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망월사 천봉당 태흘탑 望月寺 天峰堂 泰屹塔

경기도문화재자료 제66호




<망월사 천봉당 태흘탑>은 천봉선사 태흘天峰禪師泰屹(1710~1793)의 사리를 봉안한 묘탑墓塔이다. 망월사는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 의하면 639년(신라 선덕여왕8) 해호대사海浩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조선국천봉대선사탑비명병서朝鮮國天峯大禪師塔碑銘幷叙」에 따르면 태흘의 성은 김씨, 자는 무등無等, 호는 천봉天峰으로 황해도 서흥瑞興 출신이다. 6세에 유덕사有德寺로 출가하여 명탁明琢의 제자가 되었고, 도원道圓으로부터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20세에 우점雨霑에게 불경을 배운 뒤, 여러 선지식을 찾아 공부하였다. 이후 백천의 호국사護國寺에 돌아가 참선, 정진하였으며, 해숙海淑의 법을 받았다. 1793년 84세로 입적했으며, 다비茶毘 때 정골 2편과 사리 64매를 수습했다. 제자들이 백천 호국사와 문화 월정사月精寺, 양주 망월사望月寺에 탑을 세우고 사리를 봉안하였다. 법맥을 이은 제자로는 환열幻悅·묘일妙一·낭규朗奎 등 10여 명이 있으며, 계율을 받은 승려는 수백 명에 이른다.


망월사 천봉당 태흘탑,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천봉당 태흘탑은 팔각원당 형식의 묘탑으로 지대석을 2단으로 쌓은 독특한 구조를 갖추었다. 4매석의 장대석으로 하층 지대석을 구성한 후, 2매의 석재를 맞물려 하층 기단 위에 설치했다. 기단은 팔각형 석재 1매를 사용했는데 상하로 구분된다. 하부는 모서리 부분에 동자주 형식의 기둥을 모각했으며, 면석 중앙에 사각형 액額을 표현했다. 상부는 하면에 1단의 층급을 모각했으며 측면 상하부에 테두리 장식을 표현하였다. 중앙부가 부풀어 오른 상하로 긴 팔각탑신에는 하부에 작은 연판, 상부에 큰 연판을 조각했다.

탑신 중앙부에는 ‘서산오세손 천봉당태흘탑숭정기원후 삼갑인 모춘하완립西山五世孫 天峰堂泰屹塔崇禎紀元後 三甲寅 暮春下浣立’이라고 탑명을 음각했다. 팔각형 옥개석 하면에는 공포와 물끊기 홈을 표현했으며, 낙수면은 좁고 완만하다. 연꽃을 새긴 보륜 위에 보주를 올린 상륜이 옥개석과 한 돌로 제자됐다. 탑 명문을 통해 1794년(정조18) 건립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태흘탑 후면 암벽에는 시주자 명단을 기록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794년)

    규모/ 1기 250×270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의정부시 효원동 산91

    지정일/ 1985.09.20

    소유자/ 망월사

    관리자/ 망월사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