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나의 애정 공간 - 판교에 흐르는 맛있는 음악 (1)

커먼뮤직+커먼키친 황규석



이 글은 《우리동네 펍》 본문 글입니다.



민하늬 미술비평가



판교 테크노밸리의 풍경은 유난히 젊다. 아마도 국내 유수의 IT기업들이 모여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일하러 오는 젊은 회사원들로 시끌벅적한 이 공간은 밤이나 주말이 되면 빈 공간으로 변하는 ‘공동화 현상✽’을 보인다. 또한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머무르는 이곳에 이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 인프라가 거의 전무하다. 인접한 동네에 거주하는 주민들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들이 음악, 미술, 연극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접하기 위해서는 서울의 홍대, 이태원, 한남, 강남 등지로 이동해야만 한다.


이미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서울의 치솟는 집값을 피해 꾸준히 경기도로 이주해 왔다. 그 현상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며, 근래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인구가 서울보다 많아졌다고 한다. 그런데 왜 경기도에 거주하는 우리는 여전히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접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걸까? 물론 문화 인프라를 형성하고 콘텐츠를 다양화하는 일은 하루아침에 해결되기 어렵다. 이들에게도 경기도‘만’의 특성을 살린 또는 경기도에서‘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가 절실해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상황이 그렇게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 지역의 거점 공간들을 중심으로 작은 움직임들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오랜 시간 동안 서울에 집중되어 있던 문화 활동들이 점차 주변부로 확산되면서, 지역 사회의 문화 지형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물론 주변부로의 확산, 그 기저에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있다. 이 현상은 분명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내는 징후이기에, 우리 스스로 저항의 방식들을 다양화해 나가는 것이 지금 시점에서는 굉장히 중요해 보인다. 다행스럽게도 근래 들어 우리는 이제까지와는 조금 다른 문화 양상들을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단적인 예로 한 개인이나 그룹이 주체가 되어 문화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는 현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당장은 피부로 느낄 수 없을지라도, 이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공간을 기반으로 꿈틀꿈틀 재미있는 작당 모의를 하고 있다. 필자는 그 주인공으로 판교 테크노밸리에서 커먼뮤직+커먼키친을 운영하고 있는 황규석 대표를 만나 보았다.


✽ 도심 지역 내에서의 지가 급등 및 각종 공해로 주택들이 도시 외곽으로 진출하는데,

이렇게 되면 도심의 주택은 줄고 결국 공공기관, 상업기관만 남게 된다. 이리하여 도심은

텅 비 공동화되고 외곽 지역은 밀집되는데 이것이 도넛과 같다고 해서 생긴 명칭이다.

(NEW 경제용어사전, 미래와경영연구소, 2006.4.7.미래와경영 참조)




황규석 대표가 수집한 LP판들



이곳에서 저곳으로, 홍대에서 판교로


2017년 새해가 밝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황규석 대표와 인터뷰 약속을 잡았다. 최첨단 기술을 선도하는 테크노밸리 한가운데 레스토랑 겸 음악 공연장이 있다는 것은 그 존재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이었다. 아마도 그것은 거칠게 말해 과학과 예술이라는 이질적인 존재들이 한 공간에 공존한다는 사실 때문이리라. 아니 어쩌면 ‘커먼(common)’이라는 단어가 지닌 ‘공동의, 공통의, 흔한’이라는 의미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필자에게 ‘커먼’뮤직은 ‘공동 혹은 공통의 음악을 위한 공간’이라고 읽혔고, 공동이나 공통이라는 것은 나와 다른 사람의 ‘관계’가 맺어지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이 관계에 대한 생각은 연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과 연결되었기에,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부터 괜히 어깨가 들썩거렸다.


Q : 판교 테크노밸리 한가운데에 인디 음악 공연장이라니, 굉장히 이색적이에요. ‘커먼키친’은 어떤 공간인가요? 소개 부탁드려요.


