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기관 회원부터 경기도 예술인 및 개인 회원까지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회원은 경기도 문화예술 콘텐츠를 지지씨플랫폼에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문화예술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 및 개인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지지씨플랫폼 운영 가이드
지지씨는 회원 여러분의 게시물이 모두의 삶을 더욱 아름답게 해 줄 거라 믿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은 여러분이 작성한 게시물을 소중히 다룰 것입니다.
제1조(목적)
본 가이드는 재단법인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지지씨(www.ggc.ggcf.kr. 이하 ‘지지씨’)’의 기관회원(이하 ‘회원’)의 정의 및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회원의 생산자료에 관한 기록 저장과 활용에 관한 내용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정의)
본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지씨’는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의 생산자료 등록과 확산을 위해 경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입니다.
② ‘회원’이란 소정의 가입 승인 절차를 거쳐 지지씨 글쓰기 계정(ID)을 부여받고, 지지씨에 자료 등록 권한을 부여받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 및 유관기관을 의미합니다.
‘생산자료(=콘텐츠)’란 ‘회원’이 지지씨 플랫폼 상에 게재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그림, 사진, 동영상, 링크 등으로 구성된 각종 콘텐츠 자체 또는 파일을 말합니다.
제3조(가이드의 게시와 개정)
① 경기문화재단은 본 가이드의 내용을 ‘회원’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지지씨 플랫폼의 기관회원 등록 안내 페이지에 게시하여, 자유롭게 내려받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② 본 가이드는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플랫폼 운영 정책 및 저작권 등 관련 법규에 따라 개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를 개정, 적용하고자 할 때는 30일 이전에 약관 개정 내용, 사유 등을 '회원'에 전자우편으로 발송, 공지합니다. 단, 법령의 개정 등으로 긴급하게 가이드를 변경할 경우, 효력 발생일 직전에 동일한 방법으로 알려 드립니다.
1. 본 가이드의 개정과 관련하여 이의가 있는 ‘회원’은 탈퇴할 수 있습니다.
2. 경기문화재단의 고지가 있고 난 뒤 효력 발생일까지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았을 경우, 개정된 가이드를 승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4조(회원자격 및 가입)
① ‘지지씨’의 ‘회원’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과 유관기관으로 합니다. ‘회원’은 글쓰기 계정을 부여받은 후 지지씨에 생산자료를 등록하거나, 게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② ‘지지씨’의 가입 신청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계정 신청서를 작성,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1.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지지씨에서 내려받기 한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지지씨 계정 신청서’를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ggc@ggcf.kr)로 제출, 승인 요청을 합니다.
2. 한 기관에 발급되는 계정은 부서별/사업별로 복수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사용자 편의 등을위해 기관 계정 관리자 1인이 복수 계정의 발급을 신청한 경우, 승인 불가합니다.
3. ‘회원’ 계정은 신청인이 속한 기관명/부서명/사업명 등의 한글로 부여됩니다.
4. ‘회원’은 계정 발급 후 최초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5. 계정의 비밀번호는 가입 승인된 계정과 일치되는 ‘회원’임을 확인하고, 비밀 보호 등을 위해 ‘회원’이 정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③ ‘지지씨’ 가입 신청 방법은 내부 방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가입 신청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경기문화재단은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신청에 대하여 승인 불허 혹은 사후에 계정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1. 과거 회원자격 상실 회원. 단, 경기문화재단과 회원 재가입 사전 협의, 승인받은 경우는 예외로 함
2. 정보의 허위 기재, 저작권 등 관련 법률을 위반한 저작물 게시 등 제반 규정을 위반한 경우
⑤ ‘회원’은 회원자격 및 지지씨에서 제공하는 혜택 등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할 수 없습니다.
