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한산이씨 묘역 韓山李氏 墓域

경기도기념물 제116호





<한산이씨 묘역>은 조선중기부터 후기에 걸쳐 조성된 한산이씨韓山李氏 세장산世葬山 묘역이다. 원래 분당지구 신도시 개발지역의 가장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었으나, 현재는 중앙공원 내에 편입되어 있다. 묘역은 해발 약 70m의 영장산靈長山 전체에 조성되어 있는데 전체 규모는 약 87,000여 평에 이른다.

정남향 묘역에는 토정 이지함土亭李之函(1517~1578)의 조부로 봉화현감을 지낸 한원군 이장윤韓原君李長潤(1445~1528)을 비롯하여 한성군 이질韓城君李秩(1474~1560), 한평군 이지숙韓平君李之菽(?~1525), 아천군 이증鵝川君李增(1525~1600), 이확李穫, 이집李潗, 이정李程 등의 묘역이 있다. 동남향에는 이증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순절한 충신 이경류李慶流(1564~1592), 이경류의 애마총愛馬塚, 이증의 손자인 이정룡李廷龍 등의 묘역이 있다. 남서향에는 이오李奧·이원李垣·이한李漢·이병건李秉健 등의 묘역이 있다. 또한 남서향으로 중앙공원의 입구 쪽에는 이장윤·이질·이지숙의 유사遺事를 기록한 한산이씨삼세이하유사비韓山李氏三世以下遺事碑(1722년 건립)를 비롯하여 이증 신도비(1695년 건립), 이경류 정려비旌閭碑(1727년 건립), 이정룡 신도비(1728년 건립)가 있다.


한산이씨 묘역,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위와 같이 이곳은 사패지賜牌地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조성된 한산이씨의 세장지世葬地이었다. 또한 동·서·북쪽에 한산이씨 묘역임을 알리는 한산이씨묘산입수비韓山李氏墓山入首碑가 건립되어 있었고, 그 중 2기는 중앙공원을 조성하면서 공원 내로 이전하였다. 이 묘역군은 한산이씨의 세장묘역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가문에 대한 역사적 교훈의 장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아울러 오랜 기간 동안 조성되어 왔기 때문에 묘제 및 석물양식의 계기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일원

    / 지정구역 30,688㎡

    주소/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550

    지정일 / 1989.12.29

    소유자/ 한산이씨 종친회

    관리자 / 한산이씨 종친회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