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영은미술관

단서들 Pointers

2023-10-21 ~ 2023-11-19 / -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12기 김영주 개인전 -

김영주_지점들 Vertices_리넨에 아크릴채색, 목재구조_97×220×15cm_2023



영은미술관은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영은창작스튜디오 12기 입주작가 김영주의 '단서들 Pointers'展을 오는 10월 21일부터 11월 19일까지 개최한다. ● 많은 예술들이 하나의 내러티브와 주체가 가진 특별한 서사를 중심으로 창작되고, 개인과 사회, 혹은 어떤 현상이나 이야기, 그리고 질문을 건넨다. 관람객은 이에 대하여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끌어와 사유한다. ● 그러나 김영주의 작업은 자신의 감정이나 내면의 서사성이 주는 감각과는 방향이 다르다. 작가는 온전히 물성이 가진 본질 자체에 관심을 가진다. 비어 있는 캔버스는 무엇이든 담길 수 있다는 가능성과 그것이 주는 기분 좋은 긴장감에 주목한다. 오랫동안 그림을 그려온 김영주 작가는 어느 날 불현듯 재료 안에 작업이 갇히는 듯한 느낌을 받고 '창작'이라는 행위와 '재현'이라는 매개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캔버스 위에 붓질을 더할수록 서사는 중첩되고, 그러다 각각의 이야기는 길을 잃기 마련이다.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에 대한 의미를 놓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작가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 비어 있는 캔버스를 고요히 바라보곤 했는데 이때 비로소 미美를 느끼기 시작했다.


김영주_지점들 Vertices_리넨에 아크릴채색, 목재구조_112×137×13cm_2023


김영주_지점들 Vertices_리넨에 아크릴채색, 목재구조_178×160×17cm_2023


김영주_단서들 Pointers_리넨에 아크릴채색, 목재구조

_119×250×14cm, 202×88×12cm_2023



김영주 작가는 잠재성으로 가득한 화면을 바라볼 때 의식이 새로이 환기되며 자신만의 영감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는 이제 자연스럽게 캔버스가 걸린 공간을 바라보게 되었다. 시각예술과 공간은 필연적으로 맞닿아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건축적 사고와 구조에 천착하며 이 또한 '그리는 행위'라고 표현한다. ● 작가는 사각 캔버스의 형태를 마치 건축물과 같이 구조적으로 재배치하고 각각의 조각에 서사성이 아닌 위치값을 배정한다. 그리고 관람객에게 기존의 완벽한 사각형의 형태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이 움직이는 과정을 구성하게 한다. 이것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촘촘하고도 은근한 유희이며 수렴적 사고의 일환이다. 조각들은 위치값을 배정받은 동시에 각각의 방향성과 운동성을 가지며 보는 이로 하여금 논리적이면서도 예술적인 사고로 유도한다.


김영주_단서들 Pointers展_영은미술관_2023


김영주_단서들 Pointers展_영은미술관_2023


김영주_단서들 Pointers展_영은미술관_2023


김영주_단서들 Pointers展_영은미술관_2023


"서사보다 우선적으로 존재하는 회화의 보편적 물질들을 재료로 삼고, 평면의 화면을 구조화시키며 재현의 영역 밖에서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들을 실험해 왔다. 나의 회화는 이미지의 서사가 아닌 물리적 위치값과 동시에 그것이 변화한 궤적을 내포한 잠재적 상태로 존재한다. 암시하고 있는 어떤 방향성의 단서로써 보는 이의 의식을 작동하게끔 하는 것. 지금 보고 있는 것과 그것으로 하여금 상기되는 또 다른 이미지를 매개하는 잠정적인 상태. 그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새로운 회화적 언어를 찾고 있다." - 작가노트 중

● 관람객은 김영주 작가의 작업에서 어떤 요소를 해석해내려고 노력하거나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복잡한 내러티브를 읽어내지 않아도 된다. 단지 구축해나가는 즐거움, 순수하게 추론하고 풀어나가는 것에서 느껴지는 의식의 순환적 사고를 느껴보자. 그의 작업을 통해 잠재의식을 깨우고, 공간적 사고와 탐구에 대한 경험을 확장 시켜 보기를 바란다. ■ 영은미술관


2023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개인展(12기)


영상출처 : 영은미술관 공식 유튜브 채널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청석로 300 (쌍령동 8-1번지) 제 2전시장

관람시간 : 10:30am~06:00pm / 입장마감_05:30pm / 월,화요일 휴관

후원 : 경기도_경기도 광주시

주최,주관 : 영은미술관

문의 : +82.(0)31.761.0137, www.youngeunmuseum.org

글쓴이
영은미술관
자기소개
재단법인 대유문화재단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림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크게 미술관과 창작스튜디오로 구분되어 이 두 기능이 상호분리되고 또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미술관은 한국예술문화의 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유문화재단의 설립(1992년)과 함께 200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영은미술관은 동시대 현대미술 작품을 연구, 소장, 전시하는 현대미술관 (Museum of Contemporary Art)이며 또한 국내 초유의 창작스튜디오를 겸비한 복합문화시설로, 미술품의 보존과 전시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미술관 형태를 과감히 변화시켜 미술관 자체가 살아있는 창작의 현장이면서 작가와 작가, 작가와 평론가와 기획자, 대중이 살아있는 미술(Living Art)과 함께 만나는 장을 지향목표로 삼고 있다. 종합미술문화단지의 성격을 지향하는 영은미술관은 조형예술, 공연예술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예술을 수용하고 창작, 연구, 전시, 교육 서비스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여 참여계층을 개방하고 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문화촉매공간이 되기를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