⑥ ‘지지씨’는 계정과 생산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별표〕에 따라 ‘회원’을 구분합니다. 회원 구분에 따른 이용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제5조(회원 정보의 변경)
① ‘회원’은 언제든지 가입정보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기관명, 부서명 등의 변경에 따른 계정 변경도 가능합니다. 단, 계정 변경시에는 계정(신청/변경)신청서를 다시 작성, 제출해야 합니다.
② ‘회원’은 계정 신청 시 기재한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전자우편 등 기타 방법으로 재단에 대하여 그 변경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③ 제2항의 변경사항을 알리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6조(회원 탈퇴 및 정지‧상실)
① ‘회원’은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 전화 및 경기문화재단이 정하는 방법으로 탈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조속히 탈퇴에 필요한 제반 절차를 수행합니다.
② ‘회원’이 탈퇴할 경우, 해당 ‘회원’의 계정 및 가입 시 작성, 제출한 개인정보는 삭제되지만, 탈퇴 이후에도 등록자료는 ‘지지씨’에서 검색, 서비스됩니다.
③ ‘회원’ 탈퇴 후에도 재가입이 가능하며, 탈퇴 전과 동일한 아이디를 부여합니다.
제7조(생산자료의 게시와 활용)
① ‘회원’은 글쓰기페이지(www,ggc.ggcf.kr/ggcplay/login)를 통해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지지씨’에 접속합니다.
② ‘회원’은 ‘지지씨’ 에디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해당 기관의 문화예술 관련 자료를 게시 및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사업의 일몰, 기간의 종료, 추진부서의 변경 등의 사유로 삭제는 불가합니다.
③ ‘회원’은 ‘지지씨’에 게시한 해당기관의 자료를 뉴스레터, SNS 등 온라인 매체로 확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타기관의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 사용 협의 및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④ ‘회원’의 게시물은 도민 문화향수 확산을 위해 출처를 밝히고 뉴스레터나 SNS 등의 채널에 가공 없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제8조(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관리에 대한 의무)
① ‘회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으며,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② ‘회원’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 이를 즉시 경기문화재단에 알리고 재단의 안내를 따라야 합니다.
③ 본조 제2항의 상황에 해당하는 ‘회원’이 경기문화재단에 그 사실을 알리지 않거나, 알린 경우라도 경기문화재단의 안내에 따르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경기문화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9조(회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무)
① 경기문화재단은 지지씨 계정 신청시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정 관리자 이름 2. 사무실 연락처 3. 담당자 전자메일
② ‘회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보호됩니다.
③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 누리집 하단에 공개하며, 개정시 그 내용을 ‘회원’의 전자메일로 알립니다.
제10조(사용자 권리 보호)
① ‘회원’의 게시물이 저작권 등에 위배될 경우 경기문화재단은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바로 삭제조치합니다. 이와 관련한 분쟁은 「저작권법」 및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을 따릅니다.
②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게시물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이거나, 관련 법령을 위배하는 등지지씨의 운영 정책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회원’과 협의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의 게시물로 기관의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당하셨다면,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의 고객상담(VOC)을 통해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정책 규정을 따라 처리될 것입니다.
본 약관은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의 승인을 얻은 날부터 시행됩니다.
대분류 | 외부기관 | 경기문화재단 |
---|---|---|
중분류 | 뮤지엄(박물관,미술관)/협회/문화예술공공기관/시군청 담당부서 등 | 본부/기관 |
아이디 | 사업부서명/사업명 | 사업부서명/사업명 |
글쓴이 노출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 안내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지지씨 관리자 이메일로 제출해 주세요.
