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양평상여회다지소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7호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에서 2017년 발행한 경기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합 안내서입니다. 이 책은 기능보유자와 예능보유자 66명의 삶을 조망하고 보유 종목에 대한 소개와 다양한 단체에서 제공한 진귀한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지씨에서는 이 책에 소개된 경기도의 무형문화재를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전문 보기



“아들 딸 며느리 손자를 버리고 어이나 갈까 어이갈까/… 북망 산천 가다보면 눈물을 못하난데/… 인생 한 번 돌아가면 다시 갱소년 어렵더라


양평 상여 회다지 소리의 노랫말을 살펴보면 무척이나 흥미롭다. 이승을 떠나는 망자의 설움이 노래 곳곳에 담겨 있지만 가만히 짚어보면 떠나는 자가 남겨진 이들에게 조언을 하는 듯하다.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말, ‘한 번 뿐인 인생(YOLO)’이 옛 선조들의 가락 속에서도 가득 묻어난다.


양평 상여 회다지 소리는 양평군 양동면 일대에서 전승되는 장례의식요로, 운상을 하고 묘를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운상은 시신을 넣은 관을 상여에 싣고 집에서 장지까지 운반하는 절차를 가리키는 말인데, 이 과정에서 상여소리를 부른다.


회다지소리


영여-명정-공포-만장-선소리꾼-상여-상주-복인-문상객 순으로 출상이 진행된다. 운상할 때 선소리꾼이 주로 회심곡을 부르는데 이따금 회심곡 외에도 “북방산천 어이나 갈까/… 세상말로를 어이나 갈까” 등 이승을 떠나는 망자의 아쉬운 마음을 대변해 노랫말을 바꿔 부르기도 한다.


후렴도 평지를 보통 걸음으로 걸을 땐 “어호어 어허하 어이나 갈까 에호”라 부르고, 빠르게 갈 때는 “어호 에에하”로 부른다. 또 언덕에 오를 때는 “오호 어차”를 선소리꾼과 교대로 외친다.


망자의 혼이 타고 있는 요여, 상여는 이 요여를 따른다.


양동면 일대 마을에서는 상여가 나갈 때 요령과 북을 함께 이용한다. 상여 앞에 선 선소리꾼이 보통 요령잡이가 돼 요령을 흔들며 선소리를 매기면, 상여를 맨 상두꾼들의 발을 맞추기 위해 북잡이가 북을 치며 따라간다.


회다지는 장지에서 관을 내린 후 무덤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인데, 보통 무덤을 다질 때 흙에 횟가루를 섞어 넣는다고 해 회다지 소리라 부른다.



양평상여회다지소리는 경기북부 소리, 그 중에서도 양평 동북지역 소리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무덤을 다지는 횟수를 ‘쾌’라고 말한다. 회다지는 보통 3쾌로 다지지만 상갓집의 경제상황이나 장지의 상태에 따라 횟수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무덤을 다지는 달구꾼들의 회다지 동작은 광중을 다질 때와 봉분을 만들 때로 구분된다. 광중은 관을 넣기 위한 구덩이를 말하는데, 광중을 다질 때는 달구꾼 8명이 횟대를 들고 둘씩 짝을 지어 몸을 좌우로 움직이고, 땅에 닿아있는 횟대를 손으로 옮겨가면서 왼발과 오른발로 번갈아 다진다. 광중이 끝나고 땅이 평평해지면 봉분을 쌓아야 하는데, 선소리꾼이 가운데 서서 북을 치며 선소리를 메기면 달구꾼들이 횟대에 몸을 의지한 채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양 발을 번갈아가며 봉분을 다진다. 쾌를 할 때마다 선소리와 고하는 소리를 주고받는다.




첫 쾌를 다질 때 선소리꾼이 “에이야허리 다 알고”를 외치면, 달구꾼이 “여 이번 소리는 산신님께 고했습니다. 예” 라고 한다. 두 번째 선소리를 외치면 이번엔 “여 이번 소리는 여러 외곽 손님께 고했습니다. 예”라고 답한다. 마지막 고하는 소리는 “여 이번 소리는 광 중 안 팔지 원님께 고했습니다 예”라고 답한다. 이후 선소리꾼의 메기는 소리에 맞춰 달구꾼들이 후렴을 노래한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7호 양평상여회다지기소리


지정일1998. 9. 21
보존회보존회장 최봉주
전수관한수문화원                                                                            




세부정보

  •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발행처/ 경기도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문의/ 031-231-8576(경기학연구센터 담당 김성태)

    발행일/ 2017.12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