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프로젝트 2022: 옥상정원》

2022-06-29 ~ 2023-06-29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3층 옥상정원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MMCA 과천프로젝트 2022: 옥상정원》을 2022년 6월 29일부터 2023년 6월 25일까지 개최한다.


MMCA 과천프로젝트(MMCA Gwacheon Project)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지난해부터 과천관 특화 및 야외공간 활성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중장기 공간재생 프로젝트다. 2026년 과천관 개관 40주년을 앞두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고 미술관을 재생하여, 예술적 경험의 무대를 곳곳에 펼쳐나가고 있다.


지난해 과천관 3곳의 순환버스 정류장에 조성된 ‘예술버스쉼터’에 이어, 올해는 공간재생 두 번째 프로젝트로 최고층인 3층의‘옥상정원’을 새로운 감각의 공간으로 제시한다. 과천관의 숨겨진 명소인 3층 옥상정원에서는 2층에 조성된 원형정원이 한눈에 내려다보이고, 탁 트인 외곽의 청계산, 저수지 등 주위 수려한 자연풍광이 펼쳐진다. 또한 원형정원, 동그라미 쉼터 등 과천관 내·외부 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관람객에게 전시를 보는 중간에 색다른 쉼과 산책, 사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MMCA 과천프로젝트 2022: 옥상정원》에 선정된 조호건축(이정훈)의 <시간의 정원 Garden in Time>은 열린 캐노피(canopy·덮개) 구조의 지름 39m, 대형 설치작이다. 옥상에 들어선 순간 관람객은 거대한 구조물을 따라 360도를 돌면서 작품을 만나게 된다. 일정 간격으로 늘어선 파이프의 배열은 자연과 어우러진 야외 공간에 리듬감을 더하고, 점점 높아지는 구조물의 공간감을 따라, 관람객을 가장 아름다운 풍광이 펼쳐지는 곳으로 이끈다. 이곳까지 걸어가는 과정에서 관람객은 다양한 조각적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 계절과 날씨에 따라 작품에 투영되는 빛과 그림자의 변화는 ‘자연의 순환’, ‘순간의 연속성’, ‘시간의 흐름’을 시각화하며, 자연의 감각과 예술이 공명하는 시공간을 펼쳐낸다. 작가는 이 공간에서 관람객에게 과천관을 둘러싸고 있는 드넓은 산과 물, 자연을 눈으로 감상하는 것에서 나아가, 빛, 그림자, 바람 등 공감각적 경험을 통해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제시한다. <시간의 정원>을 통해 새롭게 재편된 옥상정원은 관람객이 전시 작품을 감상한 후 여운을 누리는 쉼의 장소이자, 미술관 관람 경험의 가치를 높이는 장소로 기능할 것이다.



설치작 외 후보에 올랐던 4팀(김이홍, 박수정 & 심희준, 박희찬, 이석우 *가나다순)이 해석한 옥상정원 제안작도 프로젝트 기간 중 옥상정원 입구에 마련된 아카이브 영상을 통해 공개되며,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채널에서도 만날 수 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그간 관람객의 발길이 닿기 어려웠던 옥상 공간의 장소적 특수성을 살려서, 새로운 경험적 공간으로 재생하는데 가치가 있다”며, “관람객이 전시의 여운을 누리면서‘자연 속 미술관’을 예술적으로 향유하는 새로운 쉼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호건축, <시간의 정원>, 렌더링 이미지, 2022 ⓒ조호건축(이정훈)