실학박물관
하피첩의 귀향
2016-10-17 ~ 2017-03-26 / 실학박물관
□ 프롤로그
<하피첩의 귀향, 노을빛 치마에 새긴 다산 정약용의 가족사랑>
이번 특별전은 다산 정약용 선생 서거 18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친필 서첩인 <하피첩>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하피첩霞帔帖>은 정약용이 유배지인 전남 강진에서 고향인 경기도 마현에 있는 두 아들을 위해 쓴 편지첩을 말합니다. 1810년 유배 온 지 어느덧 십년 세월 정약용은 부인 홍씨가 시집올 때 입었던 낡은 치마를 유배지에 보내오자 이를 잘라 고향에 있는 두 아들에게 부정父情을 담은 당부의 글을 쓰고 이것을 ‘하피첩’이라는 이름의 서책으로 만들었습니다. 가보家寶로 전해지던 하피첩은 한국전쟁 때 분실하여 행방이 묘연하다가 2006년 모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세상에 알려진 뒤 우여곡절 끝에 2015년 국가에 귀속되었습니다.
<하피첩>이 만들어 진 지 206년이 지난 오늘, 다산 정약용의 유산인 <하피첩>을 고향인 이곳에서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 전시 내용
2016년 실학박물관(관장 장덕호)에서는‘하피첩의 귀향’을 주제로 특별전을 개최한다. 전시 일정은 2016.10.17(월)∼2017.3.26(일)이며 관련 유물 20점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대표유물은 <하피첩霞帔帖>(보물 1683-2호)과 <매화병제도梅花倂題圖>이다.
이날 행사는 고향으로 돌아오는 <하피첩>을 다산의 영전에 고하는 환안還安 고유제가 다산의 사당인 문도사文度祠에서 우선 진행된다. 이어 개막식 행사에는 <하피첩> 창작 가곡의 최초 공연 등이 이루어진다.
< 1부 > 다산 가족이야기
- 풍산홍씨와 60년 해로
다산 정약용은 15세 되던 해 홍화보의 딸인 홍혜완洪惠婉과 혼인하였다. 서울 출신의 부인 홍씨는 다산보다 한 살 연상이었다. 다산이 유배지에 있었던 18년의 긴 세월 동안 부인 홍씨는 마재의 전장을 가꾸며 집안 살림을 돌보았다. 이후 다산이 유배에서 풀려났어도 벼슬길이 열리지 않던 남편을 격려하며 남편의 친구들이 집에 찾아와 묵고 갈 때면 정성스레 만둣국을 만들어 대접했다고 한다. 그녀가 아니었다면 다산의 학문에 대한 열정이 지속될 수 있었을까.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도 오늘의 다산을 있게 한 것은 홍씨 부인의 보이지 않는 내조였을 것이다. 홍씨는 시문에도 능하여 다산이 강진으로 유배간 지 6년(1806년)이 되던 해의 겨울, 시집올 때 가져와 분홍빛이 담황색으로 바랜 치마와 함께 사언四言의 시를 지어 보냈다. 천리 밖에서 찬 겨울을 나고 있을 남편에 대한 그리움이 애절하다.
또한 다산 선생은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에서 회혼을 맞이한다. 회혼례回婚禮는 해로한 부부가 결혼 6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으로 사람이 수명이 길지 못하였던 옛날에 보기 드문 일로 많은 사람의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다산은 회혼례가 있기 3일 전 회혼의 애틋한 마음을 담아 '회근시(回巹詩)'를 썼으나, 잔치날 아침 세상을 떠나게 되면서 생애 마지막 시가 되었다.
