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사기장(분청사기) 沙器匠(粉靑沙器)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1-2호





분청사기란 ‘분장회청사기’의 줄임말로 그릇의 표면을 백토로 바른 후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문양을 장식한 것이 특징이며, 고려 말 상감청자에 연원을 두고 조선 초에 성행적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세종연간에는 인화분청이 절정을 이루며 관용官用자기로 공납貢納되어 왕실과 관청에서도 사용되었고, 지역별로 다양한 장식기법이 특색을 나타내며 절정을 이루었는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경기도 광주지역에 사옹원司饔院 소속의 분원分院, 즉 관요官窯가 설치되어 백자의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분청사기는 점차 백토 분장을 위주로 백자화의 경향을 나타내며 점차 쇠퇴하여 16세기 후반부터는 거의 제작되지 않게 되었다.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호, 분청사기 투각문 병 ©경기무형문화재총연합회


분청사기에 사용된 장식기법은 크게 상감象嵌·인화印花·선각線刻·박지剝地·철화鐵畫·귀얄·덤벙이 대표적인데, 시기와 지역에 따른 특색을 나타냈다. 15세기 초까지는 고려 말 상감청자의 기법과 특징을 그대로 계승한 상감분청이 주로 만들어지다가 15세기 중엽에는 고려 말부터 등장한 인화기법을 기면 전체에 적용한 도장으로 무늬를 찍은 후 백토로 상감한 인화분청이 크게 성행하였다. 15세기 후반에는 백토 분장한 표면에 문양을 깊게 새긴 선각기법과 분장한 표면에 문양을 선각한 후 배경을 긁어낸 박지기법이 전라도 지방에서, 기면을 분장한 후 산화철 성분의 안료로 특유의 문양을 붓으로 그려 표현한 철화기법이 충청도 지방에서 각각 특색있게 제작되었다. 다른 장식기법은 사용하지 않고 백토물을 붓으로 바르거나 백토물에 담궈 기면을 전체적으로 분장한 귀얄기법과 덤벙기법은 백자화의 경향을 나타내며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주로 제작되었다.


  

분청사기 인화모란문 병, 보유자 박상진 ©경기무형문화재총연합회


경기도 무형문화재 분청사기 사기장인 박상진은 1971년 지순택의 ‘고려도요’(현 지순택요)에 들어가 도자기 기술을 익힌 후 1974년부터 박부원의 ‘도원요’에서 약 13년 동안 분청사기 기술을 연마하였다. 1987년 독립하여 개천요開川窯를 설립하고 분청사기 제작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2011년에 경기도 무형문화재 분청사기장으로 지정되었다. 전통적인 분청사기의 기법과 특징을 토대로 한 다양한 작품과 함께 분장기법을 대담하게 변형시킨 현대적 감각의 분청사기 작업도 시도하고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주소/ 광주시 탄벌길 166-8

    지정일/ 2011.06.17

    보유자/ 박상진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