(황규석 이하 황) 커먼키친은 카페, 레스토랑 겸 음악 공연을 하는 공간이에요. 이곳을 거점 삼아 ‘커먼뮤직’이라는 음악 레이블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요. 커먼뮤직은 원래 음반을 기획·제작·유통하는 독립 레이블이고, 소속 밴드로는 아시안체어샷, 블락스, 아톰리턴즈 등이 있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레이블의 규모를 많이 축소해서 음원 유통, 음악 공연 기획과 내한 공연을 위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Q : 판교로 오기 전에 오랫동안 홍대 앞에서 음악 레이블을 운영했다고 들었어요. 음악 레이블을 언제, 어떻게 시작했고, 어떻게 판교로 오게 되었나요?


황 : 음악 레이블을 시작한 것은 2011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요. 어릴 때부터 음악을 너무 좋아했어요. 대학 때는 밴드의 보컬을 했었고, ‘타운홀 레코드’를 운영하면서 음반을 제작하고 유통하는 일도 했죠. 음악과 관련한 일들은 거의 다 해봤어요. 하지만 음악 작업만으로는 레이블을 유지하고 생계를 이어 가기가 어려워서 2011년에 ‘카페커먼’이라는 공간을 홍대에 만들게 되었죠. 이곳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디 밴드 공연을 기획하거나 이 밴드들의 음반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실험들을 했어요. 당시만 해도 카페커먼과 같은 복합문화공간이 많지 않아서 이 공간이 활황을 이루었어요. 그런데 이듬해 가을 건물주에 의해 쫓겨나듯 공간을 옮기게 되었고, 그러면서 2013년 초에 독립적으로 운영했던 음악 레이블과 카페를 ‘커먼뮤직+카페커먼’이라는 이름으로 통칭하게 됐습니다. 이후 홍대에는 인디 밴드를 위한 공연 공간들이 많이 생겨났어요. 그리고 인디 음악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했지만,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로 인해 계속해서 외곽으로 공간을 옮기는 패턴이 홍대 곳곳에서 반복되었죠. 3년 동안 이 과정을 되풀이하는 사이에 홍대 인근의 인디 음악 공간은 반으로 줄었고, 한 곳에 모여 자생적으로 활동하는 인디계의 문화 역시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되었어요. 이런 상황 속에서 리니지, 한게임, 나사 출신의 투자자들 과 매니아DB의 류형규 씨의 도움으로 2015년 3월 판교에 둥지를 틀게 되었습니다.



‘함께 공존함’의 가치


판교 회사원들 사이에서 커먼키친은 이미 유명한 맛집이다. 이곳에서는 주로 커피와 맥주, 몇 가지 시그니처 메뉴를 개발해 판매하고, 일주일에 한 번 음악 공연을 하고 있다. 황규석 대표는 일찌감치 어떻게 음악을 계속, 그리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방법을 모색해왔다. 그 결과 커먼키친을 만들었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커먼뮤직을 운영해 나가고 있다. 그도 예상한 바이지만, 판교로 공간을 옮기면서 홍대와 판교는 여러 가지 면에서 정말 많이 달랐는데, 특히 낮에는 붐비고 밤과 주말에는 빈 공간으로 변하는 것이 가장 낯설었다고 한다. 이왕 이렇게 된 김에 공간 운영에 선택과 집중의 시간이 필요했다고 생각했고, 이에 커먼뮤직의 규모를 줄이고 내실을 다지기로 했다. 지금은 커먼키친이라는 거점 공간을 중심으로 어떻게 주변 지역과 공존해 나갈지 고민 중이라고 한다.



(왼쪽) 커먼뮤직과 커먼키친을 의미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모던한 디자인이 눈에 띈다.

(오른쪽) 커먼키친 입구에는 재미난 소품들이 있다. 이제는 보기 힘든 오래된 비디오와 영화 포스터, 다양한 음악 CD들과 대동강 맥주가 함께 전시되어 있다.



Q : 주변 지역과의 ‘공존’을 어떤 방식으로 해 나가고 있나요?


