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돈의문 밖 경기감영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은 2018년은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천년을 이어온 경기도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미래의 꿈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경기도 내 거주자와 학생, 직장인들로 꾸려진 기자단입니다.   



경기도가 1018년부터 천 년을 달려 남긴 역사 속에는 재미있는 이야기와 빛나는 인물, 장소들이 참 많이 있는데요. 이번에 오래된 역사를 되돌아보며 최초의 경기도청을 일컫는 경기감영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경기천년의 해인만큼 경기도에 관련된 그 옛날 돈의문 밖 경기감영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보는 건 어떨까요? 그럼 한번 돈의문 밖과 경기감영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돈의문 밖이란?


조선시대 도시사회연구(손정목)에 따르면 서대문(돈의문)밖은 돈의문에서 경기감영에 이르는 지역으로 서부의 반송방에 해당됩니다. 서부의 도성 외의 2개 방인 반송방과 반석방은 현재의 의주로 가는 길의 서편에서 아현동, 북아현동까지를 포함하여 무악재 고개를 이르는 범위로 그 당시 개성과 한양간의 통로에 연하여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했던 지역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송방에 해당하는 간선도로는 돈의문으로부터 의주까지 이르는 길로 홍제원, 고양, 파주, 개성을 거쳐 가는 1,086리의 거리인데요. 이 길은 동국여지비고에서 제 1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국과 우리나라 사신들이 왕래하던 길이었고, 임금이 중국 사신을 맞이하는 일과 주변에 이를 위한 시설이 있어 간선도로 중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고 합니다.

또 조선시대 지방관아로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 감영은 대개 십자로를 끼고 주요 위치에 자라하게 되는데 경기감영 역시 돈의문을 나와서 의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제법 변화했던 상가와 민가들이 주변에 섞여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돈의문밖의 관아와 명소


<돈의문, 모화관, 서지의 이미지>


그 밖에도 돈의문밖에는 경기지방을 관할하는 경기감영, 중국사신의 영접의가 행해졌던 모화관, 반송방의 유래가 되었던 반송정과 서지, 그리고 청수관, 고마청 등의 관아와 명소가 있는 지역이었습니다.


감영이 있는 곳은 해당 도의 행정, 군사 등 모든 것을 총괄하는 감사가 있는 곳이므로 자연 감영처는 해당 도의 중심도가 되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오군영체제로 군제를 개편한 조선후기에 이르면 감영처는 해당도의 행정 중심지뿐만 아니라 군사 중심지로서의 비중도 높아지게 되어 감영처는 명실상부한 행정, 군사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 기인한 경제의 중심지가 되었던 것이죠.



경제의 중심지가 되다



<경기감영의 기영포정사, 경기감영의 선화당, 경기감영도 부분>


감영이 있는 곳은 해당 도의 행정, 군사 등 모든 것을 총괄하는 감사가 있는 곳이므로 자연 감영처는 해당 도의 중심도가 되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오군영체제로 군제를 개편한 조선후기에 이르면 감영처는 해당도의 행정 중심지뿐만 아니라 군사 중심지로서의 비중도 높아지게 되어 감영처는 명실상부한 행정, 군사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 기인한 경제의 중심지가 되었던 것이죠.



경기감영



현재의 경기도청이라고 할 수 있는 경기감영은 조선시대 외관(外官)의 하나로서 경기감사, 또는 경기관찰사가 있던 관아였습니다. 관찰사는 예하의 부윤(府尹), 목사(牧使),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도호부사(都護府使),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 등 지방관을 감독하는 한편 감영(監營)에는 이방,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 등 6방이 있고 도사(都事), 판관(判官), 막비(幕費) 등의 기관을 두어서 일반 행정과 군정, 사법, 경찰 등의 정사를 보았습니다.


속칭 포정사(布政司)라고 칭하는 경기감영은 1896년에 수원으로 옮겼다. 그 후 감영의 건물은 군영(軍營)으로 되었다가 광무 7년에 한성부가 이전해 와 사용되었습니다. 비교적 돈의문 밖의 도시경관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경기감영도와 문헌을 참고 하면 반송방은 개성과 한양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가 포함되어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했던 지역이었고, 경기감영을 중심으로 발달된 지역이었습니다. 대로변에는 관아건물을 제외하고는 종소규모의 와가(瓦家)와 초가(草家)들이 있었으며 상업을 목적으로 한 가가(假家)들이 길의 일부를 점유하는 가로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경기감영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의 서울적십자병원과 서대문우체국 일대는 조선시대에 서대문 밖이었던 지역으로, 경기감영이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현재 서울적십자병원 정문 옆 도로변에 이곳이 경기감영터였음을 알리는 표지석만 세워져 있습니다.


이렇게 경기감영처도 시대적 상황을 봤을 때 현재만큼이나 중요성이 높고, 다른 도의 감사보다도 임무가 막중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과거 고려의 ‘경기’는 서울을 포함해 지금과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그 면적이 컸다고 합니다. 경기천년 속에서 경기도의 중심 역할을 한 경기감영이 현재는 그 모습을 볼 수 없고 표지석이 경기감영의 자리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천년이라는 긴 시간 속에서 그 흔적을 찾지 못하는 문화재가 많지만 경기천년의 과거에 중심도였던 경기감영터를 보지 못한 다는 것이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 앞으로의 경기천년은 이런 문화재와 역사를 잘 보존하여 후대에도 경기감영터를 기억하는 미래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경기천년 기자단이었습니다.



세부정보

  • 출저/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