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리본(Re:born) 파티

용인_김창환, 노동식, 배상욱 작가의 작업실




동천동 작업실의 마지막을 기억하며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 <보이지 않는 도시들>은 마르코 폴로가 중국의 황제 쿠빌라이 칸에게 자신이 방문했던 도시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그 도시들은 실제 현실 속에 존재하는 도시들이 아니라 가상의 도시들이다. 칼비노가 보기에, 하나의 도시에는 수많은 기억, 욕망, 기호 등이 얽혀있으며, 이를 해독하는 방식은 극히 다양하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 칼비노는 그 다양한 얽힘 들에 대해 묘사했다. 그러한 묘사는 더 이상 도시라는 공간이 단순히 정적인 실체라기보다는 출현과 사라짐이 반복되는 불안정한 공간으로서 존재함을 드러내고 있었다.


        도시의 형태는 그 목록이 무한하다. 모든 형태가 자신의 도시를 찾고 새로운

        도시들이 계속 탄생하게 될 때까지, 모든 형태의 변화가 끝나고 나면 도시의

        종말이 시작된다.

이탈로 칼비노, <보이지 않는 도시들> 중에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에서도 그 불안정성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거대한 아파트 단지가 건설될 (심지어 이 글을 쓰고 있는 11월말 현재 건설공사가 한창인)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그 불안정한 움직임을 오롯이 겪고 있는 예술가들이 있었다. 김창환, 노동식, 배상욱 작가가 그들이다. 그들은 재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새로운 도시에 자리를 내주기 위해 사라지게 될 또 다른 도시, 두 번 다시 재건될 수 없을 과거형의 도시로서의 동천동 작업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7년 전 처음 이 작업실에 둥지를 틀었던 김창환 작가는 이곳이 그 당시 아주 절실했던 순간에 자신에게 찾아온 보석 같은 기회였다고 회상했다. 만학도로서 미술대학을 다니던 시절 보일러수리공이나 건축공사현장 등을 전전하며 생계를 유지하느라 고된 하루하루를 보냈던 그에게 작업실이라는 공간은 삶에 대한 성찰을 가능케하는 유일한 공간이었음에 틀림없다. 그런 그는 작업실이 ‘인내의 공간’ 이라고 정의한다. 자신과의 싸움을 견뎌나가고 있는 작가의 고통스럽지만 값진 시간들이 이 공간에 가득 차있었다.

동천동 작업실은 김창환, 노동식, 배상욱 작가가 함께 작업하는 공동 작업실이다.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 쉐어 하우스가 성행하고 있다는 뉴스가 심심찮게 들려온다. 그보다 훨씬 이전에 미술계에는 협업, 공동 작업등의 작업 방식이 유행처럼 번지던 시절이 있었고, 어느 덧 그러한 작업 방식은 안정적인 궤도에 이르러 지금은 지극히 익숙한 풍경이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일 또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그럼에도 현대인들은 여전히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것에는 서툴다. 동천동 작업실 곳곳에는 그 함께 살아보기 위한 노력의 흔적들이 남아 있었다. 손으로 쓴 작업실 수칙이라는 낡은 종이가 입구에 붙어 공동 작업실의 매력을 대변해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