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지명이 품은 경기도 포천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은 2018년은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천년을 이어온 경기도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미래의 꿈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경기도 내 거주자와 학생, 직장인들로 꾸려진 기자단입니다.

경기천년 기지단에서는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경기도에 속해 있는 지역의 지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천년이라는 세월 동안 경기도 속 각 지역들 또한 그 역사가 짧지 않습니다. 오늘은 경기천년을 함께 한 31개의 시, 군들 중에서 포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 최북단에 위치한 포천


포천의 대표적인 먹거리하면 이동막걸리와 이동갈비를 손꼽습니다. 예로부터 포천은 물이 좋기로 유명했답니다. 지명자체가 ‘물을 품은 곳’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이 좋다보니 양조문화가 많이 발달하고 포천이동막걸리, 일동막걸리 등 맛이 좋은 막걸리들이 만들어져 지금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저도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기념해서 포천막걸리 한잔에 이동갈비 한 점으로 ‘경기천년’ 축배를 들고 싶습니다. 경기도 포천은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물을 품고 있는 고을’이란 의미의 지명입니다. 그렇다면 역사속의 포천은 어떤 지명유래가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경기도 행정구역 (출처 : 경기관광포털)



포천(抱川)


포천을 고구려 시대에는 마홀(馬忽)이라 하였는데 마홀에 대하여 [삼지연(三地硏)]에서는 물골 즉 ‘물이 많은 골’이란 뜻의 ‘몰골’을 음차(音借)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골 마(馬)는 물의 옛말 ‘물’ 또는 이것의 옛말 ‘매’를 음차한 것이고, 홀(忽)은 ‘골’을 음차하여 썼다는 것이고, 견성(堅珹)은 통일신라시대 때 성을 튼튼하게 수축하고 공수(攻守)의 거점으로 삼았다는 연유로 명명하였으며, 청화(淸化)라 한 것은 고려 성종이 정한 별호라고 합니다. 지금의 포천이라는 명칭은 조선 태종13년(1413년)에 생겨난 이름으로 물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것이 없고 외부로 흘러 나가기만 한다고 하여 안을 포(抱), 내 천(川)으로 불렀습니다.


포천시의 문화유적은 선사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작동에서는 한성백제시대유적으로 경기북부 최대의 주거지가 발굴되기도 했습니다.


자작리 주거 유적지 (출처 : 포천시 공식블로그)


자작리 유적은 포천천변의 충적지대에 형성된 원삼국시대(3~4세기경)주거지 유적으로 경기도 기념물 제220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습니다. 자작리 유적에서는 경질의 민무늬토기가 다량으로 출토되었으며, 높이 45cm의 그릇받침과 대형 옹이 출토되었습니다.


이항복 선생의 신도비각 (출처 : 디지털포천문화대전)


포천의 대표적인 역사인물로는 이항복선생이 계십니다. 조선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으로 오성 부원군에 봉군되어 이항복이나 백사(白沙)보다는 ‘오성대감’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죽마고우인 한음(漢陰) 이덕형과의 기지와 작희(作戱)에 얽힌 많은 이야기로 더욱 알려진 인물입니다.



한음 이덕형 영정 (출처 : 디지털포천문화대천)


조선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이덕형은 포천군 자작리 외가에서 태어나 자라며 양사언 문하에서 수업하고 1580년(선조13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정립, 이항복과 함께 ‘경진삼이(庚辰三李)’로 불렸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이항복과 절친한 사이로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포천의 캐릭터 오성과 한음 (출처 : 포천시청 홈페이지)



이를 반영하듯, 포천시의 캐릭터는 오성과 한음입니다. 포천시의 캐릭터를 오성과 한음으로 만든 계기를 살펴보면, 오성(이항복)은 포천 가사면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고, 화산서원에서 제향되고 있으며, 한음(이덕형)은 포천읍 자작리에서 출생하여 신북면 소재 용연서원에서 제향되고 있어 포천시를 대표하는 캐릭터로 선정되었습니다.   오성과 한음의 친근한 모습에 경기도 포천이 더욱 가까운 듯 느껴집니다.


반월산성에서 바라본 포천시내(출처 : 포천시청 홈페이지)



최근 포천시는 서울 면적의 약1.4배에 달하는 방대한 면적을 기반으로 도농복합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국민관광지인 산정호수와 백운계곡을 비롯해서 다양한 체험관광지도 개발하고 있고, 찬란한 문화유산을 계승시키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올해 2018년, 경기천년의 해는 과거를 돌아보고, 그것을 발판으로 앞으로의 경기천년으로 도약하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경기천년에서는 역사 하나하나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보존해 앞으로의 후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유산이라고 생각합니다. 포천시 슬로건인 “무궁무진 포천“처럼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됩니다. 이상 경기천년 기자단이었습니다.


세부정보

  • 자료 출저/ 포천시청, 포천공식블로그, 디지털포천문화대전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