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연구원

고려시대 강화의 유적과 공간 ⑧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이 글은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천백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에 수록된 발표주제문입니다.


고려시대 강화의 유적과 공간


이희인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목차|

  Ⅰ. 머리말

  Ⅱ. 강화의 위상과 유적

  Ⅲ. 도읍의 공간

  Ⅳ. 군현의 공간

  Ⅴ. 맺음말


Ⅴ. 맺음말


강화는 고려시대 중앙과 지방의 위상을 모두 지녔던 독특한 공간이다. 공간의 실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읍은 물론 주·속현의 공간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물론 이는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자료의 한계 때문이다. 강화의 공간 구조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문헌과 고고학 등에서 다양한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지금의 수준에서 구체적인 접근을 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도읍의 경우 궁궐 자리나 천도 후에 쌓은 외성과 중성, 내성의 실체 등 기본적인 공간 구조가 여전히 분명치 않다. 군현의 치소, 분묘와 사원, 산성, 주거 공간 등은 말할 나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의 국토 운영을 이해함에 있어 강화가 가지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섬이라는 제한된 공간의 특성상 도읍과 주·속현의 범위를 상대적으로 분명하게 설정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강화를 도읍뿐만 아니라 군현이 함께 존재하였던 복합적 역사공간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서는 강도시기 뿐만 아니라 천도 전후의 지형 변화, 섬 내에 산재한 산성과 사찰, 분묘군 등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 가까운 시기에 자료가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東國李相國集』, 『高麗史』, 『高麗史節要』

『世宗實錄』 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江都志』 , 『輿地圖書』 江都府誌』


기호문화재연구원, 2017, 『인화∼강화 도로건설공사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1, 『강화 조선 궁전지Ⅱ』.

계림문화재연구원, 2014, 『강화읍 관청리 145번지 유적』.

국방문화재연구원, 2016, 『강화 월곳리·옥림리유적』.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0, 『한국의 사지-사지 현황조사보고서(上)』.

육군박물관, 2000, 『강화도의 국방유적』.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4, 『강화 선두리 도기요지』.

인천시립박물관, 2009, 『강화의 절터 지표조사 보고서』.

인천시립박물관, 2006, 『강화 군내도로 확·포장 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인천시립박물관, 2003, 『강화의 고려 고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3, 『강화 신봉리·장정리 유적』.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1, 『강화 성광교회∼동문간 도시계획도로 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5, 『강화 관청리 163번지 유적』.

한림대박물관, 2003, 『조선궁전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성문화재연구원, 2017, 『강화 관청리 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 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7, 『강화 고려도성의 자연지리학적 연구』.

김갑동, 2015, 「고려건국기 강화의 동향과 토착세력」, 『신편 강화사 증보』 상권, 강화군군사편찬위원회.

김기덕, 2015, 「무인집권기 강화의 동향」, 『신편 강화사 증보』 상권, 강화군군사편찬위원회.

김병희, 2018, 「강화도성의 구조와 성격」, 『고고학으로 본 한국중세사회Ⅱ-고려성곽』, 한국중세고고학회.

김창현, 2016, 「고려시대 강화도읍 궁궐」, 『고려강도의 공간구조와 고고유적』, 인천시립박물관·강화고려역사재단 공동학술회의.

김창현, 2005, 「고려시대 강화의 궁궐과 관부」, 『국사관논총』106.

박종기, 2006,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연구』24호, 한국중세사학회.

박종진, 2017, 『고려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종진, 2002, 「강화천도 시기 고려국가의 지방지배」, 『한국중세사연구』제13호, 한국중세사학회.

백종오, 2007, 「인천연안의 고대성곽에 대하여」, 『인천연안의 고고학』,

서울경기고고학회․인천시립박물관. 신안식, 2003, 「고려시대 경기의 위상과 역할」, 『인문과학연구논총』25, 명지대인문과학연구소.

서정석, 2002, 『백제의 성곽』, 학연문화사.

서영일, 2005, 「한성 백제시대 산성과 지방통치」, 『문화사학』24호.

엄성용, 2015, 「고려전기 강화의 기상」, 『신편 강화사 증보』 상권, 강화군군사편찬위원회.

윤용혁, 2017, 「강도사 연구의 쟁점」, 『강화고려도성 기초학술연구』 1,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이상준, 2014, 「고려 강도궁궐의 위치와 범위 검토」 ,『문화재』제47-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이희인, 2016, 『고려 강화도성』, 혜안.

이희인, 2016, 「고려 강도시기 성곽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려 강도의 공간구조와 고고유적』 인천시립박물관·강화고려역사재단 공동학술회의.

정은정, 2009, 「고려시대 개경의 도시변화와 경기제의 추이」,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학수, 2006, 「고려 개경의 범위와 공간구조」,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학수, 2017, 「강도시기 궁성(본궐)의 위치와 구조」, 『강화 고려도성 기초학술 연구』 1,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윤경진, 2001, 「고려 군현제의 운영원리와 주현-속현 영속관계의 성격」, 『한국중세사연구』10.

최종석, 2005, 「고려시기 치소성의 분포와 공간적 특징」, 『역사교육』95.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다른 글 보기




세부정보

  •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주제/ 중세고고학과 고려시대 경기의 위상 변화

    일시/ 2018.06.15.(금) 13:00 ~ 18:30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

글쓴이
경기문화재연구원
자기소개
경기도 문화유산의 가치 발견, 경기문화재연구원