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2018-10-18 ~ 2019-02-17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에 대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www.mmca.go.kr)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국립현대미술관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개최


국립현대미술관은 사진전시재단(Foundation for the Exhibition of Photography, 대표 토드 브랜다우)과 공동 주최로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을 2018년 10월 18일(목)부터 2019년 2월 17일(일)까지 MMCA 과천에서 개최합니다.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은 사진을 통해 동시대 문명의 다양한 모습을 조명하는 전시로 아시아, 호주, 유럽, 아프리카, 북남미 등 32개국 135명의 작가들이 300여점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칸디다 회퍼, 토마스 스트루트, 올리보 바르비에리, 에드워드 버틴스키, 왕칭송 등 이미 국내에도 익히 알려진 해외 작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국내작가 KDK(김도균), 김태동, 노상익, 노순택, 정연두, 조춘만, 최원준, 한성필의 작품도 함께 소개됩니다. 이번 전시는 1955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개최된 에드워드 스타이컨의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 이후로는 거의 최초로 동시대 문명의 모습을 포괄적으로 조망하는 세계적 규모의 사진전이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중국 베이징 울렌스 현대미술센터(2019년 3월), 호주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미술관(2020년 9월), 프랑스 마르세이유 국립문명박물관(2021년 1월) 등 10여개 미술관에서 순회전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제프리 밀스테인, <뉴어크 8 터미널B, 뉴저지 뉴어크>, 2016 ⓒ Jeffrey Milstein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은 1990년대 초부터 25년간 형성되어 온 지구의 문명을 조망합니다. 특히 개인성을 강조하는 우리 시대에 가려진 ‘집단적인’행동과 성취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번 전시는 개인주의나 개별문화를 부정하기보다 다수의 사람이 집단으로 공유하는 것들에 주목합니다. 전 세계 다양한 도시의 작가들은 ‘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즉 우리가 어디에서 어떻게 사는지, 어떻게 일하고 노는지, 우리의 몸과 물건과 생각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협력하고 경쟁하는지, 어떻게 사랑하고 전쟁을 일으키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해석합니다. 은행, 정부기관, 교도소, 학교를 포함한 온갖 형태의 일터에서 사진가들이 작업 중이며, 그들 각자는 우리 문명의 다채로운 모습을 각자의 시각으로 담아냅니다.


전시는 작가들이 포착해낸 문명의 다양한 측면을 담은 8개의 섹션 ‘벌집(Hive)’, ‘따로 또 같이(Alone Together)’, ‘흐름(Flow)’, ‘설득(Persuasion)’, ‘통제(Control)’, ‘파열(Rupture)’, ‘탈출(Escape)’, ‘다음(Next)’으로 구성됩니다.



파블로 로페스 루스, <공중에서 본 멕시코시티ⅩⅢ>, 2006ⓒPablo Lopez Luz


첫 번째 섹션인 ‘벌집(Hive)’은 우리가 발전시키고 확장해가는 도시유기체를 담고 있습니다. 사진을 가득채운 사람들이 곤충 떼처럼 거대한 군집을 이루는 시릴 포체의 <무제>와 인간 벌집의 핵심적 장소이자 인간의 집단적 노력을 모아놓은 도서관을 작품으로 담은 칸디다 회퍼의 <장크트 플로리안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 Ⅲ 2014> 등이 있습니다.


두 번째 ‘따로 또 같이(Alone Together)’는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맺는 관계를 살펴봅니다. 동시대 가족의 모습을 담은 도나 슈워츠의 두 연작 <장래의 부모들>과 <빈 둥지의 부모들>, 그리고 모두 똑같이 생긴 가구의 거실에서 31장의 가족사진을 찍은 정연두의 <상록 타워> 등이 있습니다.



나탄 드비르, <데시구알>, 2013ⓒNatan Dvir


세 번째 ‘흐름(Flow)’에서는 자본, 석유, 컨베이어 벨트, 도로 위 자동차 등 문명이 만들어 낸 움직임을 따라가 봅니다. 중국의 대규모 닭 공장에서 기계의 톱니바퀴처럼 일하는 노동자들을 촬영한 에드워드 버틴스키의 <제조 17번, 더후이시 데다 닭 처리 공장, 중국 지린성>과 고속 성장하는 거대 도시의 희망찬 미래를 가리키는 초고층 콘크리트 타워를 작품으로 담아낸 올리보 바르비에리의 <특정 장소_멕시코 시티 11>등이 있습니다.


네 번째‘설득(Persuasion)’은 광고, 프로파간다, 마케팅 등 문명이 만들어낸 설득의 방식을 들여다봅니다. 건설 현장이나 보기 흉한 건물 개축 현장을 숨기기 위해 그려진 가림막의 그림에 주목한 한성필의 <듀플리케이션>과 광고회사, 법률회사, 브랜딩 컨설팅 회사의 사무실 등을 수년 동안 촬영해온 안드레아 알베스 드 올리베이라의 <운송 금융 은행의 휴게실> 등이 있습니다.



로런 그린필드,<사진가의 다큐멘터리'뷰티컬처(Beauty CULTure)'중 양면 거울 앞에서 화장을 하는 고등학교 졸업반 학생들>,2011 ⓒ Lauren Greenfield


다섯 번째 섹션은 ‘통제(Control)’로 권력기관이 여러 가지 형태로 자신들의 권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담아냅니다. 군사 기밀 시설인 더그웨이 성능 시험장을 촬영한 데이비드 메이셀의 <키디모스: 전쟁의 소란>과 가동 중인 냉각탑 내부를 통해 통제의 시설을 보여주는 레히날트 판 더 펠더의 <가동 중인 냉각탑 내부. 주변으로 열기를 내보내는 동안 수많은 물방울이 떨어진다. 벨기에.> 등이 있습니다.


여섯 번째 섹션 ‘파열(Rupture)’에서는 사회의 붕괴와 충돌을 다룹니다. 멕시코-미국 국경을 작품으로 담아낸 파블로 로페스 루스의 ‘국경’연작과 산처럼 쌓인 전자기기를 통해 소비주의가 만들어낸 문제를 보여주는 싱단원의 <단절 B12> 등이 있습니다.



왕칭송,<일, 일, 일해라>,2012 ⓒ Wang Qingsong


마지막 섹션인 ‘다음(Next)’에서는 21세기에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세상을 엿본다.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로버트 자오 런후이의 ‘세계 동식물 안내서’연작과 500미터 구경의 망원경을 찍은 미하엘 나야르의 <빠.르.게> 등이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동시대 문명을 보여주는 자리이자 세계적인 사진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보여주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 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http://www.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부정보

  •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전시기간/ 2018. 10. 18. ~ 2019. 2. 17.

    전시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 원형전시실

    부 문/ 사진, 영상 등

    전시작품/자료/ 사진, 영상 등 300여점

    관 람 료/ 2,000원

    주 최/ 국립현대미술관, FEP(미니애폴리스·뉴욕·파리·로잔 사진전시재단/Foundation for the Exhibition of Photography)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