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테마전 <교과서 돋보기> 개최 “교과서 속 유물을 소개합니다”

2019-05-29 ~ 2019-08-31 / 경기도박물관

테마전에 대한 정보는 경기도 박물관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경기도박물관 테마전 <교과서 돋보기> 개최

“교과서 속 유물을 소개합니다”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에서는 문화가 있는 날을 기념하여 5월 29일부터 8월 31일까지 역사교과서에 등장하는 유물을 중심으로 테마전을 개최해 관람객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갑니다. 테마전 <교과서 돋보기>는 2016년 1월, 구석기시대 대표유물인 ‘주먹도끼’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0여 차례 교과서 속 유물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송시열 초상>은 심의에 흑색복건을 쓴 유복본 초상으로 안면의 채색이나 표현에서 조선 후기 양식이 두루 감지되는데, 특히 얼굴의 단순한 묘사와 달리 의복의 표현은 필선 아래 담묵으로 입체감을 살린 것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송시열은 단일 인물 초상화로는 가장 많이 남아있는데 18세기 이후 문묘文廟에 배향되면서 전국의 서원과 영당에 그의 초상을 모셨기 때문입니다. 그는 주자朱子 이후 동방의 성현으로 존경을 받은 대학자였으며, 특히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는 그를 존경하여 직접 ‘송자’라 칭하며 국가의 스승으로 추대하고 그의 문집과 자료를 모아 『송자대전』을 간행하였다고 합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그늘에서 벗어나 안정을 찾기 시작한 조선 후기는 학문과 문화가 꽃을 피운 시기였습니다. 송시열(1607~1689)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사상가이며 서예가로서 한 시대를 휘어잡은 걸출한 정치가였습니다.


사계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그의 아들 김집(金集, 1574~1656)에게 사사받은 송시열은 뛰어난 학문적 성취를 이루어 당대 제일의 학자로 성장하였습니다. 율곡 이이(李珥, 1537~1584)의 학풍을 계승한 기호학파로서 주자학의 신봉자인 그는 주자의 가르침을 평생 따라야할 원칙으로 생각하고 실천하였고, 성리학의 이상을 조선의 현실에 적용시켜 실천해 나간 사림의 지도자였습니다. 후학들에게는 ‘송자宋子’라고 극존의 존칭으로 불릴 만큼 사림들의 존경을 받은 대학자였습니다.


인조반정 이후 사림들이 대거 등용될 때 최명길의 추천으로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스승으로 임명되었고, 봉림대군이 효종으로 등극하면서 극진한 예우를 받으면서 정계에 등장하여 자신이 추구하는 정치철학을 관철시켰습니다. 특히 1차 예송에서 기년설을 관철시키면서 서인의 지도자이자 정신적인 지주로 우뚝 섰습니다. 그 후 좌참찬, 우의정, 좌의정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또한 송시열은 사촌사이였던 송준길(宋浚吉, 1606~1672)과 함께 ‘양송兩宋’으로 불리며 학문적·정치적 동지로 평생을 함께하였습니다.


조선 후기 명필로서 석봉체石峯體를 토대로 안진경顔眞卿의 필법을 녹여낸 웅건하면서도 장중한 무게와 기품을 더한 ‘양송체兩宋體’를 창안하였습니다. 이에 그들을 추종하는 서인세력뿐만 아니라 많은 유림들이 양송체를 사용하였으며, 이후 후학들에게 서법書法의 교과서로 추앙받으면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송시열 초상은 오는 8월 31일(일)까지 경기도박물관 상설전시실 입구에 전시될 예정입니다.

세부정보

  • 테마전 <교과서 돋보기>

    “교과서 속 유물을 소개합니다”

    장소/ 경기도박물관

    일시/ 2019년5월29일~8월31일

    문의/ 031-288-5336

    홈페이지/ musnet.ggcf.kr/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