60년 풍상의 세월 눈 깜짝할 사이 흘러가
복사꽃 활짝 핀 봄 결혼하던 그해 같네
살아 이별 죽어 이별 늙음을 재촉했으나
슬픔 짧고 즐거움 길었으니 임금님 은혜 감사해라
오늘 밤 목란사(木蘭詞)는 소리 더욱 다정하고
그 옛날 붉은 치마에 유묵(遺墨) 아직 남아있네
쪼개졌다 다시 합한 것 그게 바로 우리 운명
한 쌍의 표주박 남겨 자손들에게 넘겨주노라
- 죽은 자식이 산 자식의 두배
다산과 부인 홍씨는 슬하에 9남매를 두었으나 6남매를 일찍 가슴에 묻었다. 1780년에 첫아이를 유산을 하고, 1781년 학질을 앓은 끝에 팔삭동이 딸을 낳았으나 나흘 만에 잃었다. 그 뒤 무장(학연)과 문장을 낳았고, 다음에 구장과 효순을 보았지만 그 둘 역시 일찍 잃었다. 그 아래로 또 딸(뒷날 윤씨부인)을 낳았다. 이후 1796년에는 삼동을 낳아 마마로 잃고, 그때 배고 있던 아이도 태어나 열흘 남짓 만에 역시 마마로 잃었으며, 1799년에 얻은 아들인 농장도 1802년에 잃었다. 여섯 아이를 잃은 부부의 괴로움과 심적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다산은 세 살 때 마마로 죽은 농장이란 아들을 위해, 유배지 강진에서 광지壙志(무덤에 시신과 함께 묻는 글)를 적어 고향 마재로 부치면서, 아내에 대한 그리움과 미안함 그리고 연민의 정을 내비쳤다. 다산은 요절한 아이들을 불쌍히 여겨서 “구장이와 효순이는 산등성이에다 묻었고, 삼동이와 그 다음 애는 산발치에다 묻었다. 농아도 필시 산발치에 묻었을 거다”라고 적고는 “죽은 애들이 산 애들의 두배구나. 내가 하늘에 죄를 지어 그 잔혹함이 이와 같으니 어찌할 것인가”라며 비통해 했다.
<2부> 노을빛 치마에 그리움을 담다
정약용은 열다섯 살 때 풍산 홍씨1761~1838와 결혼하여 6남 3녀를 낳았으나
불행히도 4남 2녀는 요절하고 2남 1녀만 장성하였다.
어린 자식들이 죽는 아픔 속에서도 살아남은 자식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유배와 함께 두 아들이 벼슬길에 오를 수 없는 이른바 ‘폐족廢族’의 신세가 되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 1801년 신유사옥으로 셋째 형 정약종이 참수되고, 정약용과 둘째 형 정약전은 유배에 처해졌다. 당시 정약용은 40세였고, 장남 정학연은 18세, 차남 정학유는 15세, 어린 딸은 당시 8세의 나이였다. 정약용은 귀양지 강진에서 편지와 가계家戒를 보내 자칫 공부를 포기하고 나쁜 길로 빠질 위험이 있는 두 아들을 다독이고 공부시켰다.
다산은 1810년 부인 홍씨가 시집올 때 입었던 낡은 치마를 보내오자 이를 재단하여 두 아들들과 후손들이 간직할 당부의 말을 쓴 서첩을 만들고 이를 ‘하피첩霞帔帖’이라 하였다.
‘하피첩’은 자신으로 인해 폐족廢族이 된 두 아들에게 멀리서나마 당부하는 아버지의 글이다.
