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수원 고읍성 水原 古邑城

경기도기념물 제93호





<수원 고읍성>은 고려시대에 축조된 읍성으로 조선시대 1789년(정조13)에 사도제자의 능을 이곳으로 옮기기 전까지 고려시대부터 조선초기의 수원지역의 행정 중심지였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은 정조와 그 왕비의 능인 건릉健陵 북쪽 산정상부에서 서쪽 능선을 따라 수원대학교 정문까지 토축으로 길이 540m, 높이 2.5m 정도이다.


 

관아터 1호 건물지, 1999 ©한신대학교 박물관                         현륭원 재실터 남측 담장, 1999 ©한신대학교 박물관


    성벽 동측 토층, 1999 ©한신대학교 박물관


수원 고읍성 출토 자기, 기와, 2006 ©한신대학교 박물관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이 읍성이 세종 대에도 사용되었으며, 둘레는 270보(약 1.2㎞)이고, 성 안에는 두 개의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읍성이 퇴락되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얼마되지 않아 폐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789년(정조13)에 양주 배봉산에 있던 사도세자의 능을 이곳 현륭원顯隆園(지금의 융릉)으로 옮기면서 기존의 읍성구역이 대부분 훼손된 것으로 여겨진다.


수원 고읍성 성벽,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관아와 객사, 군영, 운금루 등이 발굴조사되었으며 성내 관아터에서 통일신라~조선후기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자기는 고려전기 해무리굽 청자부터 조선말기의 청화백자까지 확인되고, 기와 또한 고려시대의 어골문기와와 17~18세기 것들이 주류를 이루는데 이는 고읍성의 사용시기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고려~조선시대

    규모/ 일원 / 둘레 540m, 높이 2.5m

    재질/ 토성

    주소/ 화성시 기안동 460-91, 457-302, 산2-2외

    지정일/ 1986.09.07

    소유자 / 국유

    관리자/ 화성시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