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개관 12주년 기념특별전《경기옛길, 상심낙사의 길을 걷다》

2021-10-23 ~ 2022-02-27 /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관장 정성희)은 개관 12주년을 맞아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옛길센터와 함께 특별전 《경기옛길, 상심낙사의 길을 걷다》를 내년 2월 말까지 연다.



도로고


경기옛길은 “사람들이 모여 살며 지역의 개성과 장소성을 만들어 내는 공간이며, 옛 선인들의 정신을 포 함하고 있는 길의 원형으로 도민들에게 역사·문화·자연자원을 연계 활용하여 조성된 길”이다. 경기문화재 단은 2013년부터 실학자 여암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의 [도로고(道路考)]에서 말한 6대로(六大路)를 기초로 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거쳐 역사문화탐방로로 조성해 왔다.


이번 전시는 [도로고]를 중심으로 옛길의 의미를 살펴보고, 옛 그림과 사진, 그리고 영상으로 옛길을 따 라가며 아름답게 펼쳐진 풍광을 느낄 수 있는 마음으로 감상하는 즐거운 전시가 될 것이다.


집은 개인의 것이나, 길을 함께 하는 것 실학자들은 “길”, 특히 “도로”의 중요성을 얘기해 왔다. 그 가운데 길을 가장 체계적으로 연구한 실학자 는 신경준이다. 그는 국가를 다스리는데 있어 치도(治道), 즉 도로의 개선과 정비가 중요한 과제라고 인 식하였다. 사회·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도로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며, 도로가 뚫리지 않으면 지역 간 교 류는 불가능해진다. 전시 1부는 6대로의 의미와 노정을 살펴보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도로는 교통망이자, 인적 교류망이다.


6대로는 당시 서울을 중심으로 각 방면의 극단 지역을 방사상으로 연결하여 국토를 포괄하는 도로교통 망이었다. 전국의 도로망을 제시한 신경준은 궁극적으로 도로망을 통해 지역 통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신경준은 책의 서문에서 “집은 개인의 것이나, 길은 함께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집은 아끼지만, 길에는 소홀하다. 길은 주인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길은 국가가 주관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처럼 예나 지금이나 길은 공공재이다. 신경준은 농부가 원하는 만큼 땅을 갈게 하고 길을 가는 자가 원하는 만큼 길을 가게 하는 것이 인정(人政)이라 생각했다.


한임강유랑도권 세부


전시 2부는 상심낙사(賞心樂事)의 길로 구성했다. 다산 정약용의 《여성화시첩(與聖華詩帖)》과 정수영이 그린 《한임강명승도권(漢臨江名勝圖卷)》을 중심으로 경기 옛길의 아름다운 풍광을 감상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실학박물관이 위치한 남양주 조안면 능내리는 6개의 경기옛길 가운데 남양주 삼패에서 두물머리와 양평 을 지나 강원도 원주와 경상북도 평해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이 길은 실학자 담헌 홍대용과 정약용이 육 로와 배를 이용해 다니던 상심낙사의 아름다운 길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상심낙사의 길을 보다

상심낙사는 ‘마음으로 감상하는 즐거운 일’이란 뜻으로 소동파가 ‘마음으로 감상하는 16가지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의 「상심십육사(賞心十六事)」에서 비롯되었다. 다산 정약용은 삼심낙사의 운치를 가진 곳으로 자신의 고향집이 있는 초천과 서종을 꼽았다. “유산의 내 옛 집은 비록 재물은 넉넉지 않으나 천연으로 이루어진 산수의 운치만큼은 마음으로 감상하고 즐길만한 곳”이라 여겼다. 다산은 “서울은 물가도 비싸고 살면 살수록 빚에 쪼들리지만, 서종이란 곳은 초목이 무성하여 겨울에도 추울 일이 없다.”고 했다.


실학박물관 정성희 관장은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양수리는 정약용과 서유구의 자취를 전하는 곳이며, 평해길이 거쳐 가는 평구 일대는 대동법을 실행한 김육이 잠들어 있는 곳이니, 이 가을 박물관에서 코로나19로 지친 마음을 달래는 ‘상심낙사’의 시간을 가지시길 바란다.”고 하였다.


실학박물관 개관 12주년 기념특별전 《경기옛길, 상심낙사의 길을 걷다》

기 간 2021년 10월 23(토) ~ 2022년 2월 27(일), 109일 간

장 소 실학박물관 기획전시실(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 747번길 16)

내 용 경기옛길 평해길을 주제로 선인들의 그림과 현재의 길에서 만나는 풍경 사진과 영상 전시

관 람 오전 10시~오후 6시, 인터넷 사전 예약, 무료관람, 매주 월요일, 설날 당일 휴관

문 의 www.silhak.ggcf.kr / 579-6000~1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