, 집 뒤의 철마산, 운길산과 수종사, 강 너머의 천진암 등은 부친을 모시고, 형제들과 함께, 어느 때는 벗들과, 때론 홀로 즐겨 찾았던 곳이었다.
강진 유배 생활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다 지친 다산이 낸 아이디어는 바로 소식蘇軾의 ‘아미산도峨嵋山圖’였다. 소식은 소동파蘇東坡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송나라 문인이다. 소동파는 1097년 신법당의 미움을 받아 중국 최남단인 해남도까지 귀양 갔다. 고향 생각에 소동파는 아미산을 그려 놓고 자신의 향수병을 달랬다. 중국 사천성에 위치한 아미산은 멀리서 보이는 산세가 마치 여인 눈썹처럼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이다. 소동파는 여인보다 아름다운 고향산 아미산에서 한시를 읽고 지었다.
다산은 소동파의 아미산도를 떠올리며 고향집 앞을 흐르는 소내를 그렸다. 이 과정이 ‘희작초계도戲作苕溪圖’란 시에 잘 나타나 있다. 희작초계도를 번역하면 ‘거칠게나마 그려본 소내’란 뜻이다.
소동파는 남해 땅에 귀양가서
아미산(峨嵋山)을 그려놓고 병이 나았다지
나도 지금 소내[苕溪]를 그려 놓고 싶은데
이곳엔 화가가 없으니 누구에게 부탁할까
시험 삼아 수묵으로 밑그림을 그려 보니
먹 자국만 낭자하니 먹칠되고 말았구나.
밑그림 몇 번 고치다 손에 익어졌지만
산 모양과 물빛은 여전히 어렴풋하네
- 정약용 시, <희작초계도>
다산은 초계도를 다산초당에 걸어 놓고 고향이 그리울 때마다 올려다보았다. 눈앞에 선한 그림 속 고향은 갈수 없는 곳이었다. 이를 두고 다산은 “소나무·회나무 덮힌 문은 우리 정자, 배꽃 한껏 핀 정원은 우리 집, 내 집이 저긴데도 갈 수 없으니 이 그림이 나의 마음을 방황하게 하네.”라고 읊었다. 고향집을 그려 놓고 보며 마음을 달래보려 했지만, 갈 수 없는 현실이 오히려 더 큰 슬픔을 가져다 준 심경이 잘 나타나 있다.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