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조각 속에 숨, 쉼 그리고 즐거움을 담다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 2020》 최종 당선작 발표

조각 속에 숨, 쉼 그리고 즐거움을 담다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 2020》 최종 당선작 발표


◇ 국내 유수의 건축가가 선보이는 ‘숨, 쉼, 즐거움’ 주제 설치 프로젝트

◇ 〈과.천.표.면 The Surface〉를 제안한 ‘stpmj(이승택, 임미정)’ 선정

  - 야외조각장 내 경사진 잔디밭에 물과 숲을 연상시키는 새로운 표면 형성

  - 2020년 9월 말부터 2021년 5월 말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야외조각장

자세한 내용은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 2020》의 최종 당선작과 작가를 발표했습니다.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MMCA Gwacheon Project)는 국립현대미술관이 2020년 본격화하는 과천관 특화 및 야외공간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된 공모 프로그램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과 덕수궁에서 진행했던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oung Architects Program)’과‘덕수궁 야외프로젝트(Deoksugung Outdoor Project)’가 도심 속에서 펼쳐진 야외 설치였다면,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는 과천만의 장소 특정적 상황을 반영, 자연과 관객이 교감하는 예술적 경험을 추구합니다.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주요 목표인 ‘가족 중심의 전 세대 공감 미술 공간’의 방향 아래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쉼터와 같은 작품을 야외에서 선보이고자 합니다. 특히 세계적 대유행으로 자리한 코로나19의 확산 속에서 “야외”라는 개방된 공간에 대한 장소적·조건적 상황을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미술관을 찾는 관객들에게 “숨, 쉼”의 환경을 제안합니다. 이에 ‘숨, 쉼, 즐거움’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과천관 야외조각장 내 잔디밭을 관객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킵니다.


올해는 건축가 stpmj(이승택, 임미정)팀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국내 건축 관련 학계, 평단, 언론계 등을 통해 15팀의 건축가를 추천받았습니다(중복 포함). 이중 1차 심사를 거쳐 2차 후보군 4팀(붙임3)을 선정하고, 프레젠테이션을 거쳐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 2020》의 최종 당선 작가 stpmj(이승택, 임미정)를 선정했습니다.


stpmj(이승택, 임미정)는 과천관 야외조각장 내 산책로에 둘러싸인 잔디밭 경사지에 새로운 지형 표면을 생성하는 아이디어를 <과.천.표.면 The Surface> 라는 작품을 통해 제안합니다. 나무, 연잎, 우산 등을 연상시키는 개별단위의 구조체 700여 개가 수평선을 이루며 펼쳐지고 군집합니다. 관객들은 그 안으로 들어가 시각·촉각·청각적 상호반응을 경험하며, 주어진 환경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끌어냅니다. 작품은 작업의 효율성과 친환경 문제들을 고민하고 이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stpmj(이승택, 임미정)의 <과.천.표.면 The Surface>는 오는 2020년 9월 말부터 2021년 5월 말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야외조각장 내 전시됩니다. 한편, 실내에서는 2차 후보군에 오른 4팀의 제안들을 만나는 아카이빙 공간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야외공간이 갖는 장소적인 차별성에 주목하며 작품 자체뿐 아니라 환경을 조성하고 관객에게 휴식과 즐거움을 동시에 경험하게 하는 쉼터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코로나19의 장기화 속에 국민들이 숨, 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최종 당선팀 《 stpmj(이승택, 임미정) 》 소개


stpmj는 서울과 뉴욕에 위치한 아이디어 기반의 건축가 그룹입니다. ‘Provocative Realism’이라는 비전 아래 일상에서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를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여 주거, 문화, 상업, 교육 및 연구시설 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공공예술, 전시, 설치작업을 통하여 건축의 경계를 탄력적으로 넓히는 실험도 해오고 있습니다. 2012년에 뉴욕 건축가 연맹에서 수여하는 젊은 건축가상, 2016년에 뉴욕건축사협회에서 수여하는 신진건축가상,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수여하는 젊은 건축가상, 김수근 프리뷰상, 2017년에 아키텍츄럴 레코드 디자인 뱅가드, 2019년에 한국 건축 문화대상 우수상, 2020년에 미국건축사협회 뉴욕 디자인 어워드 건축부문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 tpmj(이승택, 임미정), <과.천.표..면 The Surface>, 렌더링 이미지, 2020 ⓒ stpmj



▲ stpmj(이승택, 임미정), <과.천.표.면 The Surface>, 렌더링 이미지, 2020 ⓒ stpmj


stpmj의 공동대표인 이승택은 고려대학교에서 건축공학사와 석사, 그리고 하버드 대학에서 건축학 석사를 취득하였고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에서 Architectural Department Faculty Design 상을 수상했습니다. 뉴욕 nArchitects와 LEVENBETTS, 스위스 바젤의 Herzog & de Meuron에서 건축 실무를 수련하였으며 현재 국민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공동대표인 임미정은 연세대학교에서 주거환경학을 전공하고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에서 건축학사와 하버드 대학에서 건축학 석사를 취득했습니다. 한국과 미국 건축사이며 뉴욕의 Andrew Berman Architect에서 건축 실무를 수련했습니다. 현재 홍익대학교 도시건축대학 조교수,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stpmj(이승택, 임미정), <과.천.표.면 The Surface>, 모델 이미지, 2020 ⓒ stpmj

세부정보

  • 《MMCA 과천야외프로젝트 2020 – 과.천.표.면 The Surface》

    전시기간/ 2020년 9월 말 ~ 2021년 5월 말(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전시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야외조각장

    출품작/ 대규모 설치작품 1점

    주최/ 국립현대미술관

    문의/ 02-2188-6000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