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이정구선생 묘 및 삼세신도비 李廷龜先生 墓 및 三世神道碑

경기도기념물 제79호





조선중기 4대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일컬어졌던 이정구李廷龜(1564 ~1635)의 묘이다. 이정구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이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의 행재소에 나아가 설서가 되었고, 다음해 명나라 사신 송응창을 만나 『대학大學』을 강론하여 높은 평가를 받아 그 내용이 『대학강어大學講語』로 간행되었다. 그 후 왕의 신임을 받아 병조·예조·형조판서를 거쳤고, 여러차례 사신이 되어 명나라에 왕래하였다. 1628년(인조6)에는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다. 이정구는 문장에 재주가 있어 신흠申欽, 장유張維, 이식李植과 함께 조선중기 4대 문장가로 명성을 떨쳤다. 저서로는 『월사집月沙集』이 있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이정구의 묘는 가평군 윗면 태봉리 주금산 동쪽 자락 연안이씨 묘역에 위치해 있다. 봉분의 형태는 단분으로 부인 안동권씨와 합장묘이다. 이정구 묘를 중심으로 상단에 장손 이일상李一相(1612~1666)의 묘, 그 상단에 아들 이명한李明漢(1595~1645)의 묘가 함께 조성되어 있다. 동남으로 약 70m 지점에 월사집 목판(경기도유형문화재 제133호), 연안이씨 정려문, 연안이씨 삼세비각이 있다.

묘는 정남향으로 2기의 계체석으로 구분하여 3계階를 이루고 있다. 상계에는 호석을 두른 봉분과 묘표, 혼유석을 배치하고, 중계에는 상석과 고석, 향로석, 동자석 2기, 망주석 2기를 배치하였으며 하계에는 문인석 2기를 배치하였다.


이정구선생 묘,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신도비는 1656년(효종7)에 건립한 것으로, 비문은 당시 좌의정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지었고, 글씨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1595~1672)이 썼으며, 전액篆額은 우의정을 지낸 김상용金尙容(1561~1637)이 썼다. 전액은 「의정부좌의정증시 문충이공신도비명議政府左議政贈諡 文忠李公神道碑銘」이고, 형태는 옥개방부형屋蓋方趺形이다. 개석은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를 간략화하였다. 신도비는 단순하면서 웅장한 모습, 당대 최고의 문장과 서예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17세기 대표적인 비이다.

묘표는 봉분 정면에 있으며, 음기陰記가 없어 정확한 조성연도를 알 수 없다. 대석의 윗면은 연판문을, 앞뒤에는 당초문을 조각하여 신도비와 같은 문양 구성을 보이고 있다. 형태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이며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폭이 좁아지는 17세기 전반기 이후 크게 유행한 형태이다.

상석床石은 앞면은 고석鼓石 2기를 받치고 뒷면은 계체석에 받쳐 높이를 맞추었다. 마정질을 많이 한 상태이며, 사방을 모줄임하였다. 향로석은 정방형에 가까운 6각형태로 17세기후반에 유행한 전형적인 형태이다. 또한 봉분 하단을 보호하려고 두른 호석護石이 있는데, 조선후기 사대부 묘에서는 드문 사례이다.


  

이정구선생 묘 호석, 향로석,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동자석은 상석의 좌우에서 묘주와 가깝에 배치하였다. 머리에 쌍계가 있고, 두손에는 상단이 납작한 지물을 가슴 앞에서 모아 쥐고 있다. 복식은 소매폭이 좁고 앞면과 양 옆구리 아래로 긴 띠가 늘어진 포를 입고 있다. 쌍계 머리의 동자석은 16세기 초반부터 17세기 후반까지 유행한 형식으로 이정구 묘의 동자석은 17세기 중반의 평면적이고 도식적인 양식을 보이고 있다.

망주석은 중계에 위치하고 있다. 운두雲頭에는 여의앙련을 조각하였으며, 손잡이 형태의 귀耳는 많이 마모되어서 형태가 불분명하다.


이정구선생 묘 동자석(좌), 동자석(우),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문인석은 형태는 금관조복형金冠朝服形이다. 앞·뒷면에 장식한 폐슬과 후수는선단형태만 양각한 간략한 형태이다. 얼굴이 앞으로 많이 돌출되었고, 손가락은 동자석과 동일하게 마디의 구분이 없이 평면으로만 표현하였다. 인체의 형태나 세부장식의 입체화가 거의 없는 평면적이고 경직화된 17세기의 전형적인 양식이다.


이정구선생 묘 문인석(좌), 문인석(우),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전체적으로 원형의 묘제와 석물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17세기 전반기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묘제나 묘역의 석물 유형과 배치 방식이 장손 이일상 묘와 아들 이명한 묘가 매우 흡사한데, 원수방부형 묘표, 동자석의 배치, 육각향로석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17세기 중·후반 연안이씨 묘역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2기

    / 단분, 묘비 1기, 혼유석 1기, 상석 1기, 향로석 1기, 동자석 1쌍, 망주석 1쌍, 문인석 1쌍

    주소/ 가평군 상면 태봉리 산115-1

    지정일/ 1984.09.12

    소유자/ 연안이씨 종중

    관리자/ 연안이씨 월사공파 종중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