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 이건희컬렉션 한국근현대미술 특별전 《사계》 개최

2023-06-08 ~ 2023-08-20 / 국내 공사립미술관의 소장품으로 구성된 대규모 한국 근현대미술전

▶경기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의 이건희컬렉션과 국내 공사립미술관의 소장품으로 구성된 대규모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 《사계》 개최

▶ 권진규, 김환기, 나혜석, 박수근, 이중섭, 이인성, 장욱진 등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대표 작가 41명의 주요 작품 90점으로 구성

▶ 경기도미술관 누리집에서 이건희컬렉션 한국근현대미술 특별전 《사계》 사전 예약

▶ 문화취약계층을 위한 전시 관람용 안내서 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6-7월 문화가 있는 날, 《사계》 큐레이터 전시 투어 진행


□ 경기도미술관(관장 안미희)은 이건희컬렉션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 《사계》를 8월 20일까지 개최한다. 경기도미술관은 2022년 국립현대미술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건희컬렉션을 중심으로 한 전시를 추진하였다. 이어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이건희컬렉션 근현대미술작품 46점과 경기도미술관과 공사립미술기관 11곳의 소장품을 한데 모아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을 마련하였다. 전시에는 우리에게 익숙하게 알려진 권진규, 김환기, 나혜석, 박수근, 박래현, 이중섭, 이인성, 장욱진, 천경자 등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대표작가 41명의 작품 90점이 선보인다.

박수근, 절구질하는 여인, 1957, 캔버스에 유채, 130×97cm,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박수근연구소

□ 《사계》에 출품된 작품들은 김종태(1906∼1935)의 〈사내아이〉(1929)에서부터 방혜자(1937∼2022) 〈우주의 춤〉(2010)에 이르기까지 거의 한세기를 아우르는 한국 근현대기 전반에 걸쳐 제작된 것들이다. 일제강점기, 전쟁과 분단,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낸 예술가들이 시대와 교감하며 남긴 작품들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미술이 어떻게 추동되어왔는지 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굴곡진 역사와 화단의 변화 속에서 작가들은 치열한 나날을 보내며 각자의 시대적, 예술적 계절 속에서 궁극의 예술적 경지를 추구해 나갔다. 전시 제목 ‘사계’는 변화와 시간의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도 클래식 음악의 고전이 된 비발디의 「사계」도 연상할 수 있어 우리 미술의 자양분이 된 이 시기 작품들의 위상을 가늠해보게 한다.


천경자, 누가 울어2, 1989, 종이에 채색, 79×99cm,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서울특별시

□ 특히 여성 작가의 작품을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하여 어려운 현실에도 각자의 예술세계를 이룩해 낸 이들의 작품세계를 조명하고자 했다. 국내 최초 여성 서양화가 나혜석(1896∼1948)의 <자화상>(1928년 추정, 수원시립미술관 소장), 천경자(1924∼2015)의 <누가 울어 2>(1989,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1세대 조각가인 김정숙(1917∼1991)의 <키스>(1956,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비상>(1985,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래현(1920-1976), <건어>(1950년대,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작품11>(1965, 리움미술관 소장) 등을 통해 여성으로서, 예술가로서 고군분투했던 이들의 여정을 관객이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인성, 여인의 초상, 1940년대 초반, 캔버스에 유채, 27×2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이번 전시는 누구나 편안하고 즐겁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전시 도슨트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전시 콘텐츠를 제공한다. 전시 관람을 위해 현장을 찾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서와 발달장애인·유아·어르신 등 정보 약자를 위한 쉬운 전시 해설서가 전시장 입구에서 제공되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큐레이터에게 전시기획 및 작품에 대한 해설을 듣는 큐레이터 전시 투어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문화가 있는 날인 6월 28일, 7월 26일 오후 3시에 진행되며, 진행일 2주 전부터 온라인을 통해 사전 예약할 수 있다.

□ 관람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프로그램과 함께 다문화 어린이, 어르신, 유아, 장애인을 위한 특별 교육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대상별로 각기 다른 주제를 통해 작품 감상과 이해를 돕는 체험 활동을 포함한다. 특별 교육프로그램 운영은 7월 11일부터 8월 20일까지이며,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전시 관람료는 무료이며 관람을 원하면 경기도미술관 누리집(gmoma.ggcf.kr)에서 사전 예약을 한 후 해당 날짜에 방문하면 된다. 개인 관람은 한 번에 1인 2매까지 예약이 가능하며 평일 주중에는 단체관람도 가능하다. 현장 발권은 매회 차 잔여분과, 오후 5시부터 시작되는 마지막 회차에 한 해 예약 없이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입장이 가능하다.


관련 프로그램 소개

1) 개막공연 : 〈사계의 집: 봄, 여름, 가을, 겨울, 봄〉 하우스 시리즈 콜렉티브

일 시 : 2023년 6월 8일 오후 4시 30분 장 소 : 경기도미술관 전시실 및 로비 등 내 용 : 모든 시간의 계절을 담은 ‘사계의 집’은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탁월한 문학인이었던 나혜석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7인의 연주자 및 퍼포머들이 소리와 몸짓으로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낸 참여작가들의 작품과 교감하는 내용 공연자 : 송미경(피리, 미디어아티스트), 김성완(색소폰), 김영민(기타), 송희라(피아노), 성유진(가야금), 솔돈나(플라멩코), 이주호(뮤지컬,연극), 박영균(기록)


2)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

※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진행됩니다. ◦ 교육문의 : 031-481-7039/7032, edugmoma@gmail.com

3) 문화가 있는 날 큐레이터 투어 안내

일시: 6월 28일(수), 7월 26일(수), 15:00~16:00 장소: 경기도미술관 2층 전시실 대상 :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인원: 회당 20명 예약방법 : 누리집을 통한 사전 예약(https://gmoma.ggcf.kr/) ※ 프로그램 진행일 2주 전부터 예약 가능 문의 : 031-481-7032, edugmoma@gmail.com

4) 전시해설 프로그램

기간: 전시기간 중 (화-토 2회, 일 4회) 장소 : 경기도미술관 전시실 정각 대상: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인원 : 회당 15명 내외 문의: 031-481-7005/7007 ※ 미술관 사정에 따라 일정이 변동될 수 있으니, 누리집의 관람 안내 참고

세부정보

  • <사계> 전시관람 안내

    관람시간/ 10:00~18:00 월 휴관

    관람료/ 무료

    관람방법/ 경기도미술관 누리집에서 사전예약(gmoma.ggcf.kr)

    현장발권/ 사전 관람 예약 취소분과 마지막 회차인 오후 5시부터 선착순 입장

    관람문의/ gmoma.ggcf.kr, 031-481-7000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