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영은미술관

생의 한가운데 In the Middle of Life 심현희展 / SHIMHYUNHYEE / 沈賢希 / painting

2024-08-10 ~ 2024-09-22 / 심현희 개인전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_생각의 숲_캔버스천에 아크릴채색_174×460cm_2024



때로는 예술이라는 장르 안에서 논리 정연하게 설명되는 해석보다 말로 형용(形容)되지 않는 감각으로 느끼는 것이 작품을 깊게 이해하게 만든다. 심현희 작가는 에너지(Energy)가 느껴지는 붓터치와 함께 캔버스천 위에 휘몰아치는 감정을 담는다. 사실적 묘사의 결과물이 아닌 풍경화는 작가의 예술혼을 전달하며 감상자에 따라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케 한다. 거기서 더 나아가 이들은 풍경의 일부가 되어 삶의 근본적 가치를 성찰하고 개개인의 존재를 고찰(考察)한다.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_에서_캔버스천에 아크릴채색_144×440cm_2024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_나에게로_캔버스천에 아크릴채색_174×460cm_2024



작품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표면에 두껍게 발린 마띠에르(matière)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굳어서 갈라진 틈(Crack)을 발견할 수 있다. 평면임에도 불구하고 틈 사이로 보여지는 물감층은 균열의 흔적을 발견하게 만듦으로써 붓들의 아우성을 표현하고, 각기 다른 시간이 겹겹이 누적된 레이어는 회화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제안한다. 또한, 작품을 따라 발길을 안쪽으로 옮겨보면, 음악소리가 어디선가 들려온다. 사운드는 오감을 자극하는 요소이자 작품과 공간 전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여, 예술이 가진 힘과 본질에 우리가 한걸음더 다가설 수 있도록 유도한다.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_따스함을 채워서_캔버스에 유채_130×97cm_2024


"삶의 모든 것은 들숨과 날숨의 과정이다. 이제 막 숨을 내쉬었다. 그다음은? 예술은 어떤 방식으로든 삶을 온전히 끌어안을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내가 할 일은 나답게 호흡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물감 덩어리들의 강렬함과 이미지의 고요함이 감상자의 내면을 잠시라도 훑고 지나갈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작가노트 중)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_평온하기를_캔버스에 유채_112×145cm_2024


Everything in life is a process of inhaling and exhaling. I have just exhaled. What comes the next? Art, in any form, will allow us to embrace life fully. My task is to breathe in my own way. I hope that in this exhibition, the intensity of the paint blobs and the tranquility of the images can momentarily touch the viewers' inner selves. (From the artist's note)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 In the Middle of Life展_영은미술관 제4전시장_2024



심현희_생의 한가운데 In the Middle of Life展_영은미술관 제4전시장_2024


삶은 표면적으로 다 다른 모양을 갖고 있으나, 뼈대 즉 근본은 모두가 같은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불행과 행복, 어두움과 빛, 죽음과 탄생처럼 이원적으로 표현하기에는 인생은 그리 명료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죽음은 삶의 반대편으로 밀려나는 것이 아니라 양면의 성질을 동반하며, 작가는 이들의 중간지점을 찾아 나서는 과정이야말로 인생의 진면목이라고 말한다. 에너지, 연기, 그리고 생동하는 기운이 느껴지는 풍경처럼 자연의 힘에서 시작된 숭고미는 혼란과 무질서로 감정을 유발하고, 개인의 실존과 존재에 대해 상기하게 만든다. 심현희 작가는 가로 폭만 9m에 달하는 대형 캔버스를 광목천 그대로 전시장에 걸었다. 본연의 형태와 질감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천은 벽에 기대 자체적인 힘으로 견디고 있으며, 중간중간 늘어진 부분까지도 물질성을 표현한다. 기존의 미학에 도전하여 이성의 재단을 피하려는 작가의 의도는 우연의 힘에 의지하여 화폭을 채우게 한다. 황혼(黃昏) 안에는 낮게 가라앉은 구름과 비정형의 나뭇가지가 엉겨 붙어 그들의 관계를 시각화하고, 주변엔 형체를 짐작하기 어려운 붉은 연기가 피어오른다. 늘어진 천에 담긴 정신적 풍경은 보는 이의 감정의 깊은 뿌리를 흔들면서 내면의 불안정성을 끄집어내고, 회화에 대한 다양한 길을 제안하면서 막을 내린다.





Vol.20240810c | 심현희展 / SHIMHYUNHYEE / 沈賢希 / painting

바로가기 영은미술관 누리집

세부정보

  • 2024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개인전(12기)

    주최주관/ 영은미술관

    후원/ 경기도, 경기도 광주시

    관람시간/ 10:30am~06:00pm / 입장마감_05:30pm / 월,화요일 휴관

    위치/ 경기도 광주시 청석로 300 (쌍력동 8-1번지) 제4전시장

    문의/ 영은미술관(+82.(0)31.761.0137

글쓴이
영은미술관
자기소개
재단법인 대유문화재단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림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크게 미술관과 창작스튜디오로 구분되어 이 두 기능이 상호분리되고 또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미술관은 한국예술문화의 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유문화재단의 설립(1992년)과 함께 200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영은미술관은 동시대 현대미술 작품을 연구, 소장, 전시하는 현대미술관 (Museum of Contemporary Art)이며 또한 국내 초유의 창작스튜디오를 겸비한 복합문화시설로, 미술품의 보존과 전시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미술관 형태를 과감히 변화시켜 미술관 자체가 살아있는 창작의 현장이면서 작가와 작가, 작가와 평론가와 기획자, 대중이 살아있는 미술(Living Art)과 함께 만나는 장을 지향목표로 삼고 있다. 종합미술문화단지의 성격을 지향하는 영은미술관은 조형예술, 공연예술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예술을 수용하고 창작, 연구, 전시, 교육 서비스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여 참여계층을 개방하고 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문화촉매공간이 되기를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