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지명이 품은 경기도 용인

경기도의 이야기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은 2018년은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천년을 이어온 경기도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미래의 꿈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경기도 내 거주자와 학생, 직장인들로 꾸려진 기자단입니다.



경기천년 기지단에서는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경기도에 속해 있는 지역의 지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오늘은 꿈과 환상으로 가득한 놀이공원과 다양한 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경기도민의 휴식인 용인시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경기도 남부에 있는 용인


용인에는 한국민속촌, 에버랜드,호암미술관등 유명한 관광지가 있어서 한번쯤 방문해보셨을 것입니다. 예로부터 “살아서는 진천이요 죽어서는 용인”이라 할 만큼 용인은 좋은 묘자리터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용인에는 능원리에 정몽주묘, 석천리에 유형원의 묘를 비롯하여 역사에 남은 인물들의 묘가 많습니다.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뒷받침해주는 고고자료도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역사속의 용인은 어떤 위치에 있었는가 매우 궁금한데요, 용인의 지명은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 행정구역(출처 : 경기관광포털)


용인(龍仁)


용인 지명과 관련된 기록은 [삼국사기] [고려사] [태종실록]등의 역사서와 [세종실록지리지], [신동국여지승람], [용인현읍지] [용인군지]등과 같은 다양한 지리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용인시(龍仁市)는 본래 용구현(龍駒縣)과 처인현(處仁縣)을 합치고 용구(龍駒)에서 용(龍)자 처인(處仁)의 인(仁)자가 합쳐 용인현(龍仁縣)이라 칭하다가 후에 양지군(陽智郡)을 합쳐 오늘의 용인시(龍仁市)가 되었습니다.


용구현은 [삼국사기]에 “거서현은 본시 고구려의 구성현(駒城縣)으로 경덕왕이 거서로 고쳤는데, 지금의 용구현이다.”라 기록되어 있습니다. 구성은 본래 큰성, 높은 성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구(駒)는 우리말 고어의 ‘말아’ 즉 크다, 높다는 의미의 말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용인의 다른 명칭인 ‘멸오’도 크다는 의미의 고어 ‘말아’, ‘마라’를 한자로 처음 표기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용인 옛지도(출처 : 고지도를 통해본 경기지명연구)


용인은 멸오, 구성, 거서, 용구등의 지명으로 변천하였고 처인과 행정구역이 병합되면서 용인이란 지명이 탄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유지명은 대체로 신라의 삼국통일후 한자화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지명에는 일제가 우리를 식민지화하면서 고유지명의 근원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편의에 맞게 다시 만든 것이 많습니다. 고유지명의 유래가 일제에게는 소중할 리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편의대로 한자화했던 것인데요, 용인시는 2014년부터 용인시민의 자긍심 회복을 위하여 뿌리찾기 운동사업을 펼쳤습니다. 




타 도시 명칭을 변경하고, 잘못된 지명을 바로 잡으며 용인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적 전통성을 복원하는 작업이였습니다. 한번 지정된 지명을 바꾸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경기도 용인시의 노력으로 ‘수원IC,오산천,수원천’등 경부고속도로의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경기도 하천명칭이 변경된 첫 사례였습니다.



특히, 가장 성과가 있었던 건, 맞춤법이나 유래에 맞지 않거나, 일본식으로 된 명칭 7건을 바로 잡았습니다. 처인구 양지면 평창리와 원삼면 좌항이 경계에 있는 ‘좌찬고개’는 일본식명칭이었던 ‘좌전고개’에서 ‘좌찬고개’로 변경해 일제 잔재를 청산하였습니다.


용인팔경 중 한곳인 처인구 해곡동과 원삼면 사암리를 잇는 ‘곱든고개’는 ‘산 모퉁이가 많아 구불구불하다’는 지명유래를 반영해 둥근언덕을 뜻하는 ‘곱등고개’로 했습니다. 1971년 처인구 삼가동에서 기흥구 상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중턱에 정신병원이 생기면서 이 고개를 정신병원고개로 불렀지만, 과거 시아버지를 살린 며느리의 전설을 바탕으로 ‘효자고개’로 변경되었습니다.


한국민속촌(출처 : 투어용인)


지명에 대한 유래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먼저 해야할 것은 그 지명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는 일입니다. 지명이 고유어(순우리말)이라면 이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고, 한자어가 있다면 그 한자어에 담긴 기원과 의미를 해석해봐야합니다. 지명에는 그 지역에 대한 문화, 역사, 풍속등은 물론이고 자연환경, 조상의 생활풍습이 담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018년 무술년은 경기도가 ‘경기’라고 불린지 천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경기천년을 맞이한 경기도를 포함해 각 지역에 대한 역사의 뿌리를 찾는 시간이었습니다. 조상의 발자취를 통해 미래로 더욱 도약하는 경기도가 되길 바랍니다. 이상 경기천년 기자단이었습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