시간의 정원 / Garden in Time 핸드레일이 성장하면 어떤 형체를 지닐까? 현장에 처음 방문했을 때 옥상에 설치된 핸드레일이 유독 인상적이었다. 90cm 높이의 건축 파라펫 위에 30cm가량 스테인리스 핸드레일이 덧붙여져 있었는데 아마 법규의 변화에 따라 핸드레일을 증축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를 덧붙이기 위해 석재 패턴에 맞춰 1m 간격으로 핸드레일이 배열되었고, 이는 일정한 리듬으로 옥상의 이색적인 풍경을 만들었다. 만약 시간성을 두고 덧붙여진 핸드레일이 더 자라나서 이 공간이 입체적으로 성장한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드러나게 될까? 이는 현장의 물성에서 찾은 물음이었고 이 프로젝트의 시작점이었다.(…) 풍광 장치란 의도되지 않은 공간에 기획된 시퀀스와 심상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안하고자 하는 풍광 장치는 크게 외경과 내경의 원으로 구성된다. 외경의 원은 옥상에서 내려다보이는 미술관 지붕면을 최대한 가리고 전면의 청계산과 관악산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라인이다. 외경은 닫힌 구조로 시작하여 전면에 펼쳐진 조망점에서 극적으로 열린다. 또한 하부를 지탱하는 구조 부재 없이 캔틸레버 그 자체의 긴장감으로 전면 풍광을 비장하게 드러낸다. 내경의 원은 외경의 원과는 반대 방향으로 열린다. 진입 축에서 하부의 원형정원을 바라보게끔 계획되었고 동선의 전개와 더불어 닫힌 구조로 바뀐다. 즉 외경과 내경의 열림과 닫힘 구조가 반대로 전개되는 것이다.(…) 만약 시간에 물성이 있다면 그것은 어떤 형태로 드러날 것인가? 이곳에서 시간은 공간을 가로지르며 새로운 형체로 자신을 드러낸다. 시간은 빛에 의한 그림자로, 그것들 총합의 입체로 자신을 증명해 낸다. 자연의 무한한 변화 속에 시간은 빛과 그림자의 연속으로써 이곳 정원에 자신을 펼쳐낸다. 그것은 이곳을 마주한 사람의 기억 속에서나, 시간의 풍광과 마주친 관념 속에서 공간의 찰나가 지닌 시간성을 보여준다. 이곳은 공간의 한편에 존재하는 시간이 아닌 순간의 연속으로서 시간의 존재를 오롯이 보여주는 장소이다. -조호건축(JOHO Architecture), 이정훈 작가노트 중-


세부정보

  • 《MMCA 과천프로젝트 2022: 옥상정원》

    전시기간/ 2022년 6월 29일(수) ~ 2023년 6월 25일(일) *이후 장기 설치예정

    전시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3층 옥상정원

    / 옥상정원 오시는 길: 로비 정면 중앙 램프코어(나선형길)를 따라 3층에서 반바퀴 더 돌아 우측 진입 또는 중앙 현관 엘리베이터 이용 3층 도착, 램프코어 오른쪽 반바퀴 더 돌아 진입 *램프코어 종착지에 옥상정원 입구 있음

    출품작/ 설치작품 1점

    주최 / 국립현대미술관

    문의 / mmca.gc.kr

    작가소개 / 조호건축 JOHO Architecture (이정훈)

    / 2009년 2월 설립된 조호건축(JOHO Architecture)은 건축가 이정훈의 새로운 브랜드명으로 한문으로 造好(지을 조, 좋아할 호)의 의미를 가진다. 건축을 인문학적 기반 위에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의 새로운 정체성과 담론을 생성해 내는 것을 이념으로 설립되었다. 또한, 분업화된 시스템 속에서의 개별적 건축가가 아닌 건축 산업을 리드하는 종합적인(total) 디자인을 추구한다. 조호건축은 재료(material)를 일종의 기하 측정(geo_metry)의 단위로 설정하고 이들의 군집과 가감을 통하여 디자인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재료 측정(material_metry)은 재료가 지닌 의미를 대지의 맥락(context)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건축 공간을 인문학적 토대 위에 재구축함을 목표로 한다. 조호건축의 대표 건축가 이정훈은 건축과 철학을 공부하고 프랑스 낭시건축대학교, 파리라빌레트건축대학교에서 건축재료학 석사 학위 및 프랑스건축사를 취득하였다. 이후 세계적인 건축 사무소인 시게루반(Shigeru Ban), 자하하디드(Zaha Hadid) 사무소에서 근무하였고, 2009년 서울에 조호건축을 개소하였다. 2010년 젊은건축가상, 2013년 미국 건축잡지 『아키텍쳐럴 레코드』에서 선정하는 디자인 뱅가드(세계 건축을 이끌 차세대 10인의 건축가상), 독일 프리츠 회거 건축상, 미국 시카고 아테나움 건축상, 독일 ICONIC 건축상, 한국건축가협회상, 한국건축문화대상, 김종성 건축상, 문화체육관광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등 다수의 국내외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서울시 공공건축가, 충청남도 수석공공건축가로 활동한 바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헤르마 주차빌딩(2010), 곡선이 있는 집(2012), 플랫폼 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2016), 클럽나인브릿지 파고라(2017), 선유재(2019), 울산 KTX 주차빌딩(2019) 등이 있다.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