<3부> 하피첩의 귀향 연보
1921년 현손 정규영, <사암선생연보> 편찬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다산생가인 ‘여유당’이 유실됨. <하피첩>과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간신히 보존함
1927년 현손 규영奎英(1872~1927) 사망
1929년 다산 6대손 정해경(1929~현재) 출생
1934년 다산학을 개척한 위당 정인보가 <동아일보>에 다산에 대해 연재
1934년 신조선사에서 다산기념강연회 개최
1938년 신조선사에서 154권 76책에 달하는 <여유당전서> 간행
최익한이 <동아일보>에 ‘여유당전서를 독함’이란 주제로 연재기사를 쓰면서 <하피첩>을 소개함
1950년 피난길에 종가에서 보관하던『하피첩』을 수원역에서 잃어버림
1968년 다산 5대손 정향진(1905~1968) 사망
2004년 수원에서 폐지 줍는 할머니 손수레에서 <하피첩>을 발견함
2006년 잃어버린 <하피첩>이 56년 만에 KBS 2TV ‘진품명품’을 통해 세상에 나옴. 다시 행방이 묘연해짐 2010년 문화재청 옛글씨 일괄공모를 통한 조사·지정 사업의 일환으로 보물 1683-2호로 지정
2011년 부산저축은행 전대표의 파산으로 예금보험공사에서 <하피첩>을 압류함
2015년 국립민속박물관이 서울 옥션 경매에 나온 하피첩」을 구입하고 언론에 공개
2016년 실학박물관 <하피첩> 특별전 개최
□ 고유제 일정
○ 환안고유제는 다산 선생의 서거 180년으로 하피첩이 선생의 고향인 실학박물관에서 국민들에게 전시되는 것을 기념하여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문도사文度祠에서 잔을 올리는 추모 고유제 형식으로 거행함 ○ 일 시 : 2016. 10. 17(월) 14:00~15:00
○ 장 소 : 실학박물관 로비 및 다산유적지 문도사
시간 | 내용 | 안내 | 장소 |
14:00~14:15 | 환복 | 제복 환복 | 다산문화관 |
14:15~14:20 | 기념사진 | 제관, 집사, 내빈 사진촬영 | 동상 앞 |
14:20~14:50 | 고유제 및 봉헌 | 고유 및 봉헌 | 문도사 |
14:50~15:00 | 환복 | 평상복으로 환복 | 다산문화관 |
□ 개막식 일정
○ 일 시 : 2016. 10. 17(월) 15:00~16:00
○ 장 소 : 실학박물관 로비
○ 참석대상 : 유관단체, 실학자 후손 등 100명 내외
시간 | 내용 | 안내 | 장소 |
15:00~15:20 | 공연 | 창작 가곡 '하피첩' | 박물관 로비 |
15:20~15:40 | 개막식 | 내빈소개 | 박물관 로비 |
인사말 | 실학박물관장 | 박물관 로비 | |
격려사 |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 박물관 로비 | |
축사 | 경기도의회 의원 | 박물관 로비 | |
15:40~15:50 | 테잎 커팅 | 내빈 | 전시실 |
15:50~16:10 | 특별전 관람 | 정성희(전시담당 학예사) | 전시실 |
16:10~17:00 | 리셉션 | 참석자 모두 | 열수홀(강당) |
※ 창작 가곡 소개
– 창작가곡은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가곡’의 전통연주방식임
– 조선 선비문화의 한 형태로 관현반주와 함께 긴 가락의 노래로 불리는 ‘시창詩唱’ 형식임
– 노래 : 강숙현(풍류단 시가인詩歌人 대표)
– 피리 : 박영기(경기도립국악단 수석, 중요무형문화재 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
– 공연 : ‘<하피첩> 서시序詩’, ‘쓰러진 나무에 싹이 나고’, ‘매화병제도’ 3곡
□ 주요 유물 자료
<하피첩> 3첩 서시부분-국립민속박물관 협조
▶ 하피첩 霞帔帖
1810년(순조 10) | 필사본 | 24.8×15.6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807년 봄, 홍씨 부인은 유배 생활중인 남편 다산선생에게 시집올 때 입었던 붉은색 비단치마를 보냈다. 다산 선생은 그 오래된 비단 치마를 말라서 1807년부터 1809년까지 두 아들에게 경계의 말을 적어 보내면서, 이것을 《하피첩》이라 명명하였다. 《하피첩》은 원래 4첩으로 이루어졌는데, 현재 3첩만 남아 전한다.
<매화병제도> 고려대학교 박물관
▶ 매화병제도 梅花倂題圖
1813년(순조 13) | 필사본 | 38.5×17 |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813년 7월 유배기에서 다산 정약용은 시집가는 딸에게 매화와 새를 그린 그림을 보내준다. 두 마리의 새처럼 다복한 가정을 꾸미고 풍성한 열매를 맺어 집안이 번창하기를 기원한 아버지의 마음을 담았다.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