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문원리사지 석조보살입상 文原里寺址 石造菩薩立像

경기도문화재자료 제77호




<문원리사지 석조보살입상>의 원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보광사 창건시 3층석탑과 함께 옮겨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밋밋한 돌기둥 같은 신체에 앞면만을 새긴 보살상이다. 머리와 신체는 선각으로 표현하였는데 얕은 선각은 선의 흐름이 불안정하고 새김이 분명하지 않으며 양감은 전혀 표현되지 않았다. 둥근 얼굴에 눈과 가는 눈, 입은 음각으로, 낮은 코는 양각하였는데 전체적으로 편평하다. 선각으로 빈약하게 표현된 짧은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였다. 양쪽 어깨를 모두 덮는 통견通肩의 법의를 걸치고 있으며, 가슴에는 Y자형 옷깃을 표현하고 있다. 양 팔과 신체 전면에도 옷주름이 표현되었으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왼손은 가슴 부근에서 연꽃봉오리를 잡고 있으며 오른손은 왼손을 받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문원리사지 석조보살입상,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머리에는 후대에 얹은 것으로 보이는 둥근 보개를 쓰고 있다. 이처럼 돌기둥 같은 신체에 머리에는 보개를 쓴 보살상은 고려전기 충청도와 경기남부에서 유행하던 보살상의 양식으로,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대표적이다. 둔중해 보이는 이 보살상은 양감 없이 전체적으로 밋밋한 신체에 편평한 얼굴, 좁고 빈약한 어깨, 서툰 옷주름선 등 고려전기 석불 조각 양식을 이어 지극히 도식화된 상양식을 보여 주고 있다. 머리에 씌워진 원형의 보개는 고려시대보다는 조선초기에 유행하는 형식으로, 이 보살상의 보개는 석불보다 늦은 조선초기의 조성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 고려시대

    규모/ 1구 높이 170cm

    재질/ 석재(화강암)

    주소/ 과천시 교육원로 41

    지정일/ 1989.06.21

    소유자/ 국유

    관리자/ 보광사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