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노고산 독재동 추사필적 암각문 老姑山 篤才洞 秋史筆蹟 岩刻文

경기도기념물 제97호





<노고산 독재동 추사필적 암각문>은 노고산 곡릉천 계곡의 자연암반 9곳에 산재되어 있는 암각문을 가리킨다. 암각문의 내용은 몽재夢齋, 만의와萬懿窩, 가탁천可濯泉, 미수선생장구지소眉叟先生杖屨之所 등이다.


노고산 독재동 추사필적 암각서, 1999 ©양주시


  

노고산 독재동 기타 인물 암각문, 2005 ©양주시


  

노고산 독재동 미수 허목 필적 암각서, 1999 ©양주시


높이 102cm, 너비300cm, 두께 323cm 가량의 화강암에 ‘몽재’라는 명문이 있는데 말미에 추사秋史라 새겨져 있어 조선후기 문인서예가 추사 김정희秋史金正喜(1786~1856)의 필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몽재와 그 아래 새겨진 간지干支의 의미는 미상이다. 이곳에 추사의 필적이 어떤 이유로 남겨진 것인지 알 수 없고, 몽재가 추사체의 전형이라 말하긴 어렵지만 현전하는 김정희의 암각문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김정희의 서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노고산 독재동 추사필적 암각문,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이밖에 ‘미수선생장구지소眉叟先生杖屨之所’는 미수 허목眉叟許穆(1595~1682)이 지팡이를 놓았던 장소를 뜻하며 좌우에 이시선李時善과 임술壬戌, 독재동篤才洞 등의 미수풍의 전서가 있어 제자 이시선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가탁천可濯泉·유마폭流磨瀑·충서근忠恕勤·만의와萬懿窩 등의 여러 사람의 필체가 있으나 누가 썼는지 알 수 없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일원(6점)

    / 몽재 26×46cm, 만의와 28×19cm

    / 가탁천 18×17cm, 미수선생장구지소 15×12cm

    재질/ 석재

    주소/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29

    지정일/ 1987.02.12

    소유자 / 양주시

    관리자 / 양주시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