황 : 지역 사회와의 어울림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실행하고 있는 것 같아요. 하나는 금요일마다 열리는 음악 공연이고요, 다른 하나는 판교 IT기업 내 음악 동아리들이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커먼키친을 개방하는 것이죠. 우선 음악 공연의 경우, 홍대에서 오랫동안 알고 지내 온 뮤지션들과 정기적으로 공연을 진행하고 있어요. 이렇게 되면 분당 지역에서 근무하거나 근처에 거주하는 분들이 인디 밴드의 공연을 보기 위해 서울로 가지 않아도 되잖아요. 또 저녁 시간을 활용해 편안하게 음악을 즐기는 문화도 만들 수 있고요. 올해부터는 판교뿐만 아니라 더 많은 남성 시민들이 저희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토요일 공연도 구상 중이에요. 아직 구체적이지 않지만 주말 음악 공연과 함께 독립영화를 상영하거나 쉽게 접할 수 없는 콘텐츠를 함께 즐기면 좋겠다는 생각도 갖고 있어요. 그리고 알고 보니 판교 IT기업 안에 다양한 음악 동아리들이 있더라고요. 음향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연장이 근처에 없어서 그동안 주로 이태원에서 공연했다고 해요. 이들과 함께 무엇을 하면 재미있을까 고민하다가 커먼키친에서 공연을 해보기로 했어요. 이미 작년 12월과 올해 2월에 넥슨(NEXON)의 DJ 동호회가 이곳에서 파티를 열었고요, 앞으로도 이어 나갈 예정입니다. 이제 조금씩 판교의 음악 공간으로 자리 잡는 것 같아요.(웃음)


Q : 커피와 식재료에도 신경을 많이 쓴다고 들었어요.


황 : 커먼키친의 시그니처 메뉴에 들어가는 식자재는 모두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고 있어요. 커피 원두도 국제 블랜딩 대회에서 1위를 수상했던 ‘커피 리브레’를 사용하고요. 저는 홍대에서 카페커먼을 운영할 때부터 이 원두를 고집했는데, 이유는 원두의 질뿐만 아니라 이 브랜드가 연남동에서 시작한 브랜드기 때문이었어요. 자기 자리에서 묵묵히 좋아하는 일을 해 나가는 지역 사람들과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물론 이 길은 쉽지 않아요. 더욱이 오랜 시간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로 건물주와 갈등을 겪어 왔기에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서로 잘 유지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도 잘 알고요. 하지만 오히려 그래서 비슷한 가치와 지향점을 공유하는 이들과의 만남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오전 11시부터 식사가 가능하고, 함박 스테이크, 차돌라면, 파스타를 주문할 수 있다. 오후 3시부터 6시까지는 연남동 리브레 커피 및 각종 음료를 당고와 함께 즐길 수 있고, 오후 6시부터 새벽 2시까지는 식사는 물론 산미구엘 블랙을 생맥주로, 각종 IPA 맥주와 수도원 맥주 등을 즐길 수 있다. 안주로는 오징어 깔라마리, 반건조 노가리, 크리스피 오겹살 등이 있다.



 카페이자 레스토랑으로 활용되는 커먼키친은 금요일이면 라이브 공연장으로 변신한다.

주방에 여유가 있을 때는 배경 음악의 선곡도 받는다.




나의 애정 공간 - 판교에 흐르는 맛있는 음악 (2)에서 인터뷰 계속




세부정보

  • 커먼뮤직 + 커먼키친

    주소/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35H스퀘어 N동 B10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common.kitchen.pangyo

  • 우리동네 펍/ 펍에 실린 12팀의 인터뷰이는 2016년 9월부터 조사한 문화재생 활동단체 중에 선별 추천되었다. 문화재생 활동단체 조사는 문화재생팀 신설 이후, 도내 문화재생 활동에 대한 모집단 규모와 수요 파악을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원은 각 지역에 활동 기반을 둔 청년 중심으로 구성하여 같은 지역 내에서 활동 하고 있는 단체를 심층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공동체 철학이 반영된 문화재생 기획과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단체와 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지역을 거점 삼아 활동하게 된 계기와 계획, 지역 관계 정도, 재원 확보 등 현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는 재단문화재생 사업에 반영하여 활용하게 된다.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