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지명이 품은 경기도 연천

경기도의 이야기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은 2018년은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천년을 이어온 경기도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미래의 꿈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경기도 내 거주자와 학생, 직장인들로 꾸려진 기자단입니다.



경기천년 기지단에서는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경기도에 속해 있는 지역의 지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오늘은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경기도의 가장 북쪽, 북한과 맞닿아 있는 연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경기천년 속 가장 아픈 역사라고 할 수 있는 6.25전쟁과 분단의 역사와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연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연천


경기도의 가장 북쪽에 있고 DMZ접경지역인 연천은 청정도시이면서도 문화와 역사가 공존하는 고장이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은 ‘연천’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중학교 수업시간 연천 ‘전곡리’에 대해 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구석기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곳이 바로 연천 전곡리이기 때문입니다. 경기도 연천 전곡리에는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천이란 지명은 언제부터 불린 걸까요? 연천의 지명유래부터 알아봐야겠습니다.


경기도 행정구역 (출처 : 경기관광포털)



연천(連川)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연천군(蓮川郡)은 본래 고구려 공목달현(工木達縣)으로 웅섬산(熊閃山)이라고도 불리었습니다. 신라에서 공성(功成)으로 고쳐서 철성군(鐵城郡)영현으로 만들었습니다. 현종 9년(1018년)에 동주(東州)에 예속시켰으며, 명종 5년(1175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습니다. 태종 14년(1414년) 마전현(麻田縣)에 합병하여 마련현(麻連縣)으로 만들었다가 태종 16년(1416년)에 다시 갈라 현으로 만들었습니다.


연천 (출처 :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1895년 연천군이 되었으며, 1907년에 철원군의 관인면(官仁面)을 편입하였습니다. 1914년에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인접한 마전군, 적성군과 삭령군의 4개면, 그리고 현재의 전곡읍인 양주근 영근면을 통합하였습니다. 1983년에는 관인면을 포천군에 이관하고, 포천군 청산면을 편입하여 현재 연천군은 2읍 8면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임진강 (출처 : 연천군청 홈페이지)


경기도 연천군의 동부 쪽은 산지이고 그 사이를 한탄강이 흐르다가 임진강이 합쳐집니다. 연천 고랑포를 중심으로 형성된 임진강 절경은 흔히 고호팔경(고호팔경)으로 불리는데 현무암대지가 오랜 세월 침식작용으로 수직 절벽이 병풍처럼 형성되었습니다. 붉은 색을 띄어서 ‘적벽’이라고도 불립니다. 임진강변 주상절리는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합니다.


한탄강 (출처 : 연천군청 홈페이지)


한탄강은 변화무쌍하고 풍광이 수려합니다. 한탄강의 발원지에서 임진강의 합류점까지 현무암으로 된 용암지대를 관류하기 때문에 곳곳에 수직절벽과 협곡이 형성되어 아름다운 절경을 이룹니다. 한탄(漢灘)이란 ‘한여울’ 곧 큰 여울을 뜻하는 말인데 분단의 상징인 휴전선을 가로 질러 흐르기에 사람들은 ‘한숨 쉬며 탄신한다는 한탄(恨歎)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곡리선사유적지(출처 : 연천군청 공식블로그)


앞부분에 말씀드렸던 전곡리 선사유적지도 연천군의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동아시아 최초로 주먹도끼가 발견된 곳으로 유적지공원에는 구석기시대의 생활상을 재현한 조각상들과 선사체험마을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5월에는 전곡리구석기축제가 개최되어 연천지역 사람들 뿐 아니라, 경기도민, 타 지역 관광객도 많이 방문해주고 있습니다.


올해는 2018년 무술년 경기천년의 해입니다. 경기천년보다 더 오래 된 구석기시대 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알아갈 수 있는 연천군은 꼭 방문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이었습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