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도가 궁금할 땐 '경기학센터'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20 ‘경기지역학 활성화’ 추진

▶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20 ‘경기지역학 활성화’ 사업 추진


  기문화재단(대표이사 강헌) 경기학연구센터가 2020년을 맞아 새롭게 지역학 활성화사업을 추진합니다. 최근 지방자치가 정착되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자연과 환경 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역의 현재를 직시하고, 과거를 알며, 미래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역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여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노력들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경기도 역사와 문화를 연구해왔던 경기학연구센터는 앞으로 연구뿐만이 아닌 다각적인 지역학 활성화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또한 재단의 중요 정책기조인 북부사업 역점 추진과 현장성 강화에 발맞추어 2020년 주요사업 중 상당수를 북부 현장에서 수행할 예정입니다.




  경기학연구센터는 우선 ‘지역정체성’의 확립이 미래발전의 큰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경기도와 31개 시‧군의 역사적‧문화적 근본을 찾고 이를 공유하는 공동협력사업들을 적극적으로 벌여나갈 계획입니다. ▲<경기학 강좌>는 시‧군 문화기관과 공동으로 지역현장에서 진행하는 대중교육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상하반기 가평군과 포천시에서 각각 개최됩니다. ▲지역연구의 이론‧실제를 강의하는 <지역연구자양성과정>은 경기서북부지역을 대상으로 고양시에서 진행합니다. ▲시‧군 지역학 심층발전을 위한 컨설팅 <공감하는 경기학>은 안산‧시흥시와 함께 추진합니다. 센터는 또 경기도를 범위로 하는 연구‧조사사업도 계속 진행해나갈 예정입니다. ▲2011년이후 지금까지 20권의 보고서를 낸 <지역공동체 조사>사업은 동두천‧부천‧시흥시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하며, 현대 경기도의 형성과정을 조사하여 기록하는 사업입니다. ▲경기도의 전근대 인물을 문중을 통해 탐구하는 <세거문중소장자료 조사>도 추진합니다.




  센터를 그동안의 성과를 알리고 공유하기 위한 발간사업도 적극 수행하고 있습니다. ▲역사‧문화를 집대성한 <역사문화총서> 시리즈, ▲학교현장에서 지역사를 공부할 수 있는 <경기도역사여행> 시리즈, ▲지역연구의 공유와 소통을 위한 정기간행물 <경기학광장(계간)>이 연중 발간‧보급될 예정입니다. 2020년부터는 ▲지역학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근현대 문화자원 아카이브 목록화>와 시범조사사업을 실시하여 센터가 경기도 지역학 정보 센터로서의 역할도 하고자 합니다.




▶ 경기학연구센터 →‘경기학센터’로 명칭 변경 추진


한편 경기학연구센터는 지역학 사업의 활성화와 사업 다각화를 위해 부서 명칭을 ‘경기학센터’로 변경하고자 추진 중입니다. 조사‧연구(Research) 이외에 도민대상의 다양한 활용과 시‧군 연계 네트워크, 지역학연구 지원 등으로 사업범위를 넓히기 위한 포석입니다. 센터의 기조가 ‘경기학 진흥(Promotion)’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문화권 중심의 대지역연구와 함께 시‧군 생활권 단위의 소지역연구에 대한 연계‧협력도 더욱 강화합니다.


이지훈 경기학연구센터장은 “지역색이 옅고, 지방으로서의 관점이 부족한 경기도가 많은 인구와 자원을 바탕으로 미래발전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경기도만의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의식이 필요하다”면서, “①개방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지역학, ②공동체 회복을 위한 주민 참여형 지역학, ③지역의 활성화와 재생을 위한 실천적 지역학을 지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