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계해사궤장연첩 癸亥賜几杖宴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28호




1623년(계해년, 인조1) 9월 6일, 오리 이원익梧里李元翼(1547~1634) 이 77세의 나이로 관직에서 물러나자, 예법에 따라 궁중에서는 기로소耆老所에서 기로연耆老宴을 베풀어 주었고, 임금은 안석(궤, 几)과 지팡이(장, 杖)를 하사하였다. 이 연회는 임진왜란 이후 처음으로 시행된 기로연으로, 임진왜란과 인조반정의 혼란을 겪은 뒤 국가의 문물제도를 새롭게 정비하는 의미가 담긴 행사라고 할 수 있다. 『계해사궤장연첩』은 당시 기로연에 참석한 빈객賓客 등이 주고받은 축시를 모은 시첩詩帖으로, 첫 장에는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 유근柳根(1549~1627)이 소서小序를 곁들여 지은 시 서문이 있고, 이어 그의 오언배율五言排律 십운시十韻詩와 여기에 차운次韻한 참석자들의 시 21편, 연회 후에 보내온 시 11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시들은 모두 오리 이원익의 덕행을 칭송하고 궤장을 하사받은 영예를 축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계해사궤장연첩, 2004 ©충현박물관                                       계해사궤장연첩 내지,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계해사궤장연첩』의 제작에는 당대 저명인사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어서 이원익의 교우관계를 엿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일에 참여한 인물이 윤방尹昉·신흠申欽·이호민李好閔·이광정李光庭·이정귀李廷龜·한준겸韓浚謙·이준李準·이귀李貴·이덕형李德泂·김류金瑬, 이시언李時彦·이시발李時發·오윤겸吳允謙·민인백閔仁伯·오백령吳百齡·이홍주李弘冑·이경함李慶涵·이성구李聖求·이준李埈·이원익李元翼 등 22명이고, 당일에 참석하지 못하고 뒷날에 수창酬唱한 이는 이수광李睟光·정광적鄭光績·김상헌金尙憲·조익趙翼·이민구李敏求·이식李植·목장흠睦長欽·목대흠睦大欽·홍방洪霶·김세렴金世濂·오준吳竣 등 11명이다. 이렇게 다수의 빈객이 참여하여 축시를 지었지만 모두 같은 사람의 필체로 정서精書한 것으로 보아 이 시첩은 원본을 바탕으로 필서한 전사본轉寫本으로 판단된다.
연회도가 포함된 원본 시첩詩貼 「사궤장연겸기로회도賜几杖宴兼耆老會圖」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계해사궤장연첩』은 연회도가 빠진 사본이기는 하지만 궤장연시첩의 전래본이 많지 않고 또 본서도 당시에 편찬된 것으로서 원본을 보완하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623년)

    규모/ 1책 / 48×35.5cm

    재질/ 종이

    주소/ 광명시 오리로347번길 5-5

    지정일/ 2009.10.16

    소유자/ 이승규

    관리자/ 충현박물관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