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상상캠퍼스

2016 창생공간 오픈!

시민과 작업자를 위한 경기도의 열린 제작공간

세상은 멋진 아이디어와 창작자들로 가득하지만, 아직도 마을 단위에서 창작 공간은 부족하다. 경기도의 곳곳에서 ‘공간’ 개념의 확장과 전환을 모색하여 주민들의 창작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꾸리고 있다. 익히 알려진 예술 공간뿐 아니라 가장 가까운 삶터에서의 지속가능한 활동 가능성을 열어둔다면, 창작과 예술, 문화는 생계에 바쁜 주민들에게도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보다 친밀한 요소로, 나아가 지역의 특색으로서 자리매김하지 않을까? 주민 참여적인 자율적 활동과, 다양한 네트워크를 도모하는 ‘창생공간’ 오픈은 경기도의 빈 공간을 다채로운 빛깔로 채우는 지역 활생의 일환이기도 하다.


2016년부터 시작된 창생공간은 수원 서둔동의 <생활적정랩 빼꼼>, 안양8동 <이모저모 도모소>, 성남 신흥3동 <재미> 남양주 삼봉리 <천문공작실>등 4개의 공간이 오픈하여 운영하고 있다. 기존 공간에서 활용 가능한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공도창공 수동>, <곧바로 책, 방>을 소개하기도 했다. 나아가 2017년에는 오산 오색시장 내에 <미디어랩 빙고믹스>를 오픈 준비 중이다. 창생공간에는 적정기술(난로), 발효, 리사이클링, 망원경(천체관측), 재봉, 미디어를 통해 제작이 가능한 장비와 시설을 지원하여 작업자 개개인의 디자인과 기술을 존중하는 문화적 실천을 일구고 있다.


국내외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메이커 무브먼트(maker movement)에서 착안한 창생공간은 경기도의 지역여건에 맞게 대안적인 공간 조성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이렇게 발굴된 경기도의 숨은 공간들은 주민과 제작자의 신선하고 자생적인 시도와 활동으로 새로운 예술 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창작 공간으로서 거듭날 것이다. 3년 단위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과 연계 시스템으로 소중한 문화를 지키는 한편 새로운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지역 공간은 세대를 거쳐 문화를 잇는 디딤돌 역할을 맡게 된다. 친교, 교류의 공동체 활동을 넘어 지역 멤버쉽을 토대로 자립, 자생이 가능한 생산적인 문화 활동으로 침체된 마을의 생활 환경에 활기를 불러온다. 이는 지역에서 꾸준히 애써왔던 민간주체에 있어 독보적인 형태의 자립 구조로서 힘을 실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창생공간’은 더 많은 사적 영역의 개인이 공공역역으로 등장해 공공영역의 주체자로서 스스로 공적 공간을 만들어가는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지역의 주민이 주체성을 획득함과 동시에 차별적인 자신만의 컨텐츠, 창작 예술에 시도로서 삶의 공간을 확장하며, 공생하는 지역 문화의 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 

글쓴이
경기상상캠퍼스
자기소개
옛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지에 위치한 경기상상캠퍼스는 2016년 6월 생활문화와 청년문화가 함께 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울창한 숲과 산책로, 다양한 문화예술과 자연이 어우러진 경기상상캠퍼스는 미래를 실험하고 상상하는 모두의 캠퍼스라는 미션과 함께 새로운 문화휴식 공간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